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길 인문학 수업 : 뉴노멀 - 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표준에 대한 인문학적 사고 퇴근길 인문학 수업
김경미 외 지음, 백상경제연구원 엮음 / 한빛비즈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퇴근길인문학수업
#백상경제연구원


코로나 19이후의 세상은 이전과는 확연히 달라질 것이다. 성장은 멈추고 관계는 멀어지면서 단절과 소외의 시간이 길어지고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 변화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아마도 인문학이 삶의 돌파구를 찾기 위한 영감을 줄지도 모른다.


☑️ 변화에 맞춰 변화하기

디지털 시대의 유일한 상수는 ‘변화’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 간격은 점점 짧아지고 있으며 변화 속도 또한 점점 빨리지는 중이다. 이런 시기에 성공하는 사람과 실패하는 사람은 지극히 작은 차이로 갈리는데, 그 기준은 바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느냐’이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최대한 빨리 변화를 받아들이는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다.

하지만 변화를 마냥 두려워할 필요도 없다. 불과 10년 전만에 해도 스마트폰이 낯설었지만 이제 한국의 경제활동인구의 99%가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사용한다. 게임을 즐기듯 변화의 물결에 올라타자. 앱을 내려받고 SNS 계정을 만들어보자. 변화에 올라타서 즐기는 것이야말고 끝없이 변하는 세상에 휘둘리지 않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 공유경제, 구독경제, 중고거래

소유의 시대에서 접속의 기대로 경제 페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공유경제, 구독경제, 중고거래는 이제 주류 비지니스 모델로 부상했다. 적은 비용으로 더 넓은 선택권을 누릴 수 있다는 강력한 이점 덕분에 이용자가 빠르게 늘었다.

이처럼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이 일상화되면 소유의 시대를 살던 인류의 최대 고민 ‘한정된 자원’ 아래서의 선택과 기회비용 문제’가 사실상 무의미해질 수 있다. 접속의 시대로 갈수록 시장은 재화의 소유권을 팔기 위해 판매자와 구매자가 만나는 장소가 아니라 공급자와 사용자가 잠시 만나 접속권을 교환하는 공간으로 변할 것이다.



☑️ 과학적 태도의 중요성

과학은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태도일 뿐이다. 과학의 분야는 굳이 자연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체에 더 가까이 가고 오류를 덜어내는 방법이자 태도이다. 올바른 지식은 과학적 과정을 거쳤다. 살면서 지식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과학적 태도로 사람이나 상황을 살펴보는 것이다.

우리는 각자의 성장 과정과 경험으로 형성된 개인적 편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과학은 편재된 관념과 삶에 대하여, 보다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태도가 성장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한다.

사고가 아니라 관찰만 객관적으로 잘해도 인식이 달라지고 작은 변화가 일어날지 모른다. 개인의 수준에서도 어쩔 수 없는 과거의 흔적이 자신의 미래를 잘못 인도하지 않도록 주관적인 믿음에서 조금은 자유로워지자.

그리고 다음 세대가 더 나은 세상에서 살기를 원한다면, 과학적 태도로 집단지성을 키워나가야 한다. 지구를 지키기 위한 생태계적 노력도 필요하지만 사회적 편견과 부조리를 바로잡기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 진정한 행복이란?

내 인생의 가장 좋은 친구는 나 자신이다. 그런 나 자신과 온전히 마주하려면 일상을 조금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고요함을 즐기고 단순함을 추구하면서 약간의 결핍과 불편은 즐길 줄 아는 태도가 필요하다.

삶 속에서 맛보는 기쁨 또한 행복의 중요한 요소다. 어차피 내 마음대로 되지 않을 세상이라면 돌아가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도 지혜다. 그 안에서 작은 즐거움을 찾는 것이 행복으로 가는 길이다.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현재의 기쁨을 놓칠 필요는 없다.

매사에 감사하고 가진 것에 만족하며 사는 사람들의 밝은 기운은 다른 사람에게도 전염되어 주변 사람까지 행복하게 한다.

행복을 잃고 난 뒤 과거를 회상하며 후회할 것이 아니라 현재에 만족하고 지금 이 순간 즐겁게 살면서 나만의 방법을 꾸준히 실천해나가다 보면 어느 날 문득 찾아오는 선물이 아닐까? 행복은.



#책스타그램 #자기계발 #성공 #북스타그램 #book #bookstagram #북리뷰 #책리뷰 #리뷰 #글 #글스타그램 #좋은글귀 #명언 #한빛비즈 #뉴노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