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에 철학이 중요한 이유

학교의 존재 목적은 지•정•의를 갖춘 전인적 인간을 길러내는 것이다. 아니 이런 이상적인 교육 표어를 내걸고 사회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이다. 과거에는 기존에 있던 지식과 기술을 잘 습득하기만 하면 누구나 사회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될 수 있었다. 하지만 미래에는 다르다. 공감 능력과 창조적 상상력을 가져야 한다. 선진국의 학교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서 철학을 교육의 핵심으로 삼은 이유다. - P2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곧 헛된 것과 거짓말을 내게서 멀리 하옵시며 나를 가난하게도 마옵시고 부하게도 마옵시고 오직 필요한 양식으로 나를 먹이시옵소서 (잠언 30:8)

우리가 부를 쌓는 목적이 하나님의 뜻과 같고 하나님의 일을 하는 것이라면 하나님이 도와주실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을 보내 주시고 기가 막히게 재원이 마련되도록 해주실 것입니다. 하지만 그 목적이 탐욕에 불과하다면, 아마 쌓다가 거기에 깔려 죽게 될 것입니다. 다 쌓지도 못하는 것입니다. 돈 많은 사람이 부자가 아니라 돈 잘 쓰는 사람이 부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조건 이윤을 많이 남긴다고 다 좋은 건 아니다.

이익률을 정했다면 어떻게 그 수치를 만들 것인가. 여기서 원가 관리는 필수다.
"모든 이익은 원가 기획 단계에서 결정된다." 《도요타의 원가)라는 책에 나오는 말이다.
장사를 하려면 원가 기획을 정확하게 할 줄 알아야 한다. 원가 기획을 하기 위해선 모든 걸 알아야 한다. 단순히 ‘원재료가 1,000원인데 3,000원에 파니까 2,000원이 남네‘가 절대 아니다. 인건비, 4대 보험, 각종 공과금, 세금, 퇴직금, 보험료, 감가상각비 등 모든 걸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월 매출이 5,000만 원일 때와 1억 원일 때는 수익률 자체가 달라진다. 당연히 매출이 오르면 수익률이 높아진다. 어느 정도 높아지는지 본인이 계산할 줄 알아야 한다. 수익이 높아지면 그만큼 고객에게 돌려줘야 한다. 수익이 생기는 족족 주머니에 챙기면 오래가지 못한다.
반드시 정확한 수익만 남기고 나머지는 재투자를 해야 한다. 그래야 100년 기업을 만들 수 있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퍼스널 브랜드의 중요성

내가 먼저 브랜드가 되어야 한다. 브랜드가 된 사람은 스스로 생각하는 사람이다. 당신은 얼마짜리 브랜드인가? 당신은 지금 얼마를 벌 수 있는가? 정확하게 분석하고 인정한 후 몸값을 높이자. 몸값을 높이는 방법으로, 경험을 통해 실력을 키우고, 실패한 분야를 더 배우고, 독서로 세상을 보는 눈을 만드는 것 말고 또 무엇이 있겠는가?

축하한다. 당신은 이제 당신만의 브랜드를 가졌다. 브랜드의 힘은 막강하다. 그 어떤 주식이나 부동산보다 훌륭하다. 브랜드는 꾸준한 현금 흐름을 만들어주는데, 꾸준하게 생산되는 현금의 힘은 막강하다. 매일 10만 원씩의 매출로 만든 1,000만 원이, 갑자기 생긴 10억 보다 힘이 강하다. 꾸준한 현금 흐름이 당신의 미래를, 당신의 가족을 책임져준다.
당신의 브랜드가 1,000억 원에 매각됐다는 소식을 기다리겠다. - P1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적 생물학자 베른트 하인리히는 <뛰는 사람>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사소한 사건이 꾸준히 쌓여 마침내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는 자연의 운영 방식에 경탄을 금할 수가 없다."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씨앗들이 땅에 떨어지고, 꾸준히 시간이 흘러 거대한 숲이 된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작은 습관을 꾸준히 쌓으면 거대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내공이 생긴다. 이 내공으로 운을 만들 수도 있다. - P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