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골든아워 1~2 세트 - 전2권 - 생과 사의 경계, 중증외상센터의 기록 2002-2018 골든아워
이국종 지음 / 흐름출판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시야에서 카트가 사라질 때 나는 죽음이 미소 짓는 광경을 본 것 같았다.‘

‘나는 어두침침한 복도를 지나 수술방으로 들어설 때 이곳이 ‘막장‘이라 여겼다.‘

‘아덴만의 영웅‘. 이국종의 이름을 알게 된 것이 그 때였던 것 같다.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되었다가 온 몸에 총상을 입고 죽음 직전에 있던 석해균 선장을 긴급 이송하여 살려낸 사건. 그 후로 중증외상센터장 이국종 교수의 얼굴을 종종 지면과 방송에서 볼 수 있었다. 그 때마다 사람들에게 호소하기도 하고, 때로는 체념한듯 냉소를 보내기도 하는 것 같았던 사람. 마치 세상의 짐을 혼자 다 진 것 같은 이였다.

이 책은 이국종 교수가 외과의사의 길을 걷기 시작하면서부터 중증외상 의료 시스템을 이 땅에 정착시키려 고군분투한 지난 십수 년 동안의 기록들로 채워져 있다. 단지 이국종이라는 의사 한 사람의 이야기만이 아니었다. 이국종은 자신과 함께 최전선에서 생사를 넘나들며 구조와 의술에 몸을 아끼지 않은 수많은 사람들의 이름과 행적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는 자신을 전형적인 ‘이과 남자‘여서 글솜씨가 부족하다며 겸양을 나타내지만, 매일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몸부림치며 싸워온 이가 아니었다면 이토록 절박하고 생생한 문장들이 나왔을까.

사실 이 책에서 미래에 대한 희망보다는 이국종 교수가 현장에서 맞닥뜨렸을, 지금도 맞닥뜨리고 있을 좌절과 절망의 감정이 더 크게 느껴졌다. 아무리 호소하고 매달려도 바뀌지 않는 의료계와 정치권, 일반 시민들. 그들의 무사안일주의, 이기주의, 그리고 무관심. 분노는 점차 무력감으로, 급기야는 체념으로 바뀌게 된다.

어깨가 부서지고 다리가 망가지고 한쪽 눈을 거의 못쓰게 될 정도로 개인을 한계점까지 밀어붙여야 간신히 유지되는 시스템은 언제까지 지속될까. 읽는 내내 한숨과 탄식이 끊이지 않았다.

‘언젠가는 내게도 끝이 올 것이다. 시스템이 없는 곳에서 태어난 이 중증외상센터가 제대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 같지 않았다. 내 몸은 조금씩 부서져가기 시작했다. 끝이 머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