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떡하죠, 마흔입니다 - 흔들리지 않는 삶을 위한 마음철학 수업
키어런 세티야 지음, 김광수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년"을 주제로 한 책들이 많이 보인다. 이전에 30대를 겨냥한 책들이 보였던 것처럼, 올해 서점에는 유난히 40대 이상, 중년의 고민을 겨냥한 도서가  많아졌다. 《마흔에게》, 《중년, 잠시 멈춤》, 《어느새 운동할 나이가 되었네요》, 《지금 나는 화창한 중년입니다》... 헤아리니, 나도 제법 많이 읽었다. 왜 이렇게 "중년"에 대한 책이 많이 나올까. 《어떡하죠, 마흔입니다》를 읽으며 그 이유를 생각해보았다. 정말, '중년의 위기'가 존재하기 때문일까. "상실과 후회, 성공과 실패, 원했던 삶과 실제의 삶에 대한 의문들. 나아가 피할 수 없는 죽음과 삶의 유한성, 어떤 식이든 무언가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찾아오는 공허함"이 마흔을 지나가는 무렵, 불현듯 찾아오는 것일까. 그런데, '삶의 위기'는 어느 때든 찾아올 수 있는데, 왜 중년의 위기에 주목하는 걸까. 유년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마다 고민은 찾아오기 마련인데. 궁금해졌다. 왜 중년의 위기에 어떤 것이 담겨 있는지.


"지금껏 이루려 애써 왔던 삶의 모습을 진지하게 성찰하는 과정에서 과거에 대한 향수와 후회, 질식감, 연민, 공포감 등이 뒤섞인 채로 나를 휘감았다. 중년의 위기에 맞닥뜨렸다." _ 《어떡하죠, 마흔입니다》 7쪽


마음의 공허감이 스칠 때, 사람의 마음을 채우는 건,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다. 살기 팍팍해 생각할 여유조차 없는 때 철학은 마음에 파고드는걸, 《어떡하죠, 마흔입니다》가 보여준다. 《어떡하죠, 마흔입니다》은 중년의 도전을 이겨 내기 위해 배워야 하는 철학적 성찰을 다루는 일종의 응용 철학의 저작물이다. MIT 철학과 교수인 저자 키어런 세티야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중년의 위기를 성찰하고 그 결과물을 '중년의 위기'를 겪고 있는 또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 위해 책을 썼다. 저자는 익숙한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임마누엘 칸트, 존 스튜어트 밀, 공자, 불교 등등 다양한 철학적 이론뿐만 아니라 버지니아 울프, 톨스토이, 워즈워스와 같은 문학인의 에세이를 통해 '중년'에 마주한 고민을 일관되게 풀어낸다. 마음에 공허감을 불어넣는 '중년에 마주한 고민'을 고리타분하고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도록, 대중과 이 고민을 자유롭게 소통하기 위해 공들인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누구나 자신에게 어울리는 얼굴을 갖게 된다"는 조지 오웰의 말처럼, 서른다섯이든 쉰이든 우리의 삶이 유형화되기 전에 그 시기에 잃어버린 것이 무엇인지 질문해 볼 수는 있다. 선택권을 갖는 것의 가치는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이미 잃어버린 것을 인정할 수 있을까? _ 《어떡하죠, 마흔입니다》 86쪽


개인의 경험을 다룬 에세이와 달리, 《어떡하죠, 마흔입니다》는 철학만이 답해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중년" 이야기를 나아간다. 프롤로그 "나는 중년의 위기에 맞닥뜨렸다"를 통해 중년의 문제를 철학자의 입장에서 돌아보게 된 이유를 밝힌 후 '중년의 위기'애 대한 역사를 통해 중년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설명한다. 이후에 철학자와 문학인의 글 그리고 저자 자신의 경험으로 중년에 마주한 고민과 이를 넘길 수 있는 길을 찾는 과정이 이어진다. 존 스튜어트 밀을 통해 "열심히 살았지만 찾아오는 인생의 허무감"을 살펴보기도 하고, 또 저자는 철학을 선택하는 대신 놓아야 했던 시인의 꿈과 아버지가 기대한 의사의 길을 선택하지 않은 일을 통해 "지난날에 대한 후회"가 사람의 마음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짚어본다. 곧 혹은 언젠가 혹은 곧 당면할지 모를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죽고 싶지 않은 욕망의 이유까지. 스스로 인생을 돌아볼 때가 된 사람들이 마주할 수 있는 고민, 특히 '중년에 마주하는 고민'을 철학적으로 들여다본다.


철학을 가리켜 삶의 답을 찾도록 돕는 학문이라고 한다. 철학은 마음속에 바람이 불듯 스치는 '허무감'을 잠재우기보다, 질문을 통해 우리가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 스스로에게 묻도록 한다.


이 책이 완성될 때 나는 무언가 가치 있다고 믿는 일을 끝냈다는 기쁨을 느끼겠지만, 한편으로는 내게 큰 의미가 있었던 작업과 작별해야만 한다. 그러면 내 삶에 구멍 하나가 생길 것이다.
경험이 그저 스쳐 지나가는 것이라면 그 구멍도 머잖아 다시 채워질 것이다. 또 다른 일들이, 이를테면 가르쳐야 할 수업이나 읽어야 할 책, 써야 할 기사들이 생길 것이고, 나는 무엇을 위해서든 계속 움직여야 한다. _ 《어떡하죠, 마흔입니다》 204쪽


저자는 자신의 책을 마무리한 후에 찾아올 감정에 대해 솔직하게 말한다. 책이 자신에게 큰 기쁨과 행복이 될 수 있을지 스스로에게 묻는다면, 그 답은 "No"라고 한다. 뜻깊은 일을 완수하여, 인생이 꽉 채워지는 것은 아니다. 성취는 자취를 남기기 마련이다. 성취한 것이 크면 클수록 그 자취는 더더욱 클지도 모른다. 성취뿐만 아니라, 모든 일이 그렇다. 어떤 일을 하면 어떤 일을 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반드시 남기 마련이다. 즉, 인생에 공허감은 살아가며 숙명처럼 찾아오기 마련이다. 그 공허감을 느끼지 않으려면, '망각'해야 하는데. 그렇기에 우리의 기억력은 의지대로 움직여주지 않는다. "후회한 것을 후회하고, 이루지 못한 욕망이 없기를 바랄지언정 결국 나는 완벽하게 충족될 수 있는 욕망을 선택할 수는 없다. 상실감은 현실이다. 상실감은 사라지기를 바랄 게 아니라 인정해야 하는 대상"이다. 자신의 삶에 대한 인정은 중년의 위기 혹은 도전을 넘기기에 반드시 필요하다.


중요한 어느 한 시절을 돌아볼 수는 있을지 몰라도 전부는 불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무엇을 할 것인가가 아니라 그동안 무엇을 했고 무엇을 못 했는지, 자신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어떻게 생각하는 지에 있다. _ 《어떡하죠, 마흔입니다》 44-45쪽


인정은 '삶에 대한 체념'이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을 살아가도록 이끄는 힘이다. 물론 중년에 마주하는 "과거나 미래가 아니라 현재의 공허함, 즉 만족감은 뒤로 유보되고 열심히 노력한 결과마저 자기 파괴적이라는 데서 오는 느낌"에서 벗어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우리의 삶은 사건이나 일로 분절되어 있지 않다. "산책하기, 친구들과 시간 보내기, 예술이나 자연 감상하기, 양육하기, 열심히 일하기 등"과 같이 평생 동안 지속할 수 있고, 평가의 영역을 벗어나는 일들도 존재한다. 이 일들이 바로, 끊임없이 우리의 '지금'에서 일어난다. 저자는 "현재의 후광 속에서 사는 것이, 삶이 되풀이되고 허무하다는 느낌과 이탈과 좌절의 느낌과 나아가 당신의 중년의 위기까지 녹여 내는 방법"이라고 말하며, 책을 마쳤다.


중년의 위기는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다. 그 시기는 사람마다 다르다. 중년의 위기란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쉼표와 같은 것이 아닐까. 자신의 삶을 돌아볼만큼 축적해온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성찰이 가능한 때 찾아온다. 이 시간은 모두에게 필요하다. 나의 삶을 찬찬히 돌아볼 쉼표 같은 시간. 《어떡하죠, 마흔입니다》는 그 쉼표에 철학적 동반자가 되어주는 책이다.
책을 마무리하며, 저자의 컴퓨터 화면에 "지금 이 순간을 살다"라는 문구를 쓰고 바라보았다. 오랜 시간 생각에 생각을 거듭하고 찾은 건 의외로 평범했다. 잠시 쉬었다가 다시 시작해야 할 자리는 바로 '지금 이 순간'이라는 평범한 답을 기억하며, 남은 삶을 활기차게 살길 응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