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러 가자고요
김종광 지음 / 작가정신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농촌 소설

 

별거 아닐 수 있지만, 난 농촌 소설이라고 하면 뭔가 어색하고 묘한 이질감을 느끼곤 했다. 농촌, 시골에서 보낸 시간이 제법 있지만 이상하고 문학 작품으로 만나면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낯섦을 느끼곤 했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니 그동안 내가 읽은 농촌 소설이 내가 살아온 시간 이전을 담고 있어서란 생각이 들었다. 근현대사 한국 문학 필독서라는 명분하에 채만식의 『태평천하』, 이문구의 『관촌수필』 등을 읽었다. 역사가 말하지 않는 시대상을 읽을 수 있었기 때문에 뜻깊었지만 솔직히 중고등학생 때 이 책들을 읽으며 즐겁진 않았다.

 

김종광 소설집 『놀러 가자고요』를 읽기 시작했을 때, 난 내가 가지고 있던 '농촌 소설'의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읽기 시작했다. 『놀러 가자고요』는 내가 그동안 생각했던 '농촌 소설'과 조금 달랐다. 소설집 『놀러 가자고요』는 아홉 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단편은 나이도, 성별도, 하는 일도 모두 다른 개인의 삶과 그 주변에 집중한다. 우리나라 역사 속의 한 장면을 담은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의 일상에 집중한 글이기 때문에, 내 삶과 동떨어진 이질감보다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느낄 법한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 꼭 농촌이어서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농촌에서 부각해서 더 도드라져 보이는 감정들을 담고 있었다. 과연, 어떤 감정들일까? 농촌에서도 인정해야 하고, 도시 중의 도시 서울에 살고 있는 나도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피할 수없이 받아들여야 하는 감정들을 소설 속 인물들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그래도 나는 장사모에 다시 가고 싶었다. 나는 할아버지들이랑 장기 두는 게 싫지 않았다.
훈수만 안 둔다면, 뭐라고 꿍얼대지만 않는다면, 머리통이나 어깨를 툭툭 치지 않는다면, 얼마나 좋을까.
할아버지들은 애가 귀여워서 그런 행동을 한다던데, 난 도무지 이해하기 어려웠다.
_ 「장기호랑이」 중에

 

장기를 좋아하는 한 소년의 말이다. 장기와 소년은 좀처럼 어울리지 않지만, 소년과 노년의 만남 그리고 그 사이에 낀 중년이라는 세대가 마주치는 모습은 그리 낯설지 않았다. 어린아이가 시대마다 달라지듯이 어르신들 역시 시대마다 달라진다. 살아온 시간의 차이만큼 살아온 환경도 달랐다. 문학은 당대를 가장 잘 보여주는 거울이라고 말한다. 소년과 노년 사이에 벌어진 격차 그 사이를 연결해주는 것인지 끼여 있는 것인지 알 수 없는 중년의 위치를 표현하는 데, 이상하게 공감이 갔다. 두 세대 사이에서 아슬아슬 조마조마한 감정을 느끼며 동시에 중간에서 서로에게 사과를 하는 모습에 겹쳐지는 것들이 많았다. 단지 장기 두는 모임에서만 있는 모습이 아니라, 다양한 세대가 함께 공존하는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모습이다.

 

나는 농촌에서 나고 자랐으나 농부의 아들이 아니었다. 어린 시절에 나는 참 이상했다. 우리 집은 왜 논이 없을까? 왜 두어 두락 밭농사만 겨우 짓고, 벼농사를 짓지 않는 것일까?
_ 「봇도랑 치기」

 

농촌에 살아가는 사람들을 우리는 흔히 "농촌"이라는 장소에 묶어 하나로 생각한다. 그들의 생각과 고민은 "도시"에 살고 있는 나와 다른 것이라고 생각한다. 똑같은 사람이고, 동일한 시간을 살아가고 있는데도 말이다. 『놀러 가자고요』의 많은 소설의 배경은 대부분 농촌이다. 김종광이라는 소설가는 지금 농촌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수집하는 사람 같았다. 그가 만난 사람인지, 그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인지 알 수 없지만, 아홉 편의 소설 속에는 여러 농촌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이야기는 드라마와 같고, 비록 소설 속에선 드라마 속 짧은 장면을 확인하는 것뿐이지만 그 짧은 순간 속에 그들의 생은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그들의 삶 속에 마주하는 생각과 감정은 "농촌"이라는 장소를 넘어 "도시"의 삶과 닮아 있다. 사람이 사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있을 법안 이야기들이다. 다만 이 이야기들이 더 강렬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도시에서 무미건조하게 전해져 느끼기 쉽지 않았던 감정들이 더 진하고 깊이 있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환갑 넘어 일주일에 한 번씩 쓰는 요즘 일기에도 어머니는 곧잘 ‘죽고 싶다’고 적어놓았다. 일기에다 ‘죽고 싶다’고 쓰는 사람은 저 하늘에 별처럼 허다하다. 그렇지만 ‘죽고 싶다’는 일기는 자식에게만은, 부모에게만은 보이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 아닐까. 어머니가 일기장을 자식들이 머물다 가는 바깥채 텔레비전 밑의 서랍, 눈에 아주 잘 띄는 곳에 놓아두는 것이 싫었다. 아니다, 어머니 일기장을 보면 안심이 된다. 어머니가 일기를 쓰지 않았다면 그 마음을 누구에게 혹은 어디에다가 풀었을 것인가. 어머니는 죽고 싶을 정도로 거시기한 마음을 종이에 풀었을 뿐이다.
_ 「만병통치 욕조기」

 

하지만 보통은 농촌 소설이라고 하면 우리는 도시에서 잃어버린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한다. 마치 오리엔탈리즘의 구조로 농촌을 바라보곤 한다. 끈끈한 가족 간의 정, 세대 간의 차이보다 인정이 보편적인 공존의 장, 진정한 이웃 관계 등. 도시에서 지친 도시민의 삶이 기댈 수 있는 곳, 비록 명절에 며칠 방문하는 곳이지만 허무함과 공허감을 채울 수 있는 특별한 곳이라고 말이다. 하지만 『놀러 가자고요』의 농촌은 그런 곳이 아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농촌다움이라는 공간감으로 다 담을 수 없는 무언가가 담긴 곳이다. 농촌이라는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그 배경 보다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에 집중한다. 소설 속 어르신들의 말과 행동에는 치열하게 생을 버티는 도시민들 못지않은 고달픔을 견디며 쌓은 다양한 지혜가 담겨있다. 그리고 이를 농촌에 사는 사람이라는 특징에 묶기 보다 도시든 농촌이든 어디에서 살든 필요한 것들이다. 도시에서 어르신들의 삶을 조명해도, 난 이 소설 속 어르신들이 터득한 삶의 지혜를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단지 그 지혜를 발견하는 방법이 다를 뿐.

 

누가 한숨 좀 쉰다고 대수로울 것 없다.
그러나 그 한숨이 아홉 살배기 가슴에서 나오는 것이라면? 하루에 수십 번, 수백 번이 아니라 종일토록 나오는 것이라면? 그리고 그 아홉 살배기가 다른 사람의 새끼가 아니라 내 새끼라면?
다른 아빠들은 어떨지 모르겠으나 나는 몹시 짜증이 났다.
_「아홉 살배기의 한숨」

 

소설 속 인물들이 썩 마음에 들지 않다. 당연하다. 내 마음에 드는 사람을 찾기 힘든 만큼, 소설 속에서 내 마음에 드는 인물을 찾기란 쉽지 않다. 『놀러 가자고요』의 저마다 자기 고집을 가지고 있고, 속에 담아 두지 않고 밖으로 거침없이 분출하는 아이나 어른, 어설프게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 오히려 그 감정들이 더 선명하고 보이는 사람들까지. 썩 내 마음에 드는 사람들은 없었다. 하지만 그들 한 사람 한 사람은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그들이 삶을 살아가는 방식과 모습은 생각보다 괜찮았다. 견딘다 혹은 버틴다는 표현을 써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고달픔을 안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을 살아가는 모습이 당연할 수도 있다. 어쩌면 평범할 수도 있다. 달라지는 것 없이 호탕한 웃음으로, 혹은 씁쓸함으로 삼키며 감내하는 건 특별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사람이 자신의 삶을 바꾸는 건 쉽지 않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삶을 바꾸는 것만큼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는 개개인의 삶 역시 쉽지 않다. 아마 소설가 김종광이 글로 담아낸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아홉 편의 짧은 이야기를 읽으며, 들었던 모든 생각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건 쉽지 않다. 보통 소설에서 확실하게 돋보이는 '특별함'이 이 소설에 잘 보이지 않아서 그런 것 같다. 그런데 그 특별함, 깔끔하게 정리할 수 없는 그것이 이 소설이 지닌 매력이다. 누군가는 이 소설을 읽고 아무것도 느끼지 못할 수도 있고, 감명 깊게 느낄 수도 있다. 나 역시 모든 소설이 동일하게 좋았던 것은 아니다. 어떤 소설은 재미없었고, 어떤 소설은 천천히 읽어도 무슨 이야기인지 알기 힘들었다. 다시 생각해보니 당연했다. 저마다 다른 삶을 살아왔으니, 각 삶에서 느낄 수 있는 바는 다를 수 있다. 그런데 별거 아니라고 느끼는 감정 뒤에 무엇이 있는지, 특별하다고 느끼는 감정 뒤에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볼 때 자신에게 와닿는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사람의 인생을 읽고, 그 이야기의 의미를 나만의 이유로 생각할 때 소설은 읽을 가치가 생긴다. 
우리가 문학을 읽는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