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종말의 바보
이사카 고타로 지음, 윤덕주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종말의 바보] 는 [사신 치바]의 작가인 "이사카 고타로" 의 작품입니다. 

이 책은 지구에 혜성이 충돌하게 되어 인류의 멸망이 3년 정도가 남았다고 예상되는 시기에 

"센다이 힐즈 타운"이라는 아파트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얘기를 8개의 에피소드로 적고 있습니다. 

이미 혜성출돌이 알려진 것도 5년쯤 전이고, 그 5년동안 사람들은 광란하고, 폭도로 변하고, 

절망 혹은 공포에 자살을 하기도 하여 이제는 약간 진정된 상태입니다.

 이 책의 등장인물들은 그런 혼란속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죽음 혹은 인류의 멸망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책의 내용은 담담한 하나의 수필을 읽는것처럼 

평온한 느낌이었습니다. 

책을 읽다 보면, 어렸을 때 들었던

"내일 지구가 멸망한다고 해도, 오늘 나는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  

라는 글귀가 떠오릅니다. 

말끝마다 "바보"라는 말을 달고사는 그 때문에 아들을 자살로 내몬 아버니와 그로인해 집을 나간 딸의 화해. 

자신을 혼자 두고 자살한 부모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 아버지의 책을 모두 읽고, 이제 새로운 목표로 애인을 찾아나선 소녀 미치. 

배우가 되려다 실패했으나 살아남은 사람들 틈에서 딸을 연기하고, 엄마를 연기하다 결국은 가족을 이루는 리리코. 

아이를 포기하고 살았으나, 종말을 3년 남겨두고 아이를 갖게되어 아이를 포기할지 고민하는 우유부단한 후지오. 

자신의 여동생을 죽음으로 내몬 아나운서에게 복수를 하기위해 뛰어든 형제와 자살을 준비하던 아나운서 가족의 이야기 

등 힐즈타운에서의 갖가지 사건이 담담하게 서술되어 있습니다.

 특히 강철의 킥복서 이야기에선 이 에피소드들의 중심이 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문구가 나옵니다.

"내일 죽는다고 삶의 방식이 바뀝니까? 지금 당신 삶의 방식은 얼마나 살 생각으로 선택한 방식입니까?"

큰감동을 느끼거나, 큰 재미를 느끼지는 않았으나 지루함 없이 읽을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라이 대디 플라이 -하
가네시로 카즈키 지음, 아키시게 마나부 그림 / 북박스(랜덤하우스중앙)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내가 접한 가네시로 가즈키의 첫 작품은 [레볼루션 No3] 였다.

무거운 글들에 지친 상태에서 읽은  [레볼루션 No3] 은 시종일관 상쾌함을 안겨주었다.

그래서 그의 다른 작품을 찾게 되었고, 두 번째 작품으로 [Go]를 읽게 되었다.

[Go]를 읽으면서   [레볼루션 No3] 에서는 쉽게 느끼지 못했던 진지함과 그 진지함을

가리고 있는 유쾌함을 함께 맛 볼수 있었다.

그리고 세번째가 [플라이 대디 플라이] 였다.

그리고, 전에 읽은 두 작품과는 달리 약간의 실망을 하게 되었다. 플라이 대디는 그의

다른 작품과 마찬가지로 쉽게 쉽게 책장을 넘길 수 있는 작품이라는 면은 같으나,

복수를 결심하게 되는 상황이나 복수의 과정이 너무 억지스러운 면이 느껴졌다. 

이 작품에서는 [레볼루션 No3] 의 주인공들인 좀비스의 멤버들이 조연으로 등장한다.

그 중 재일인 순신은 주인공인 스즈키가 자신의 딸에게 폭력을 가한 권투 챔피언 이시하라에게

복수를 하기 위한 훈련의 스승으로 등장한다. 딸이 아버지에게 실망을 느끼는 부분이나,

좀비스가 복수의 무대를 만드는 부분의 억지스러움에 비하면 순신과 스즈키의 훈련과정은

좀더 자연스럽고, 서로가 친밀감을 느끼는 과정의 묘사는 좋았다.

스즈키와 퇴근시 항상 버스를 함께 타는 사람들과의 사건, 즉 버스와의 경주는 감동적이기는 하지만

솔직히 공감이 가지는 않았다. 어쨋든 플라이 대디 플라이는 [Go] 나 [레볼루션 No3] 와는

달리 그리 만족스런 작품은 아니었다.

그래서 그의 다른작품 [스피드]를 읽어야 할지 고민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시멜로 이야기 마시멜로 이야기 1
호아킴 데 포사다 외 지음, 정지영 외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5년 10월
구판절판


눈앞의 마시멜로를 바로 먹어치운 것도, 보상을 기다리며 유혹을 물리친 것도 모두 인간의 자유의지에 따른 결과지. 그 가운데 더 큰 만족과 보상을 위해 당장의 욕구 충족을 미룰 줄 아는 의지가 바로 성공을 견인하는 강력한 지표가 된다는 사실을 나는 깨달았다네.-032쪽

어떤 사람은 성공을 하는데, 어떤 사람은 왜 실패를 거듭할까?-01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