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에 끝내는 대화의 기술 - 일, 사랑, 관계를 기적처럼 바꾸는 말하기 비법
리상룽 지음, 정영재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시간에 끝내는 대화의 기술
#리강룽

말은 곧 소통이다. 말로 자기 생각을 전달하며 타인과 의견을 나누고 협력하여 공감을 얻어낸다. 소통이 잘되면 갈등도 줄어든다. 말을 안 하는 것보다 더 치명적인 것이 바로 말로 하는 공격이다. 말은 칼보다 힘이 세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더 강한 위력을 동반한다.

부부의 대화에서 상대를 무시하는 태도는 절대 금물이다. 부부는 말뿐만 아니라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를 갖춰야한다.

소통은 예술이자 심리학이다. 아무리 말을 잘하더라도 진정성이 빠져 있거나 상대에 대한 배려가 없다면 의미 없는 말이 된다. 입은 마음의 문이다. 자신이 하는 말로 에너지와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당신이 영향을 끼치는 무리의 사람들이 모두 낙관적이라면 당신도 낙관적일 수밖에 없다. 이것이 언어의 작용이자 힘이다.

말은 생각의 저장 장치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긍정적인 에너지를 가진 언어 체계 속에 있다면, 그의 사고는 긍정적으로 바뀐다. 비난과 불평의 언어 속에서 지낸다면 비관적인 사람이 될 수밖에 없다. 말은 생명을 살리는 복음이 되지만 저주로 작용하기도 한다.

하루에 하는 말 중 뇌를 거치지 않고 무심결에 내뱉는 말이 얼마나 많은가. 무심코 하는 그 말들에 주의를 기울이자. 이러한 말들은 하면 할수록 우리의 잠재의식에 스며든다. 주술을 거는 것처럼 반복하면 자신이 의도와 다르게 운명에 영향을 준다.

사람의 말 뒤에는 뜻과 요구가 숨어 있다. 말에 숨긴 기본적인 요구는 상대와 서로 다른 이익으로 이어진다. 이를 간파하지 못하면 갈등이 증폭된다. 그리고 지속적인 소통을 위해서는 상대에게 호기심이 있어야 한다. 상대방이 나의 관점에 반대하는 데에는 분명히 이유가 있다. 왜 반대하는지, 그의 생각은 무엇인지, 어떤 이유를 대는지 이렇게 궁금해하는 요소가 호기심이다. 자기 의견만 내세우기보다 서로 다른 가치관을 받아들여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