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철부지 아빠 - 제9회 푸른문학상 동화집 미래의 고전 26
하은유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푸른 문학상 수상작 동화집은 전에도 접해보았는데 절대평가로 우수한 작품들이 많으면 여러편 뽑은 방식으로 되어있어서 이번에도 좋은 작품들을 많이 만날 수 있을것 같다는 기대감이 들었습니다. 차례에 총 8명의 작가가 쓴 작품이 실려있는 모습이네요.

<환승입니다>에서는 버스의 '환승'과 같은 이름을 가진 환승이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저도 버스를 타서 환승입니다 이 말을 들으니 작품이 떠오르면서 슬며시 웃음짓게 되더라구요.

아들의 이름을 통해 다시 한번 희망을 가지게 된 가족의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척 보면 알아요>에서는 눈이 보이지 않는 손자와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기 위해 애쓰는 거동 불편한 할머니의 이야기네요. 손자는 손자대로 할머니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이 참 따뜻해 보였고 마지막 장면에서는 아이의 마음씀씀이에서 뭉클함을 느꼈습니다.

<마법을 부르는 마술>에서는 초등학교 아이들이 마술 연습을 하면서 자기보다 잘하는 친구에 대해 시기심을 느끼고 마술 도구를 엉망으로 만드는 행동을 하지만 왜 그 아이가 마술을 할 수 밖에 없는지 이유를 듣고 자신의 행동의 잘못된 점을 스스로 깨닫는 모습이네요. 그 일로 인해 한층 성장할 수있는 계기도 되었겠구요.

<너 그 얘기 들었니>에서는 초등학교 아이들 사이에서 퍼져나가는 소문과 영향, 그리고 그 소문이 커지는 과정과 주인공들의 심리변화등을 엿볼수 있었습니다. 소문은 말을 옮기는 과정에서 커지기 마련인데 그것으로 인해 피해를 겪는 당사자와 그 주변 인물들의 모습을 보면서 말을 할때 조심해서 해야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공짜뷔페>에서는 엄마 없이 형제끼리 사는데 뷔페에 가고 싶은 마음에 축의금 봉투에다가 편지를 넣고 맛있는 밥을 먹고 그러다가 사건이 벌어지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볼 수 있었습니다.

<나의 철부지 아빠>에서는 엄마없이 아빠와 함께 살고 있는 아이가 나오는데요 철부지인 아빠보다 훨씬더 성숙되고 잘 생활하는 모습이 참 기특하더라구요. 그러다가 아빠가 미혼부이고 어머니가 자기를 두고 가버렸다는 소리에 큰 충격을 받게 되구요. 하지만 마지막에 아빠와 서로간의 마음을 열고 갈등 해소가 되더라구요.

작품 하나하나마다 갈등의 요소, 갈등의 해소, 심리적 변화 등을 잘 드러내고 있어서 동화집이지만 어른인 제가 읽어도 다음에 어떻게 될까하는 기대감과 장면장면 뭉클함, 안타까움, 따뜻함이 교차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