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중물 마중불 - ‘우리나라 좋은 동시 문학상’ 수상작 동심원 13
정두리 지음, 성영란 그림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마중물 마중불이라는 제목을 보고선 이게 과연 무슨말일까 궁금해졌답니다.

표지의 노란 바탕이 봄의 느낌을 한층 느끼게 해 주고 있고 중간에 창문으로 밖을 내다보고 있는 아이의 모습이 누군가를 기다리는듯한 모습이어서 과연 제목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궁금해서 목차를 보고 마중물 마중불부터 찾아 읽기 시작했는데요 펌프질 할때 물을 잘 나오게 하려고 한바가지 먼저 붓는 물을 마중물이라고 하네요. 그것처럼 아이를 기다리는 엄마가 손전등을 마중불이라고 표현했네요. 마중나간다는 표현은 일상적 표현인데 거기다가 물과 불의 명사를 붙여보니 또 색다른 느낌이 들더라구요.

몽고반점, 모서리, 내 동생 경준이에서는 마치 우리 아이들 이야기를 써 놓은듯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이들 처음에 태어날 때 몽고반점을 누구나 다 하나씩은 가지고 있고 많이 울기도 하는데 어른들은 그런 아이의 모습이 이뻐서 웃기만 하니 말이지요.

아이들 어릴때는 책상 모서리에 부딪히는 일도 많고 해서 많이 울었는데 탁자는 아기 울음이 그쳐서 그래도 다행이라고 생각하네요.

까슬까슬에서는 어렸을적 만져보았던 할머니의 손바닥, 할머니 등 긁어드리던 생각도 나고 햇살 받아 잘 마른 수건에서의 감촉도 느껴졌구요. 햇살 받아 잘 마른 수건의 느낌은 참으로 개운한 느낌도 들었지요.

길에서 시 읽기에서는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짧은 시에 관한 이야기인데 저도 요즘 시집을 읽다보니 길을 가다가도 붙여져 있는 시를 꼭 읽어보게 되는 습관을 가지게 되었답니다. 이 시의 주인공도 시 앞에 섰는데 엄마는 버스노선을 보러, 아이는 시를 보러 섰네요.

같은 공간에 있지만 어디에 관심을 두고 어디를 보느냐는 개인의 선택이라는것도 느낄수 있있었구 시의 마지막줄을 못 읽어서 어떤 구절이 나왔는지 또 궁금해졌답니다.

곤충도감에서는 실제로 우리가 관찰한 상황이 아닌 우리는 도감이나 책만을 보고 지식만을

쌓고 있는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실제 경험해야 잊어버리는 경우도 적고 한데 말이지요..

동시를 쭉 접해보니 책 뒷부분에 시인의 말처럼 세상모든 것이 동시의 대상이 되고 또 우리는 동시와 함께 생활하고 있구나 하는걸 몸소 느낄수 있었답니다.

저의 주변의 일상적인 모습들도 동시로 표현해보고 싶은 생각도 들었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