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날씨다
조너선 사프란 포어 지음, 송은주 옮김 / 민음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변화 문제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지만, 나를 비롯해 많은 사람은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 무더위는 심해지고, 심각할 정도로 쏟아지는 비, 잦은 태풍. 지난 계절만 돌아봐도 지금까지 겪어온 계절과 달랐다. 달라진 날씨를 직접 체감하며 기후변화를 부정하지 않지만 막상 실천 앞에서는 망설이는 애매한 사람. 이 책의 타깃은 바로 나였다. 조너선 사프란 포어의 『우리가 날씨다』는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다른 책과 확실히 다른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데, 바로 그가 타깃을 나와 같은 독자로 정했다는 점이다.


"기후변화는 인류에게 닥친 가장 큰 위기이다. 우리가 개인으로 맞는 위기이다. 여태 해 오던 식사를 할 수 없고, 여태 알던 행성에서 살 수도 없다. 식습관을 포기하거나 아니면 지구를 포기해야 한다. 그만큼 단순하고도 어렵다.

결정을 내릴 때 당신은 어디에 있었는가?"


책에 타협 불가능한 논리와 수치는 등장하지 않는다. 조너선 사프란 포어는 정확한 수치를 믿을 수 없어서 기후변화 문제에 미온적인 태도의 사람이 많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알지만 믿지 못하고, 알지만 실천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부터 분석한다. 빈틈없는 논리가 좀처럼 들어가지 않았던 감정의 영역을 건드리며 공략한다. 소설가의 논픽션, 조너선 사프란 포어란 작가의 논픽션이 가진 매력이 여기에 있다. 그는 기후변화란 "지금으로서는 추상적이고, 다방면에 걸쳐 일어나며, 느리고, 눈에 확 띄는 특징이나 순간들이 부족한 전 지구적 위기"이며, 이 위기를 믿지 못하는 우리에겐 '믿음의 위기'로 재앙이 엄습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걱정이야.

내가 바뀌지 않을까 봐?

그들이 너가 믿지 않는다는 사실을 믿지 않을까 봐 걱정돼."


왜 믿지 못하는지, 알면서도 외면하고 싶어하는지, 알고 있다는 것만으로 안심하는 것인지. 기후변화 앞에 위선적인 모습을 보이는 이유를 하나하나 밝혀낸다. 적당한 타협 없이 그 모순을 다룬다. 흥미로운 건 그 모순을 타인에게서 찾지 않고 바로 저자 자신에게서 찾는다는 점이다. 완전한 채식을 실천하지 못하는 솔직함, 적극적으로 기후변화 문제에 뛰어들지 못하는 것을 변명하지 않고 솔직하게 말한다. 그의 고백은 내가 읽어온 기후변화 책과 다른 '인간미'가 있었다. 그 진솔한 글엔 미적거리는 내 마음이 자주 보였고, 과장해서 말하자면 나도 이제 정말 해야겠구나 싶은 생각을 부르기에 부족하지 않았다.


"지구를 파괴할 존재는 우리뿐이다. 지구를 구할 존재도 우리뿐이다. 가장 절망적인 상황이 가장 희망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지만 반대가 될 수 있다. 우리는 지구의 모든 생명을 완전히 쓸어버릴 방법을 찾았기 때문에, 완전한 파멸이 닥치면 지구상의 생명을 다시 살려낼 방법도 찾은 것이다. 우리가 홍수이고 방주이다."


영화 <어벤져스:엔드게임>과 같은 두 번째 기회는 오지 않는다. 돌이킬 수 없는 임계점을 넘어선 순간 다시 돌아갈 방법은 없다. 저자는 책에서 누차 강조한다. 알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부정하는 사람과 다르지 않다고. 왜냐하면 기후변화에서 이 행성을 구할 수 없는 건 똑같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내 삶을 완전히 바꾸라고도 말하지 않는다. 그저 이 순간에 조금 더 나은 선택을 하면 된다. 한끼라도 채식을, 한 번이라도 비닐을 덜 쓰며 조금씩 길들이면 된다. 버터와 크림이 잔뜩 들어간 빵을 덜 먹고, 맛있는 고기를 조금씩이라도 참아야겠다. 하루에 한 끼라도, 일주일에 하루라도.

오늘은 빵도 고기도 먹지 않았다. 매일은 어려워도 자주 실천해야겠다. 내가 다시 나태해지지 않았으면, 나도 우리도 모두 날씨니까.


※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