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 갈 수 있는 배
무라타 사야카 지음, 김윤희 옮김 / 살림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도하듯 손을 모으고 움켜진 주먹에 이마를 기대었다.
독서실 바닥이 출렁거리는 느낌이 들었다.
처음에 이곳에 왔을 때 독서실이 배처럼 느껴졌다.
어딘가로 배를 띄우듯 나아갈 수 있을 것 같았다.
_ 《멀리 갈 수 있는 배》 중에..


소설가 무라타 사야카의 글은 읽기는 쉽지만 마음을 이리저리 할퀴어 소화하기 어렵다. 《편의점 인간》과 《소멸세계》가 그랬고, 이번에 읽은 《멀리 갈 수 있는 배》가 그랬다. 선입견을 가지고 책을 읽지 않으려고 마음먹지만, 무라타 사야카의 글을 읽을 때면 나도 모르게 긴장이 된다. 어떻게 내 마음을 흔들지, 나는 한 번도 해보지 않은, 해보지 않았을 법한 생각을 밀어 넣을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긴장감을 가지고 책을 읽었다. 읽은 지 며칠이 된 지금, 책을 곱씹어 보니 《멀리 갈 수 있는 배》는 《편의점 인간》보다는 충격적이었고, 《소멸세계》보다는 덜 불편한 소설이었다.


세 여자가 등장인물이다. 하지만 소설은 리호, 치카코 그리고 츠바키다. 19살인 리호는 남자처럼 행동하는 것이 편하고 여성이라는 자신의 성 정체성에 대해 의구심을 가진다. 여성을 좋아하는지, 남성을 좋아하는지 알 수 없었던 리호는 남장을 해본다. 치카코는 자신을 별이라고 생각하는 직장인이다. 보통 사람들과 동일한 인간으로 사는 것 불가능한 일이며, 강렬한 태양과 촉촉한 지구의 품에 있을 때 평온함을 느낀다. 하지만 한 남자의 고백을 받고 평범한 인간으로 삶을 고민한다. 끝으로 츠바키는 외모에 관심이 많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여성적인 미를 가꾸는 일에 집중한다. 학생 때부터 열심히 공부하던 츠바키는 오랜 고향 친구인 치카코와 함께 독서실을 다닌다. 이 독서실에서 세 사람은 만난다. 이 세 사람은 서로가 서로를 이해해주고, 위안을 얻는 가슴 뭉클한 관계로 나아가지 않는다. 오히려 세 사람은 서로를 마주하면 마주할수록 고민의 근본 원인은 자신의 내면에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리고 타인의 도움으로 바뀔 수도 없는 자신의 성 정체성을 덤덤히 받아들인다.


리호와 치카코의 생각이 나에겐 파격적이라, 내가 공감할 부분을 찾는 건 쉽지 않았다. 나도 여성이라는 성이 몹시 불편한 순간이 있었다. 순간으로 그치지 않고 더 길게 나를 힘들게 만들기도 했지만 이내 익숙한 것이라, 그러려니 하고 익숙하게 여겼다. 한발 양보해 가끔 내가 남자라면 어땠을까 생각을 해본 적은 있지만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로 나를 규정하는 것으로 생각을 해본 적은 없었다. 남성성을 시도해보는 리호, 자신을 별이라고 생각하는 치카코. 보이는 그대로의 면에서 나와 공통점을 찾기보다 사회가 규정한 '성 정체성'이 아닌 나만의 '성 정체성'을 추구하는 사람들로 보면 어떨까. 성별로 남성, 여성, 이성애자, 동성애자, 양성애자, 무성애자 등등. 다양한 정의 속에 '나'를 밀어 넣어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나다움 자체로 자신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사람들로 보면 어떨까.


모두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에 대하여 유난스럽게 반응한다며 이들을 색안경으로 바라보던 츠바키와 닮아 있던 나의 시선이 조금 달라졌다. 리호와 치카코가 끊임없이 '여성'이라는 정체성으로 진입하려  했지만 부딪히고, 깨지기 일쑤였다. 소설 끝에 다시 들어가려는 시도를 포기한다. 방향을 틀어 자신다움을 찾아 방주에 올라탔을 때, 그들의 여정이 자연스러워 보였다. 보통 사람들은 생물학적 특성대로 성별을 받아들이고 별다른 생각을 하지 않는다. 리호와 치카코를 보며 "아니, 어쩌면 이미 오랜 시간 동안 규정된 사회에 속해 있으면서 자신의 생물학적 성을 인정할 수밖에 없음을 무의식중에 받아들이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리호화 치카코는 이를 받아들이기 힘든 사람들이었다. 그들에게 사회가 규정한 성은 나와 다른 것이었고, 이를 받아들이는 과정이 이를 부정하는 것보다 더 힘겨웠다. 그래서 결국 사람들이 모여 있는 육지가 아닌 섹슈얼리티라는 어둠의 바다 위에 자신다운 성 정체성을 찾는 항해자가 되기로 결심한다.


 《멀리 갈 수 있는 배》에서 무라타 사야카는 어떻게 마무리할지 가늠할 수 없는 성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처음엔 적나라하게 글로 표현했다. 마치 나와 다른 사람들이 나의 마음과 생각에 파고드는 것처럼 느끼도록 이야기를 풀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엔 멀어진다. 우리의 삶과 묘하게 닮아 보였다. 이따금 우린 누군가와 같아지려 노력한다. 하지만 그건 불가능한 일이다. 우리는 모두 다르니까. 리호와 치카코처럼, 우리도 각자 나다움을 유지하려 혹은 찾기 위해 떠나야 하는 부분이 있다. 자신다움을 찾는 여정을 떠나는 것이 삶이라면, 그 여정은 다시 누군가와 같아지려 되돌아오기 위한 여정이 아니라 타인과 떨어져 나답게 멀리 나아가는 여정이 아닐까. 나는 과연 리호와 치카코처럼  《멀리 갈 수 있는 배》를 가지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