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민과 소설가 - 대충 쓴 척했지만 실은 정성껏 한 답
최민석 지음 / 비채 / 2018년 6월
평점 :
당신의 고민을
들어드립니다.
당신의 고민은 무엇인가요?
고민 없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잠깐 동안 고민이 없을 수는 있지만, 우리는 저마다 크고 작은 고민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남들이 보기에 별거 아닌 듯 싶은
고민도 내 마음과 생각을 자꾸만 헤집으며 힘들게 하기도 합니다. 누가 보아도 심각한 고민 앞에 힘들게 버티기도 합니다. 답이 있는 고민과 답이
없는 고민 등 고민의 종류도, 강도도 모두 다릅니다. 저마다 비슷한 듯 다른 고민을 가지고 우리는 살아갑니다. 이런 우리에게 한 소설가가 고민
상담사가 되겠다고 이야기 합니다.
고민한다. 고로 존재한다.
인간은 고민하는
갈대다.
그러므로
다른 종과 인간을 구별하는 말로,
호모고미니우스라는 기발한 표현을 쓰는 상담사,
소설가
최민석입니다.
그는 온라인 상에 고민상담소를 차렸습니다.
대상은 아쉽게도 20대 입니다. 약 20년 전쯤 20살이었던 그 는 20대가 느낀 고민을 받고, 그 고민에 대한 답을 적어 보냅니다. 그리고
20대 고민과 적은 책이 바로 <고민과 소설가>입니다. 그런데, 책 속에 담긴 고민은 20대에만 하는 것들은 아닙니다. 20대가
고민을 이야기 했지만 10대도, 30대도, 40대도 할 수 있는 고민이 담긴 책입니다. 나라는 존재에 대해, 사랑에 대하여, 관계에 대하여
그리고 미래에 대한 고민은 어느 세대에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고민을 부르는 대상과 고민이 내 삶에 미치는 정도가 다를 뿐 누구나 하고 있는
고민이고, 누구나 했을 법한 고민입니다. 그렇기에 <고민과 소설가>에서 나이는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CC를 두고, 캠퍼스 커플,
컴퍼니 커플, 쳐치 커플로 나누어 해석하는 꼼꼼함을 발휘하는 저자의 이야기가 20대를 향한다고만 할 수 있을까요?
그는 스스로 말합니다. 대충 쓴 척했다고
말입니다. 하지만 글을 읽다보면, 대충 쓰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점에 있어서 저자의 말은 모순적입니다. 그의 대답에서
'대충'이란 느낌이 조금도 나오지 않습니다.
“‘마음의
소리’라고 표현하셨죠. 자기 마음의 속삭이는 말에 귀 기울여보시기 바랍니다. 원하는 것이 심리적 행복과 물질적 행복 중 어느 쪽에 더 가까운지.
마음은 한쪽으로 부등호를 가리킬 겁니다. 그 부등호가 가리키는 방향이 질문자님이 원하는 삶입니다.”
- 마음의 소리,
현실 사이의 타협. 어느 쪽을 선택해야 좋을까요?
“다시 말하지만
마음이 가는 대로 하세요. 시들해지면 좋은 추억으로 간직하고, 마음이 입과 발길을 움직인다면 그에게로 가세요. 그래서 만나보고 ‘이게 진짜
사랑이다’싶으면, 그 친구에게도 솔직하게 고백하세요. 사랑에는 항상 대가가 따른답니다.”
- 친구의 친구를
사랑하게 됐어요.
"단, 부탁드리고
싶은 게 있습니다. 내 기대에 못 미친다해서, 타인을 혐오하지는 마세요. 몇몇 볼썽사나운 개인이 특정 그룹에 속해 있다 해서, 그 집단 전체를
수준 이하라고 일반화하지 마세요. 이런 편견이 결국은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한 지역감정과 무수한 집단 혐오정서를
낳았으니까요.
결론지을게요.
사람은 변합니다."
- 한국 사회의
사람들이 싫어지고 있어요.
"잘
다녀오십시오. 1년의 경험으로 갑자기 인생이 바뀌진 않겠지만, 이제 긴 여행길에 첫발을 내디뎠다 생각하고 그 과정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세상에
단기간에 얻을 수 있는 건 체중밖에 없습니다. 나머지는 모두 시간이 걸립니다. 그러니 역설적으로 말하면, 시간이 걸리니 기왕할 것 어서 열심히
하는 게 낫습니다. 그러면 이제부터 생은 차차, 조금씩, 서서히 풍성해지고 다채로워질 것입니다."
- 선배 말처럼,
정말 교환학생은 내실이 없을까요?
누군가에게 한없이 묵직한 고민을 가볍게 만드는
힘을 가진다는 건 참 어렵습니다. 사람에 대한 애정과 그 고민을 가볍게 여기지 않고 들여다보고 자신의 고민을 반복한 끝에야 얻을 수 있는
경지라고 생각합니다. 소설가 최민석씨는 상대방의 고민을 대하는 법을 알고 있는 듯 싶습니다. 그리고 자신에게 고민을 보낸 사람들의 마음을.
책으로 읽는 나는 가볍다 여겼던 고민조차, 고민 당사자에게는 모르는 상대에게 토로하고 싶을 만큼 큰 고민이라는 사실을 말입니다. 그 고민을
저자는 자신의 고민처럼 끌어안아 고민한 뒤에 그 답을 한 것 같았습니다. 그렇기에 그의 답변은 또 다른 사람이 고민을 토로할 수 있게 만드는
힘이 있습니다. 마치, 나미야 잡화점의 할아버지와 같다고나 할까요? 고민을 곱씹고 곱씹은 최민석씨는 <고민과 소설가>에서 위로를
건네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그의 답변이 한없이 진지한 건
아닙니다. 글의 서두나 말미 혹은 추신에 한 발 떨어져서 유쾌함을 더합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그 고민에 대한 책임은 본인 스스로가 지는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고민 상대방이 자신의 생각과 다른 생각을 했을 때, 다른 답을 가질 수 있는 마음의 여유를 주기 위함입니다.
피식, 웃음을 부르는 어조로 하기 때문에 이 자체로도 유쾌합니다.
“이 고민이 당신을 참 힘들게 하는군요! 그럴
수 있습니다."
"그 고민도 조금만 다르게 생각해보면 조금
가벼워진답니다.”
"당신이 다르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당신을 다 모르니까 말이죠"
"저도 이런 고민을 가지고
있답니다."
<고민과
소설가>! 진지함과 유쾌함을 오가는 완급 조절이 좋은 고민 문답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