공존을 위한 길고양이 안내서
이용한.한국고양이보호협회 지음 / 북폴리오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사진이나 영상 그리고 먼 발치에서 바라보는 것은 좋아하지만 제게 가까이 다가오는 걸 허락하지 않습니다. 서로 거리를 두고 지켜보는 관계인 셈이죠. 따뜻한 봄이 오면 고양이 울음소리가 봄밤에 바람을 타고 들려올 때면, 무슨 일이 있나 보다 생각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통에 담기 때문에 길고양이의 습격을 받는 모습도 좀처럼 보지 못했기 때문에 싫어할 이유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길고양이와 같은 환경을 공유한다는 것에 대해 거부감이 없었습니다. 정확하게 도시공간 속에서 함께 살아간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제가 길고양이를 처음 알게 된 때는 아이러니하게 도시가 아니라, 시골에서였습니다. 어렸을 때 할머니 댁에 가면 익숙했던 모습이 시골 길고양이들이 밥 먹는 모습이었습니다. 할머니와 큰어머니는 저녁 시간에 집 담벼락 구석진 곳에 물과 고양이밥을 놓아두시곤 했습니다. 그러면 10마리 남짓한 고양이들이 와서 밥을 먹곤 했던 모습입니다. 지금은 그 고양이들이 어디로 갔는지, 좀처럼 고양이의 모습을 볼 수 없지만 어린 시절 먼발치에서 바라본 해 질 녘 고양이 무리들이 밥을 먹는 모습은 포근한 할머니 댁 풍경과 함께 기억 속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제가 밥을 준 적은 없지만, 어렸을 때도 전 먼발치에서 고양이들이 밥 먹는 모습을 몰래 관찰하며 거리를 두던 사람이었습니다. 


   

 

 

 

 

제가 길고양이 공존과 관련된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작년에 방영했던 드라마 <당신이 잠든 사이>의 11,12화 에피소드를 보았을 때입니다. (그 이전에 여러 가지로 사건으로 관심을 받을 법도 했지만, 잔인한 장면들이 시각적으로 들어와서인지 더 기억에 많이 남았습니다.) 

저 뿐만 아니라 드라마를 시청했던 사람들 중에 많은 분들이 고양이를 학대하는 사람들의 잔인성을 간접적으로 인지하게 되었을 것입니다. 물론 이 드라마가 저를'캣맘'의 길에 들어서게 하지는 않았습니다. 여전히 저는 고양이를 먼 발치에서 바라보고,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지구는 인간만의 공간"이 아니며, 도시 역시 도시민만의 공간이 아닌 것을 인지할 필요성을 느낀 계기가 되었습니다.

 

고양이와 함께 도시 공간을 공존하는 도시민으로 읽으면 좋은 책 <공존을 위한 길고양이 안내서>입니다.

 

고양이를 적대시하는 사람들과 길고양이 사이에 가교 역할을 함으로써 사람과 고양이의 공존을 모색하는 것이다.

 


<공존을 위한 길고양이 안내서>는 길고양이와 시민 간의 공존을 위한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길고양이에 대한 편견, 길고양이가 왜 우리가 사는 공간에서 공존관계가 형성되지 못했는지에 대해 차근차근 설명한다. "사람과 고양이가 모두 행복하고 안락하게 공존하는 것이 우리가 바라는 것이라면, 길고양이를 싫어하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글을 서술했으며, 고양이의 습성과 길고양이만의 독특한 습성을 함께 고려한 점이 돋보인다.
크게 두 개의 파트로 나누어져 있으며 "길고양이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과 "길고양이, 이것이 궁금하다"로 나누어져 있다. 우리가 흔히 할 수 있는 길고양이에 대한 오해를 풀어주고, 도시공간에서 바람직한 공존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길어야 3년이라는 시간 동안 삶을 살아가는 고양이들(집에서 기르는 고양이는 15년을 산다고 한다.)이 그 시간조차 위협을 받고 있다는 사실에 안타까웠고, 그들의 삶의 방식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지식이 좀처럼 알려지지 않아다는 사실에 또 안타까웠다. 길고양이의 수명이 평균 3년이라는 점에도 놀랐지만 가장 놀라웠던 점은 고양이의 번식 능력이었다. 나의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었고, 이를 위해 포획, 중성화 수술 그리고 방생의 과정인 TNR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
  
캣맘이 아니기에 고양이의 습성에 대한 부분에 대한 부분보다 길고양이가 우리 사회에서 편견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 부분에서 공감했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길고양이에 대해 알면 알수록 우리가 길고양이에 대해 편견을 가질 수밖에 없을 정도로 길고양이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가장 공감했던 문제 제기는 '언어'에 대한 부분이었다. 우리나라에서 길고양이 공식 명칭이 '도둑고양이'라는 점은 개선해야 할 점이다.

"국어사전에는 길고양이 대신 도둑고양이가 표준어로 등재되어 있는데, 그 의미 또한 "주인 없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몰래 음식을 훔쳐 먹는 고양이(표준국어 대사전)."로 정의돼 있다(2017년 말 현재 정의는 "사람이 기르거나 돌보지 않는 고양이."로 바뀌었으나 여전히 도둑고양이를 표준어로 유지하는 중이다)."

언어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우리 사고에 관여할 여지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지금 많은 사람들이 도둑고양이보다 '길고양이'나 '길냥이'를 더 보편적으로 사용하지만, 공식 명칭이 길고양이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줄 수 있으며, 이를 개선하는 것은 정말 꼭 필요하다. 실제 미국에서도 뒷골목 고양이에서 방랑 고양이로 표현을 순화했다고 하니, 우리나라도 이 문제 제기가 보편화되어 다른 표현으로 순화하길 바란다.
"인간의 성격이 저마다 다양하듯 길고양이 또한 한 마리 한 마리 개성이 다른 '묘격체'"이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에 공감했다. 그리고 "먹이를 찾아다니는 일과 로드킬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야 하는 스트레스도 엄청나지만, 실은 길고양이를 위협하고 위해를 가하는 최대의 적은 바로 사람"이라는 사실에 마음 아팠다. 많은 나라에서 "고양이는 학대의 대상이 아니라 언제나 공존의 대상"이며, "역사적으로 고양이는 5000년 이상 인류"와 공존해왔듯이 우리나라에서도 공존할 수 있길 바란다.


무엇보다 길고양이에 대한 막연한 동정보다 중요한 것은 사회적 책임감이라는 생각을 꼭 함께 나누고 싶었다.
  

 

 


이 책의 수익금 일부는 길고양이 구조와 치료를 위한 지원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책 안에 '길고양이 사료(먹이) 안내'와 '쥐약 및 독극물 살포 금지' 스티커와 길고양이 스티커가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