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다운 페미니즘
코트니 서머스 외 지음, 켈리 젠슨 엮음, 박다솜 옮김 / 창비 / 2018년 6월
평점 :
다른 사람의 틀에 스스로를 욱여넣고
매 순간 남들이 바라는 대로 행동하지 않아도
된다.

'영원한 페미니스트'라는 눈앞의 글귀가 마치 다른 세상에서 온 편지처럼
느껴졌다. 시간은 너무나 많은 것을 지워 버린다. 저 작별 인사를 나는 무슨 뜻으로 썼을까? 왜 썼을까? 그때 나는 정말로 어떤 사람이었던가?
_ <영원한 페미니스트> 중에
페미니즘 논의가 공론화 됨에 따라, 페미니스트라고 말하기 꺼려지는 사회적 분위기가 커졌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남녀공학에 다니는 중고생들이 '페미니스트'라고 말하지 못한단 소식에 놀랐다. 사실 놀랄 것 없는 이야기였다. 우리 사회에서 페미니즘이
환영받았던 적은 없었다. 제1, 2, 3의 페미니즘 물결이 있을 때마다 사회의 흐름에 반하는 쓰나미처럼 페미니즘을 바라보곤 했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일도 이와 같은 게 아닐까. 페미니즘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고, 사람들이 말하기를 망설이고 있지만. 그렇다고 하여 사라질
수 있는 논의도 아니고 사라져서도 안되는 움직임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난 읽었다. 44명의 페미니스트들이 말하는 페미니즘에 대하여, 그
기록을 담은 《나다운 페미니즘》을 말이다.
《나다운 페미니즘》은 44명의 다른 직업을 가지고, 다른 생각을 가지고, 다른 삶을 살아왔고, 다른
성별을 가진 페미니스트들의 이야기다. 그들은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전한다. 누군가는 담담한 일기의 형태로, 누군가는 에세이의 형태로,
누군가는 시의 형태로, 누군가는 사진 한 장으로, 누군가는 만화의 형태로 말한다. 페미니스트로 살아가는 '나'에 대해서 말한다. 그들의 말은
하나의 형태가 아니다. 페미니스트에 대한 논의가 하나가 아니듯 44명은 44개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어떤 이야기는 나의 생각과 비슷해 보이고,
어떤 이야기는 선뜻 동의하기 어려운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그 모든 이야기가 자신들의 생각이기에 어려운 이야기이지 반대할 이야기는 아니었다.
모두 자신다움에 대한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여자는 사람이다. 그 자체로 온전하고, 복잡하고, 흠이 있고, 아름답고,
가치 있는 사람이다. 그러니 자신이 비현실적으로 완벽해지길 기대하는 건 자신을 억압하는 일이다. 진짜로 살아가는 즐거움과 특권을 박탈하는
것이다. 페미니스트는 불완전한 인간으로 사는 자유와 즐거움을 누린다. 강박을 버리면 자신을 사랑할 공간이 생긴다. _ <빵을 먹는
사람> 중에
화장, 다이어트, 정신 건강, 관계, 종교, 성차별, 자신감..
페미니즘 논의에서 다양하게 생각은 존재할 수 있다. 화장에 대해 누군가는 노동이라고 말할 수 있고
누군가는 자신답게 가꿀 수 있는 도구라고 말할 수 있다. 모두 페미니스트의 주장일 수 있다. 나에게 페미니즘은 커다란 토대는 같을 수 있어도 그
안에서 다양한 목소리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드렉이 누군가에게 숨 쉴 틈이 될 수 있고, 누군가에게는 강요받는 미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모두 다른 환경에서 자랐고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하나를 보고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 그 다름이 어떤 맥락에서 나올
수 있었는지를 들여다보고, 나의 생각이 옳다고 바라보지 않고 받아들이는 여지를 남겨두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가르침은
네가 모르는 사이에 배운 것일 테니까
_ <미국 어딘가에서>
중에
이에 대해 어떤 페미니스트들은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에게도 페미니즘은 쉽지 않다. 굉장히 빠른
속도로 논의가 바뀌고 있다. 따라가기에 벅차다. 나의 옳음으로 타인을 판단하는 것은 아닐까. 끊임없이 검열한다. 그리고 그 검열을 하는 나를
바라보며 또 다른 생각에 빠지게 된다. 그렇기에 페미니즘은 혼자 가지고 있으면 해결이 되지 않는다. 이렇게 나의 생각을 나만의 페미니즘을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어야 한다. 너만 그렇게 생각한 것이 아니라는, 미투. 당신의 어려움에 함께 하겠다는 위드 유. 꼭 이런 형태만이 아니다.
페미니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어디서든 편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내가 느낀 불편함, 내가 하고 있는 생각을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판단할지
두려워하며 입을 열기 망설이지 않아야 한다.
'그러게' 당신은 생각한다. 그녀의 당신의 눈동자 속에서 일렁이는 삶의
불꽃을 발견하고 손을 잡는다. '전에는 아무도 묻지 않았는걸.'
그렇게 당신은 이야기를 시작한다. 여자의 입으로. _ <소녀
수업> 중에
그러기 힘들다. 그렇기에 우리보다 먼저 말한 사람들을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 주장에 대해
동의하는 가 여부를 떠나 누군가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다. 침묵을 강요하는 사회에서 침묵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하기 전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건 내 이야기를 하기에 도움이 된다. 용기를 얻을 수도 있고, 내 생각을 정리할 수도 있다. 선생님의 말 한마디가 마음에 가시처럼
남아 자신만의 행동으로 항거했단 것처럼 거창하지 않아도 된다. 페미니스트를 싫어했던 과거를 꺼내도 괜찮다. 동성 친구에게 고백을 받아
당황스러웠던 경험도 괜찮다. 성추행을 당하고, 아무 말도 하지 못했던 기억도 괜찮다. 나만 그런 게 아니다. 나와 비슷한 듯 다른 경험을 했고,
나와 다르지만 비슷하게 느꼈다.
때로는 어려운 감정을 어떻게 다뤄야 할지 몰라서, 묵직한 주제에 대해
성급한 농담을 하기도 해. 이게 왜 문제냐고? 내가 나 자신을 진지하게 대하지 않으니까 다른 사람들도 나를 가볍게
대하더라.
…
진짜 페미니스트라면 너 자신과 상대에게 솔직해져야 해. 물론 네 나이에
그걸 아는 건 쉽지 않아. 거의 불가능에 가깝겠지. 그러니까 너무 속상해하진 마. 걱정하지도 마. 지금은 아니더라도, 살다 보면 언젠가는 알게
될 테니까. _ <유치해도 괜찮아> 중에
조금 더 나에게 솔직해져 보자. 그래도 괜찮다. 공론화된 장이 아니라, 친한 친구에게 이야기를
꺼내보면 어떨까. 나만의 페미니즘에 대한 생각을 이야기하면 어떨까. 내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들 모두가 나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당신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 중에 당신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줄 것이다. 지금 페미니즘에 대한 논의가 지나갔다는 말도 있고,
마치 악의 축인 것처럼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런 때일수록 우리는 이야기해야 하고, 생각해야 한다. 그래야 한다.
직접 목표를 세우고, 자신의 가치를 믿자. 상자 밖으로 뛰쳐나가 자신의
이야기를 쓰자.
페미니즘의 본질은 각자
자신의 목소리를 찾고, 남들도 그러도록 돕는 것이다. 세상이 괴물 같다고 말하는 당신의 모습, 오로지 당신만이 가진 힘과 아름다움과 열정과
이야기로 빛을 발하는 그 모습을 끌어안는 것이다. _ <종이에 베인 천 개의 생채기> 중에
그러다가 나중에. 《나다운 페미니즘》의 44명의 사람들처럼 내 이야기를 하게 되길 고대한다. 나의
이야기, 나의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용기 있는 페미니스트가 되고 싶다.
당신은 가치 있으며,
좋은 것들을 누릴 자격이 있는 사람이라고.
그렇다, 정말 그렇다. 당신은 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