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원하는 삶을 살 것인가 - 불멸의 인생 멘토 공자, 내 안의 지혜를 깨우다
우간린 지음, 임대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어떻게 원하는 삶을 살 것인가?’ 라는 책은 고전을 읽어야할 필요성을 느끼고 중용에 대한 궁금증이 많아 질 때쯤 만나게 된 책이다. 공자의 사상 및 행적을 공자의 제자중의 한명인 자공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시각으로 쓴 책이다. 다른 논어나 중용, 대학 등의 해석이 주들인 책들과 달리 스토리텔링으로 전개 되어 조금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었던 것 같다.

 

책의 내용을 읽으며 공감할 수 있는 내용들도 많았고, 아직 공부가 부족해서 와 닿지 않는 내용들도 많았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 및 여러 군자의 도에 관한 이야기들도 재미있게 읽었다. 그리고 중용에 대한 관심이 많았으므로 중용 및 과유불급 등이 나오는 9 장을 관심 깊게 읽었다. 그러나 가장 기억에 남았던 내용은 10장에서 주로 나온 영생을 사는 방법이다. 인간의 수명이 100세 남짓한데 어떻게 영생을 살 수 있을까? 이 책에서는 기독교에서 나오는 천국에 가서 낙원에서 살거나, 불교에서 나오는 해탈과는 달리 현실에서 영생을 사는 방법을 이야기 하고 있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라는 속담이 앞의 내용을 뒷받침 할 수 있는 내용인 것 같다. 이름만 남기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인생, 사상, 삶이 고스란히 후손에게 전달되어 그 사람은 실존하지 않지만, 마음속에 영원히 산다는 것을 영생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죽음에 대해 이야기 할 때도 삶도 아직 다 모르는데 어찌 죽음(또는 사후세계)를 이야기 하냐는 내용이 있다. 사람이 살아갈 때 지금을 살아간다는 말이 진리라면, 사후세계를 논하기 보다는 이름(또는 사상)을 남기기 위해 현재에 수신부터 시작하는 것이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이 책을 읽으며 유교가 왜 4대 종교이고 공자님이 왜 4대 성인 중 한명인지 알게 되었고, 유교를 따를 것을 결심했다. 공자가 위대한 것은 위대한 사상을 가졌으면서 인간적인 면모도 보인 것 때문이라고 10장에 나온다. 유교가 가장 현실을, 인간의 본질을 잘 반영한 종교인 것 같다. 공자님을 선생님으로 모시고 앞으로의 삶을 살아갈 것을 다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