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내가 되고 싶었던 것은
고정욱 지음 / 샘터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고정욱 작가님은 어린 시절 소아마비로 인해 다리에 중증 장애를 가지게 됐어요. 장애를 가지게 되면서 바깥출입이 자유롭지 않게 됐고, 놀리는 아이들, 희망하는 학과 진학의 어려움, 강의 삭제 등 좌절을 겪었어요. 작가님은 이런 차별과 좌절을 딛고 지금 이 자리에 서기까지 수많은 일들이 있었지만 좌절하지 않고 자신만의 길을 가신 작가님을 볼 수 있어요.


『어릴적 내가 되고 싶었던 것은』에선 작가님이 차별과 좌절을 딛고 지금 이 자리에 서기까지 가장 힘을 준 5가지 가치를 소개한 책이에요. :)


📜 작가님의 살아온 배경과 이뤄온 것들을 알게 되고, 작가님께서 전달하는 메세지를 모두 읽고 나니 책 표지 뒷면에 적혀있는 소개 문구가 와닿았어요.


'우리는 왜 살아야 하는지 평생토록 고민하며 살아갑니다. 분명한 점은 모든 존재는 저마다 필요해서 그 자리에 있다는 것입니다. 이 사실을 깨닫고 나니 고통과 방황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자신만의 소명을 발견하고 따라야 하는 이유입니다.'


📜 추가로 인상 깊었던 챕터가 <그래도 나나 되니까>에서 작가님의 긍정적인 마인드가 너무 멋졌어요.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까진 아니지만 피할 수 없으니 긍정적으로 생각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고통이 뒤따라왔을까 싶은 생각도 들었던 챕터였어요.


P. 37 이미 상처가 생겨 버렸다면 필요한 것은 ‘왜 하필 나만 상처 입었을까?’ 하는 자책이 아니라 ‘나나 되니까 이 정도만 다쳤지’라는 위안이다. 왜 하필 내가 다쳤는지 고민해도 다치기 이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 그러니 이왕 다치고 상처 입었다면 차라리 ‘나나 되니까’ 이 삶의 고통 견뎌 내는 거라고 씩씩해져 보면 어떨까?


가끔씩 힘들거나 지쳤을 때 '나나 되니까'라고 생각하며 긍정적으로 생각하기로 했어요. 회사 다닐 때면 술이나 먹는 걸로 풀어내곤 했는데 이렇게 생각하면 좀 더 낫겠단 생각이 들었어요. 생각의 전환해 보자구!!!👍


📜 마지막으로 장애인에 대해 다시 한번 더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됐어요. 장애인을 배려한 시설들이 있긴 하지만 불완전한 것들이 눈에 보이더라구요. 사람들의 인식, 점자블록, 엘리베이터 등 이런 부분들이 확실히 개선되면 좋겠다란 생각이 들었어요.


이 책을 통해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된 것 같아요. 진심 작가님의 따뜻한 마음이 잘 전달돼서 읽는 내내 힐링받았어요.


〈예상치 못한 소식〉
내가 옳다고 생각한 방향대로 사는 것은 고독하지만 그 끝이 결코 막다른 길은 아니다. 언젠가는 오답이 정답으로 바뀔 테니까. - P51

〈포클레인과 무게추의 관계〉
삶에서 무게를 견디지 못하면 넘어져 일어설 수 없다. 우리는 무게추 덕분에 아침에 눈을 떠 일어나고, 힘들어도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출퇴근길에 바쁘게 걸어가는 사람들의 발걸음 뒤에는 가족, 형제, 친구, 부모, 자식이라는 무게추가 있다. 그 무게가 삶의 중심을 잡아 준다. 우리는 모두 작지만 강력한 포클레인이다. 삶의 무게를 짊어지고 길을 만들며 나아가는 포클레인 말이다. - P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