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 - 유물과 유적으로 매 순간 다시 쓰는 다이나믹 한국 고대사 서가명강 시리즈 12
권오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는 여느 역사서와 사뭇 다른 결을 가지고 있다. 고대사에 대한 흥미진진한 역사 이야기 대신 그 역사를 발굴하여 기록으로 만드는 이의 태도에 관한 책이었다. 영원히 변하지 않을 것만 같은 역사가 기록과 유물로 새로운 진실과 맞이하는 반전의 역사를 경험한 저자의 오랜 경험이 녹진하게 담겨 있어 흥미로웠다.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국사를 알아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만 역사가 바뀌기도 하는 역동적인 현장에 관한 이야기를 몰랐던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읽어보면 어떨까 싶다.

1부는 기존에 역사에 대한 오해와 역사를 대하는 사람이 경계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말한다. 그렇기에 다양한 이야기를 한 번에 나와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2부부터 본격적으로 우리나라 고대사 해석이 바뀌었던 발굴이 만든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가 나와 재미있었다. 발굴 현장을 국내에서 동아시아 그리고 중앙아시아 전역으로 확대해 기록한 이야기를 읽다 보면 내가 배운 역사가 얼마나 오랫동안 고정된 채 먼지가 쌓여있었는지 느껴져 개인적으론 조금 슬펐다.

삼국시대 중 백제의 왕궁 유적지에 대한 분석을 볼 수 있는 3부, 고대사와 중앙아시아를 잇는 역사 발굴 현장 기록을 담은 4부가 이 책의 백미다. 뻔한 역사 이야기가 아닌 역사에 대한, 과거의 흔적에서 기록이 될 수 있는 토대에는 발굴이 가지는 힘과 역할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 무령왕릉과 금동대향로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찾아볼 정도로 백제 역사에 대한 호기심이 많았는데, 몽촌토성과 풍납토성의 축조 기술과 당시 도시의 위세(와 화장실 문화)에 대한 저자의 분석은 배우지 못한 역사 이야기라 인상적이었다.

4부는 현재 진행 중이며,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방향에 관한 이야기였다. 중앙아시아 국가와 고구려의 관계, 동남아시아와 신라, 백제 역사 사이의 관계성, 페르시아 유리병과 신라 왕릉에서 발굴한 유리병의 유사성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기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아직 나오지 않은 역사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하는 내용이 많았다. 역사란 기록은 없지만, 합리적인 추론을 해나갈 가능성에서 미래가 만들 과거가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졌다.

앞으로 역사학자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같은 역할을 맡아야 한다. 고고학자가 발굴한 유물을 가지고 화학자와 함께 분석하기도 하고, 토목공학자와 함께 공학적 원리를 규명하는 식으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역사 연구는 퇴보할 수밖에 없다. _ 68~69쪽

역사에 대한 생각은 고정적인 경우가 많다. 학창시절 배운 국사 교과서 너머의 한국사를 접하는 열정을 보이기란 쉽지 않다. 중학생 때 역사가 좋아서, 선생님과 함께 역사 스페셜을 비롯한 역사 다큐멘터리를 분석하는 보강 수업을 들었다. 교과서에 한 줄로 나와 있는 기록과 정의 너머에 있는 사실과 진실을 추리하는 과정에 매료되어, 심지어 사학과에 수시 원서를 냈었다. 문명사 다큐멘터리 PD를 꿈꾸던 역사 덕후였는데.. 이젠 희미해진 나의 고대사 역사에 업데이트를 불러온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