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주장법
허진희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의 주장법』은 일제강점기였던 1932년 경성, 한반도 곳곳에서 피어난 독초 '멍울독'에 얽힌 의문의 죽음을 따라 본질을 추격해 가는 역사사 미스터리 추리극이다. 


시인 백오교가 죽고 그를 따라 경성 제일 미남 미카엘이 죽으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사건의 조사를 의뢰받은 독초 박사 구희비는 차돌을 비서로 들여 함께 사건 현장을 찾아다니며 의문의 죽음을 추적한다. 시대가 일제강점기이기에 이유 없이 죽어도 억울하다고 표현이나 진실을 말하지 못했던 시대적 비극을 잘 표현한 작품이다.


"악을 들여다보면 볼수록 악에 물들기 쉬운 법이야."

그러니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악에 물들지 않기 위해 굳건하게 마음을 먹어야 한다. 희비와 차돌이 시대가 만들어낸 잔혹한 굴레를 벗어나 희망을 향한 발걸음을 시작했듯이, 악에 물들지 않으려는 이 분명한 마음을 가지고 살아간다면 조금씩이라도 앞으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_『악의 주장법』 소개글에서 발췌


읽으면서 오랜만에 옛 소설을 읽는 느낌을 받았다. 소설에 쓰인 어휘나 말투가 친근하여 반갑고 좋았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를 겪은 사람들의 고통은 얼마나 심했을까란 생각도 들었다. 일제강점기 시대의 책이나 영화를 보지 않은 요즘 다시 상기하는 시간을 보냈다. 사토가는 일본 기득권층을 잘 보여주는 것 같아 마음에 들지 않았다..


독초 박사 구희비가 차돌과 열심히 현장 조사를 했다. 독자인 나도 함께 살인의 현장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함께 추리하는 느낌이 들어 제법 재밌었다. 시대는 슬프지만 그래도 지지 않고 악인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멋지고 아름다웠다. 


권력관계에 얽힌 사람과 양면적인 모습의 인물 등 인물들의 모습이 입체적으로 그려져 소설에 빠져들었다. 특히, 구희비에 대한 차돌의 마음변화가 잘 보여서 그 부분도 재밌었음! ㅎㅎ

결론이 시원하게 잘 풀려서 마지막에 웃은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