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장, 성공적 트레이더가 되기 위한 10가지 규칙 (p173)
1. 당신의 손실을 제한하라
2. 수익 포지션은 계속 운영시켜라
3. 포지션 규모를 합리적 수준에서 유지하라
4. 당신의 위험보상비율을 인지하라
5. 충분한 자본을 가지고 하라
6. 추세를 거스르지 마라
7. 손실 포지션에 추가 진입하지 마라
8. 시장 기대감을 간파하라
9. 당신의 실수를 통해 배워라 - 거래일지 작성하기
10. 최대 손실액 설정 또는 수익구간 조정
■ 2장, 외환시장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들 (p40)
통화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외환시장에서 일어난 몇몇 핵심사건들을 이해하는 것은 모든 트레이더에게 필요한 일이다. 아직까지 수많은 전문 외환 트레이더들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사건들이기 때문이다.
■ 3장, 펀더멘털 분석을 사용하는 경우 (p65)
펀더멘털 분석을 활용하는 트레이더들은 경제, 사회, 정치 환경에 잠재적인 변화들을 초래할 수 있는 뉴스와 발표들을 지속적으로 잘 알아둬야 한다. 모든 트레이더들은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전반적인 경제여건에 대하여 철저히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 점은 뉴스 이벤트에 기초해서 트레이딩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이 트레이더들에게 특히나 중요하다.
: 급등 또는 상승한 종목들의 뉴스, 재료를 분석해서 추후 유사한 뉴스나 재료가 발생할 경우 빠르게 판단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뉴스와 재료는 반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5장, 최적의 매매 시간대는 언제인가? (p110)
가장 효율적이고 시간 대비 효율성이 뛰어난 거래전랙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시간대에 따라 시장의 움직임이 얼마나 활발하게 나타나는지를 아는 것(보통 '유동성'이라고 부른다)이 중요하다. 그래야만 자신이 거래에 참여하는 시간대에서 매매 기회를 최대한 많이 얻을 수 있다.
: 자신에게 수익을 주는 시간대에서만 매매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계속해서 매매를 한다면 뇌동매매가 되는 경우가 허다하기에 시간대를 정해서 매매하려고 합니다.
■ 8장, 거래일지 기록하기 (p145)
자기 자금으로 거래를 한다는 것은 투자의 손실이나 이익이 모두 자신에게 귀속된다는 의미임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므로 개인투자자들이 여유자금이나 혹은 투자자금으로 거래한다고 하더라도 손실이 발생할 경우 부담을 피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고 대규모 손실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거래일지를 작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복기는 문제점을 찾아 개선하고 다듬어서 자신만의 매매로 수익을 실현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복기해서 기준과 원칙을 완성시켜 나가야겠습니다.
■ 11장, 헤지펀드매니저 따라잡기 (p327)
트레이더로서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차이는, 우선 전문 트레이더는 절대 무턱대고 포지션 진입을 단행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문 투자매니저가 자신들의 설립 펀드로 투자금을 확실히 유치받기 위해서는 과거 모형 테스트 전략뿐만 아니라 펀드가 성공적으로 운영되었을 경우, 펀드 운영이 실패할 경우, 그리고 얼마만큼 손실을 보게 될 경우 등을 예측해놓아야 한다. 개인투자자로서 운영하는 2만 달러는 펀드매니저가 운영하는 2,000억만큼이나 중요하다. 사실 정확히 말하면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이 더욱 중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개인투자자의 자금은 순수 본인 자금이지만, 펀드매니저의 자금은 펀드에 가입한 불특정 다수의 자금이기 때문이다.
: 자신만의 기준과 원칙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는 많은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