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자 노자 석가 - (양장)
모로하시 데쓰지 지음, 심우성 옮김 / 동아시아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일본이 자랑하는 세계적인 학자인 저자 모로하시 데츠지의 오랜 세월의 공부(이 책은 저자가 100세 때 쓴 것으로 이 책이 출간되던 해에 별세했다고 한다.)가 녹아 들어 있는 이 책은 "진정 제대로 알고 있는 자만이 쉽게 쓸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확인시켜 준다. 이 책은 공자와 노자와 석가의 대화체 형식을 띠고 있다. 대화체의 글은 가독성은 뛰어나지만, 글의 내용 전개가 산만하고, 주제에 대한 옹골찬 천착이 어렵다는 단점을 지닐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은 대화체의 이러한 단점을 모두 극복하면서 뛰어난 가독성과 독자로 하여금 사고의 반성적, 상승적 전개를 하게끔 유도하는 대화체의 장점을 고스란히 지니고 있다. 서로 조화하기 어려울 만큼 개성이 강한 세 사람의 사상이 산만하지 않게 잘 정리될 수 있었던 것은 세 사람의 사상을 완숙하게 이해하고 있는 저자의 뛰어난 내공 덕이었음은 두 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저자는 공자와 노자와 석가 이 세 성인의 생애에서부터 사상 전반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주제를 다룬다. 우리는 여기서 이 '폭'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세 성인의 자연관, 인간관, 생사관, 정치관, 형이상학, 핵심개념(공자의 仁, 노자의 無, 석가의 空 등등)을 종횡무진 하면서 쉬우면서도 충실하게 잘 설명하고 있다. 세 성인의 사상에 대한 설명은 물론 구체적인 전거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저자가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는 텍스트는 공자의 <논어>, 노자의 <도덕경>, 석가의 경우는 <반야심경>이다. 그다지 두껍지 않은 책 속에서 세 성인의 살아 있는 목소리가 담긴 원전을 직접 읽을 수있다는 것도 이 책의 큰 장점이다. 그것도 엑기스만 말이다! (저자의 원전 인용에 대해서 역자가 역주를 통해서 성실하게 부연설명하고 있다는 것도 이 책의 등급이 올라갈 수 있는 이유가 된다. 읽는 분들은 역주도 꼭 읽어 보시길...)
물론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공자와 노자에 비해서 석가의 비중이 좀 작게 처리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 역시 책 곳곳에서 불교사상에 대해 자신이 없음을 드러내는데서도 알 수 있듯이 말이다. (그러나 반야심경 같은 경우는 전문을 번역, 해석, 설명하면서 석가의 공사상을 파헤친다. 반야심경이 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의 하나라고 할 때, 불교의 비중이 꼭 작다고만은 할 수 없으리라.)
김용옥신드롬 혹은 작금의 동양학신드롬을 단순히 일회성 유행으로 끝나게 하지 않고 이러한 현상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고 싶다면 우리는 이러한 유행에 휩쓸리기 보다는 이 시점에서 그리고 (좋은 기회라고도 할 수 있는)이러한 상황에서 냉정하게 동양학 더 나아가 인문학이 나아갈야 할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모색은 물론 추상적이고 형식적이어서는 안된다. 글쓰기 방식, 책읽기 방식, 토론의 방식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쟁과 고민이 필요한 것이다. 불안한 유행 속에서 <공자 노자 석가>와 같은 대중에의 접근가능도가 높으면서 내용이 충실한 책을 통해서 위의 고민에 대한 방향을 제시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끝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