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언달러 힙합의 탄생 - 대한민국 최고의 힙합 아티스트 12인이 말하는 내 힙합의 모든 것
김봉현 지음 / 김영사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이죠.
늘 음악 듣고, 생각하고,
작업하고, 음악도 틀러 가고.
힙합에 대해 한 가지의 정의를 만들어서
여기에서 벗어나면 다 가짜라고 말하는 행위는
저에겐 더 이상 의미 없는 것 같아요.
그런 게 의미 없는 세상이기도 하고요.

 

 

빈지노, 스윙스, 산이, 타이거 JK...
내가 아는 아티스트는 이 4명뿐이었다.

도끼, 더콰이엇, 팔로알토, 제리케이, 허클베리피, 딥플로우, JJK, MC메타...
내가 <밀리언달러 힙합의 탄생>이라는 책을 통해 알게 될 아티스트가 8명이나 있다는 사실에 설레하며 읽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대중적으로 유행했던 힙합 노래 (심지어 그 노래들도 힙합 단독 곡인 경우는 거의 없다.) 정도만 알고 있으며 힙합 장르에 대한 이해도 없었다. 더 솔직하게 알고자 하는 마음조차 없었다. 그런 내가 <밀리언달러 힙합의 탄생>을 읽으며 '힙합'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던 생각이 편견이라는 걸 알 수 있었다.

글을 읽는 건 좋아하면서, 그 어떤 음악보다 가장 많은 텍스트를 들려주는 힙합에는 좀처럼 손이 가지 않았다. 아니, 의식적으로 피했던 음악 장르였다. 내가 자라온 환경이 힙합 음악을 많이 접하지 못했기 때문도 있었고 힙합 가사에 크게 공감하지 못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사실 음악은 익숙함의 결과다. 어떤 음악을 들었고, 어떤 음악적 환경에 있었는지에 음악에 대한 생각은 결정된다. 난 '선율'이 주를 이룬 음악을 음악이라고 여겨지던 환경에 자라온 사람이었다. '비트'가 주를 이룬 음악은 낯설었고 그 낯섦은 거부감으로 바뀌었다. 우연히 힙합 노래를 들을 때면 낯선 말과 욕설이 불편했고 때로는 불쾌한 감정을 불러일으켰다. 내가 이따금씩 들었던 힙합 노래는 발라드 중간중간에 빠르게 쏟아내는 랩이나 빠른 비트의 노래 혹은 아이돌 음악의 중간에 등장하는 랩이 전부였다. 길게 서술했지만, 짧게 줄으면 "난 힙합을 전혀 알지 못했고, 알고 싶지도 않았던 사람"이었다.

그래서 <밀리언달러 힙합의 탄생>을 읽으며, 12명의 아티스트의 노래를 1곡 내지는 2곡을 들었다. 음악을 들은 이유는 간단했다. 비트를 텍스트로 옮겨진 것을 보고 비트를 추론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니었다. 난. 어떤 음악이기에, 어떤 가사의 리듬을 가지고 있기에 많은 사람들이 이 장르를 좋아하고, 이 가수의 음악에 공감하는 것일까. 순수하게 궁금해서 들었다.

도끼 <치키차카초코초>
더 콰이엇 <Came from the Bottom>
빈지노 <January> <Aqua man>
팔로알토 <Forrest Gump> <Seoul>
제리케이 <축지법>
스윙스 <황정민>
허클베리피 <Everest>
산이 <아는 사람 얘기>
딥플로우 <양화>
제이제이케이 <결>
타이커 JK <소외된 모두, 왼발을 한 보 앞으로!>
MC 메타 <무까끼하이>

다른 듯 닮은 듯 생경한 노래를 들으며 읽다 보니 "힙합을 아주 조금 알게 된 사람"이 되어가고 있었다. 정말 아주 조금 알게 된 사람 말이다.

<밀리언달러 힙합의 탄생>에 나온 12명의 아티스트는 '아티스트'라는 자신의 수식어에 어울리는 철학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예술가로써, 힙합이라는 문화에서 음악을 생산하는 예술가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어떤 것이 좋은 음악이며, 어떤 것이 좋지 않은 음악인지 분명히 알고 있었다. 힙합을 하는 사람이고 자신이 많은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이 가진 무게가 무엇인지 알고 있었다. 힙합이라는 장르가 주는 자유로움이라는 이미지 속에 책임을 감추지 않는다. 자기 스스로 마음속의 마음의 별과 저 하늘에 떠 있는 이상이라는 별 사이의 조화로움을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는 '아티스트'들이었다.

본인이 내키는 것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할까요. 현실과 타협하기 위해서 본인이 내키지 않는 것을 하는 것이 가짜라고 생각해요.
……
저희도 많은 경험을 해왔고 많은 생각을 하면서 살아왔고 지금도 여전히 그런 생각들을 바탕으로 살고 있거든요. 더 좋은 뮤지션이 되기 위해, 더 좋은 인간이 되기 위해 더 애를 쓰죠. 


내가 가지고 있는 편견이 하나 깨지는 순간이었다. 나에게 힙합은 '무책임한' 음악이었다. 자유로움을 표현하며, 사회의 모순을 꼬집는다는 이유로 무엇이든 한없이 인정되는 음악 장르, 그렇기에 책임감이 없는 음악이라는 생각을 했다. 욕을 하고 디스를 하고, 순간의 감정이 주는 것을 토로하는 음악. 사회에 예술이라는 형태로 무언가를 내놓으면서 책임감이 크지 않은 음악. 하지만 12명의 아티스트는 인터뷰를 통해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힙합을 하며 자유로움은 방종이 아닌 자유였다. 책임이 동반된 자유. 팔로알토의 인터뷰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 "우리가 만드는 음악을 사람들이 듣고 영향을 받잖아요. 이런 부분을 다들 어느 정도는 의식하면서 살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그의 생각에는 방종을 노래하는 힙합이라는 편견과 달리, 책임성을 강하게 가지고 있는 장르였다. 그렇다면, 힙합이 예술로 존중받지 못할 이유가 없었다.

<밀리언달러 힙합의 탄생>을 다 읽고 나서 난 힙합 팬이 되지는 않았다. 힙합 음악을 더 듣게 된 것도 아니다. 여전히 내 플레이어 리스트의 상단에는 김동률, Ed Sheeran, 아이유, Coldplay, 태연, Sweet Sorrow, Ellie Goulding가 굳건하게 자리 잡고 있다. 달라진 것이 있다면 힙합 음악을 불쾌하게 생각하지 않게 되었다. 즉, 나도 모르게 배제하며 거부했던 힙합을 그 '음악'장르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인생에서 100퍼센트 행복한 일이라는 건 없다고 생각해요. 당연히 걔도 카페를 하면서 어려운 부분도 있고 스트레스도 받겠죠. 하지만 꿈을 이루며 사는 삶이라고 해서 100퍼센트 행복한 건 아니잖아요. 꿈을 이루는 것과 행복한 것은 어느 정도 별개라는 걸 깨달았어요. 사람 사는 건 다 똑같다고 할까. 꿈을 이루든 그렇지 않든 둘 다 마냥 행복할 수는 없겠죠.

앨범에 넣을 가사를 공들여 쓰는 일은 마치 조각상을 깎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해요. 쓰고 고치고 다시 쓰고 다시 고치는 일을 반복하면서 정교한 완성품을 만들잖아요.

존중, 존경, 동경 이 세 개가 다 담겨 있는 거죠. 제가 생각해보니까 리스팩트를 한국말로 온전히 담아낼 단어가 없더라고요. 리스펙트의 의미는 ‘난 널 존중해‘로는 부족해요. 또 ‘존경해‘는 너무 센 말일 수 있죠. 존중, 존경, 동경 이 세 개가 적절히 섞여 있는 것 같아요.

래퍼들은 자신의 삶이 가장 중요한 사람들이잖아요. 그런데 저는 저의 삶에 저만 있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내가 행복하기 위해서는 나와 함께 행복해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생각을 평소에 하다 보니까 다른 사람의 삶도 생각을 많이 하게 되고 이야기에 담게 돼요. 그러다 보니 다른 래퍼들이 나의 삶과 나의 성공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저는 다른 누구의 고통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 같아요.

삶이죠. 늘 음악 듣고, 생각하고, 작업하고, 음악도 틀러 가고. 힙합에 대해 한 가지의 정의를 만들어서 여기에서 벗어나면 다 가짜라고 말하는 행위는 저에겐 더 이상 의미 없는 것 같아요. 그런 게 의미 없는 세상이기도 하고요.

어떨 때는 서울이 지긋지긋하고 너무 각박하게 느껴져요. 그런데 저는 서울에 살면서 팔로알토라는 이름으로 유명해지고 결혼도 하고 가정도 이루고 집도 사고 행복하고 좋은 일도 많았죠. 또 공연하러 가거나 클럽에 음악 틀러 가면 사람들이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기도 하고, 누군가와 관계를 맺고 일을 같이 하면서 진실된 감정을 느끼기도 해요. 하지만 어떨 때는 그게 진심이 아니었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고, 이 모든 것이 거품이고 언젠가는 없어질 거라고 느껴질 때도 있고요. 마치 서울이란 도시가 나와 ‘밀당‘하는 듯한, 그런 감정을 표현한 가사였어요.

무언가에 대해 길게 얘기하면 ‘설명충‘이라고 하고, 진지하면 ‘진지충‘이라고 하고. 이런 게 많은 사람이 공유하는 정서가 됐어요. 어떻게 보면 사람들이 다 바보가 되고 있는 거예요. 래퍼들도 예술가이기 이전에 인간이라고 생각해요. 인간은 누구든 한 여자의 뱃속에서 태어나서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살아야 하고, 자기가 무얼 하든 서로에게 나쁜 영향을 끼치면서 살면 안 되잖아요. 그래서 살인도 당연히 불법인 거고요. 우리 모드가 ‘human being‘이니까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살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힙합도 당연히 마찬가지죠. 생각하는 것을 차단하고 사람들을 멍청하게 만들어버리면서 좋은 게 좋은 거지하며 쾌락만을 좇으면 안 된다고 봐요. 나의 내 가족, 내 사람, 우리가 함께 살아갈 공동체가 행복하게 나아가야 할 방향에 부합되지 않는다면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해요.

자기가 써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자기가 가사를 쓸 때 그 공간에 같이 있는 사람이 같이 써도 된다고 생각해요. 물론 주체가 자기가 되어야겠지만, 남이 써준 가사로 랩을 하면 무슨 재미가 있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