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톨로지 (반양장) - 창조는 편집이다
김정운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에디톨로지' 편집학쯤으로 해석이 가능한 새로운 영역에 대한 김정운 교수의 신간이 나왔다. (교수직을 내려놓았다는 것은 책을 읽으며 알게 되었지만 일단 내가 편한 대로 부르기로 하자) 

이미 『일본열광』이라는 저자의 오래전 책에서부터 언급되었던 편집학이 이번 책에서는 구체적인 실체를 가지고 언급된다. 세상 아래 새로운 것은 하나도 없으며, 권력은 편집을 얼마나 잘하느냐에 달려있다는 것이 이 책에서 그가 주장하는 바다.

 

사실 이번 책은 저자가 그의 이론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 저자가 그간 출간했던 책을 읽어본 느낌에 따라 뭔가 통하는 사람과의 수다를 기대하며 책을 읽어내려갔다. 책은 그 기대감을 배신하지 않았다.

문화,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 그리고 저자의 전공인 심리학의 측면에서 편집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말하고 있는 책은 글에 관심이 없거나 심리학에 문외한이어도 쉽게 읽어내려갈 수 있다. 

 

김정운 교수가 그간 출간했던 책에서 지적했던 현대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나열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 현재 그 자체를 즐겁게 살아내지 못하는 것.

- 노는 시간의 관리를 통해 좀 더 나은 삶을 살수 있다는 것.

- 언제나 남의 이야기만 할 뿐 나만의 스토리를 가지지 못하는 것.

 

내용도 괜찮았지만 순전히 제목 덕에 그의 가장 인기 있는 책이 된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에서 이런 문제점들에 대해 조목조목 잘 짚어나갔다. 그러나 해답은 없다. 결국 인생에 대한 해답은 개인 각자가 찾아내야 하는 문제니까.

그러다가 가장 최근의 책인 『남자의 물건』에서 유명 인사들의 취미활동과 연관된 물건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지금 그는 교수직을 그만두고 미술을 배우기 위해 일본에서 공부하고 있다. 아마 사람들의 취미를 들여다보며 인생의 해답을 찾은 모양이다. 그리고 조만간 책이 아니라 전시회를 통해 그를 만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책을 읽으며 지금 그는 진정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간의 공부와 경험을 통해 즐겁게 자기만의 이론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하고 싶은 일인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늘 느끼지만 스스로를 가볍게 희화화하는 것은 어려운 이론을 쉽게 읽어지게 돕는 역할을 하고 있었고, 이번에는 아예 교수라는 학위를 내려놓음으로써 오히려 글의 권위를 얻어내지 않았는가 싶다. 그래서 그의 글은 이론이 아니라 가슴으로 읽어진다.

 

늘 투덜거리는 어조로 현대인의 문제점을 짚어보던 김정운.

새 책 『에디톨로지』를 통해 여전히 투덜거리는 어조로 자기만의 이론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지금 그는 행복하다고 했다. 정말 그래 보인다.

인생에서 풀 수 없는 숙제에 대한 해답을 가지고 찾아온 저자와 다시 한번 가볍고 즐겁지만 진지한 수다를 나누었다.(그의 책을 읽을 때마다 말이 잘 통하는 남자와 수다를 떤 느낌이 든다)

 

 

+ 부러운 점.

노는 만큼 성공한다』는 어느 해인가 기업 CEO가 추천하는 여름휴가에 읽을만한 책 10권에도 들어간 적이 있을 정도로 인정받은 책(?)이었다. 그런데 그런 책도 고작 2만 부가 팔렸을 뿐이라니... 정말 우리나라 사람들은 책을 안 읽는구나 싶다.

반면 순전히 제목을 잘 지은 덕이라고는 했지만 내용도 탁월했던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은 30만 부나 팔렸다고 한다. 역시 책은 제목이 중요하구나.

 

아마 이 책을 전후로 김정운 교수의 인생이 바뀌지 않았을까 싶다. 방송에 출연하고, 기업 강의를 하고... 그리고 지금은 진심으로 하고 싶은 일을 하고 행복하다고 말하는 것이 부러웠다.

 

그의 나이 오십.

나도 오십에는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 김정운 교수의 다른 책 리뷰 보기

- 일본 열광 : http://blog.naver.com/nyyii/130093330972
- 휴테크 성공학 : http://blog.naver.com/nyyii/130189878788
- 노는 만큼 성공한다 : http://blog.naver.com/nyyii/130096228118
-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 http://blog.naver.com/nyyii/130089780023
- 남자의 물건 : http://blog.naver.com/nyyii/130142504877


 

 

책에서 발췌

 

25-26

"열심히 하자"는 이야기는 충분히 했다. 이제는 좀 다른 이야기를 해야 한다. 모든 창조적 행위는 유희이자 놀이다. 이 같이 즐거운 창조의 구체적 방법론이 바로 에디톨로지다.

세상의 모든 창조는 이미 존재하는 것들의 또 다른 편집이다. 해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하나도 없다! 고로, '창조는 편집이다'

 

35

인간의 가장 창조적 작업인 예솔의 목적은 일상의 반복과 익숙함을 낯설게 해 새로운 느낌을 갖게 만드는 데 있다는 거다.

우리의 삶이 힘든 이유는 똑같은 일이 매번 반복되기 때문이다.

 

40

더 이상 정보 자체가 권력이 아닌 세상이다. 정보 독점은 이제 불가능하다. 세상의 권력은 정보를 엮어내는 편집자들의 몫이다.

 

49

정작 미네르바 자신은 인터넷의 잡다한 지식을 짜깁기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건 단순한 짜깁기가 아니었다. 실제 경제현실에 적용하여 검증된, 아주 정당한 '지식편집'이었다.

 

50

지식의 내용이 아니라 독일박사 학위라는 권위로 알량한 자존심을 지키려는 내 얄팍함이 느껴질 때마다 참으로 비참해진다.

 

134

인문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세상을 해석하는 다양한 방식을 배우는 일이다.

...

세상을 보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은 세상을 보는 다양한 관점을 인정하는 일이다.

 

137

짜증이 난다는 것은 심리적으로 과부하가 걸렸다는 의미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번아웃'이라고 한다.

 

156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전혀 가늠할 수 없는 이 불안을 견디지 못해 인간은 '여기와 지금here and now'이라고 하는, 존재의 확인을 위한 좌표를 정하기 시작한다.

...

중요한 것은 이 1년이 매번 반복된다는 사실이다. 아니, 반복된다고 믿는 것이다. 반복되는 것은 하나도 안무섭다. 다시 돌아오기 때문이다. 한 해가 잘못되면 그 다음 해에 다시 잘하면 된다. 그래서 우리는 새해가 오는 것을 매번 그렇게 축하하며 반기는 것이다.

 

181

싱글 퍼스펙티브의 한계는 곧 서구 세계관의 한계다. 그렇다고 지금의 동아시아가 대안이 된다고 착각하면 안된다. 요즘 같은 상태의 한국, 중국, 일본으로는 어림 반푼어치도 없는 일이다.

 

210

인간은 누구나 그렇다. 낯선 사람이 자신의 영역 안으로 들어오면 불편해진다. 그리고 권력이 생기면 지켜야 하는 자신만의 영역은 더 커진다.

...

인간도 자신의 사적공간이 침해를 받았다고 느끼면 평소와 다른 반응을 보인다.

 

267

사회적 체면과 지위에 갇혀 자신의 솔직한 이야기를 꺼낼 수 없는 이들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자기 이야기를 하자고 말을 건네려는 것이다.

 

268

덧붙이자면, 사회적 경력,학력을 제외하고 자신을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참 행복한 사람이다. 학력, 경력이 없어도 자신의 정체를 확인할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

명함을 내보이지 않고 자신을 얼마나 자세하게, 그리고 흥미롭게 서술할 수 있는가가 진정한 성공의 기준이다.

 

308

나는 속이 아주 깊다. 그런데 내 속이 깊은 줄 사람들은 잘 모른다. 워낙 좁아서 그렇다. 속이 한없이 깊지만 동시에 아주 좁은 나는 대인 관계에 항상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인생이 자주 꼬인다. 그러나 내가 지금까지 아주 잘 버틴 것은 결정을 잘해서다.

 

314

포스트모더니티의 핵심을 한병철교수는 '피로사회'라고 규정한다. 후기근대의 성과사회는 각 개인을 끊임없는 자기착취의 나르시스적 장애로 몰아넣는다. 타인에 의한 착취가 아니라 '자발적 자기착취'다. 끊임없이 발전해야 한다는 일원론적 발달과 성장에 대한 강박으로, 주체는 죽을 때까지 안정된 자아에 도달하지 못한다.

 

370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은 아주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는 게 내 생각이다. 지금 하나도 외롭지 않으면서 풍요로운 미래를 꿈꾸는 것은 ... 몹시 나쁜 생각이라는 거다. 뭔가 새로운 걸 손에 쥐려면, 지금 쥐고 있는 것을 놓아야 한다. 지금 손에 있는 것 꽉 쥔 채 새로은 것까지 손에 쥐려니, 맘이 항상 그렇게 불안한 거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