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의 말 대신 배려의 말로! - 은연중에 차별을 부추기는 일상 속의 차별어
김슬옹 지음 / 마리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평소 차별의 말과 배려의 말 중 어떤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을까요?

실은 제가 차별의 말을 안한다고 나름 자신하고 있었거든요. 줄임말 사용을 좋아하지 않고 신조어나 요즘 mz세대가 하는 말은 도통 무슨 뜻인지 잘 모르고 내 입에서 차별어는 나오지 않는 줄 알았어요.

📚차별의 말 대신 배려의 말로!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 말이 차별어야? 하는 말들이 참 많았습니다.

❎️노골적 차별어👉 비속어, 모욕어, 혐오 표현 등
아줌마-> 아주머니
신용불량자->금융기관연체자,금융채무연체자, 금융채무불이행자

❎️비대칭 차별어👉 대체로 남녀를 구분해서 쓰는 말이 많음.(여의사라고는 하는데 남의사라고는 하지 않죠.)
녹색어머니회->녹색보호자회
부모-> 양친,어버이
시댁,처가-> 남편의 본가, 아내의 본가

❎️관습적 차별어👉 역사적으로 사회적 관습으로 자연스럽게 쓰이고 있는 차별어.
불우이웃-> 어려운 이웃
저출산-> 저출생
벙어리장갑-> 엄지장갑
치매-> 인지저하증, 인지증, 인지병
폐경-> 완경

❎️다의적 차별어👉 특정한 맥락에서 차별어로 규정되는 어휘

차별어가 가진 특성을 가지고 총 네 가지로 분류했는데요.
어때요?
그동안 나도 모르게 사용하고 있는 차별어가 있나요?

저는 신조어가 많았던 노골적 차별어보다는 지금까지 자연스럽게 사용해오던 관습적 차별어를 조금 더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았어요.

요즘은 한 대 맞으면 너도 한 대 때려 라고 말하는 부모가 점점 많아진다고 해요.
힘에 의한 폭력도 이러한데 하물며 보이지 않는 언어는 어떨까요?

어? 너 나한테 이렇게 말했어!
아이는 어른을
어른은 아이를
서울 사람은 지방 사람을
지방 사람을 서울 사람을
우리나라 사람은 다른나라 사람을
다른나라 사람은 우리나라 사람을
서로 할퀴고 꼬집고 상처를 주고 있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말에 대한 속담이 참 많아요.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말 한 마디에 천냥 빚을 갚는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말에 대한 속담이 많은 이유는
말이, 언어가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인데요.
상처를 낸 자리에 아무리 연고를 잘 발라도 마음의 흉터는 잘 지워지지 않잖아요.
상처를 내는 차별어 대신 서로에게 배려하는 말을 건네면 어떨까요?

차별어를 대신하는 대안어가 아직 낯설지만 쓰다보면 익숙해지는 날이 올거라 생각해요.
나도 모르게 사용했던 차별어보다 배려의 말을 더 자주 사용해야겠어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