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지영이라는 여성을 좋아했던 적이 있다. 몇번 데이트를 했었지만 금방 헤어졌다. 이 소설의 제목을 보고 그녀가 떠올랐다. 이상하게도, 짧게 만났지만, 좋은 감정만 가지고 끝났었기에, 이 책은 가벼운 설렘을 가져다 줬다. 


이 소설의 제목 김지영은 의도된 흔함이다. 지영은 정말 흔하다. 그냥 머릿속에 떠오르는대로만 써봐도, 유명한 베스트셀러 작가인 공지영의 이름도 지영이고, 중학교때 병아리 선생님이었던 담임은 이지영이었으며 살면서 지영을 네다섯명은 만난것 같다. 물론 내가 잠시 만났던 김지영은 그중에서도 가장 많을 것이다. 


이 책은 80년대 초반의 대졸여성이 어떠한 삶을 살았는가를 그야말로 스테레오타입화해서 보여주는 이야기다. 이 책의 각 부분은 통계자료를 들이대며 굳이 이런 어색한 설정을 감추지 않는다. 


삭막한 통계자료에 김지영이라는 캐릭터를 붙여내어 이야기를 풀어낸 것은 꽤 성공적이었던 것 같다. 그의 삶은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았고 소설속의 그의 고민들과 갈등들은 어디서 많이 들어볼법한 얘기였다. 아마도 그래서 이 책은 젊은 여성들에게 꽤 많은 공감을 이끌어낸것 같다. 


하지만, 굳이 소설이어야 했을까 하는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개인적인 선호겠으나 나는 작가의 의도가 잘 드러나지 않는 소설이 좋다. 캐릭터의 구성이 입체적이며 모순적인 편을 좋아한다. 그러한 모순적인 캐릭터와 예측할 수 없는 주제의식이 재미있는 전개와 맞물려 약간의 충격을 주는 작품을 좋아한다. 그러한 나의 선호에 비해 이 책은 너무 예측 가능하며, 그저 알고 있는 사실들을 나열하는 뻔하 이야기였다. 덧붙여 이야기의 태도는 다소곳했지만 던지려는 메시지는 약하고 수동적인 것은 아닌 강한 주장이었고, 그것은 책을 읽기 전에 이미 예상했던 바였다. 아마도 이러한 작품의 한계가 이 책의 공감이 젊은(중년까지 포함하여) 여성들에게 한정되는 효과를 낳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나중에 SNS를 통해 알았지만, 내가 잠시 만났던 그 김지영씨는 결혼을 했더라. 딱히 연락할 만한 사이는 아니지만 그녀가 이 책을 읽으면 어떤 느낌이었을까, 얘기나누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아마도 남자들의 입장에서는 그러한 '김지영'들과 대화를 나누기 위해서라도 알아둬야 할 이야기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