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맨션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게 도시화되고 기업화된 근미래를 배경으로 한 SF다. 쇠락한 어촌에 한 대기업이 빌딩과 공장을 지어 도시화를 추진한다. 마을은 급격하게 성장하며 새로운 생명을 부여받은 듯했지만, 지역의 생태계는 기업 중심으로만 돌아가고 지자체는 곧 파산하고 만다. 기업은 지자체를 인수하여 도시국가를 세운다. ‘타운’이라 불리는 이 작은 국가의 주민이 되기 위해서는 자격요건이 필요했고 자격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은 본국으로 추방되거나 임시 거주권을 얻어 머물러야 한다. 그마저도 안 되는 사람들이 인생의 벼랑 끝, 막장처럼 도달하게 되는 곳이 바로 ‘사하맨션’이다.

소설은 사하맨션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을 한 명씩 비추며 이야기를 전개한다. 의문에 싸인 ‘수’의 사망사건을 시작으로 어쩌다 그곳에 흘러들어오게 되었는지 각자의 사연을 들려준다. 타운의 국민들은 사하맨션 거주자, 일명 ‘사하’들을 천시하고 경멸하지만, 누군가는 해야만 하는 허드렛일들을 사하들이 도맡아서 처리해 준다. 극빈자, 버려진 고아와 노인, 본국에서 떠나온 난민, 범죄자 등 낙오자들이 흘러들어오는 하수처리장 같기도 하다. 피라미드의 최하층에 자리잡은 이들은 아이러니하게도 타운에서 가장 인간다운 정을 나누며 살아간다.

계급 문제를 다룬 작품들이 대부분 그렇듯 이 소설도 우리 사회의 거울상이 되어 소외된 자들의 모습을 하나하나 비춘다.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이 소설의 주인공격인 ‘진경’이 망연자실하게 길을 걷다가 눈부신 햇살 속에 웃고 떠드는 학생들을 바라보는 장면이었다. 어떤 이들은 세상의 밝은 부분만을 보고 싶어하고 애써 고개를 돌려 외면하지만, 그런다고 어두운 면이 사라지거나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라는 것.

이런 비민주.비인권적인 국가가 국제기구나 인권단체 등 외부의 어떤 압력도 받지 않고 운영된다는 설정이 좀 비현실적으로 느껴졌다. 또한 결말이 쉽게 예측되고 설명이 누락된 듯한 부분이 있어 조금 아쉽기도 했다. (2019/11/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