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맨 울프레드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132
닉 블랜드 지음, 김여진 옮김 / 길벗어린이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벗어린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습니다.

호텔맨울프레드 , 이름부터 신선했다.
호텔맨이 전직이 작가였다니… 글을 쓰는 사람들은 이야기가 풍성한 법이다. 할 말이 많은데, 그 표현방식을 글로 할 뿐인 법. 울프레드는 작가로서 이렇다할 성과는 이루지 못했다. 그것이 작가로서 재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호텔에서의 일은 매일의 여러 에피소드를 통해 영감도 많이 받고 이야기가 넘쳐났을 것이다. 이야기가 넘쳐난다면, 지금 바로 연필을 드세요~~ 전영록의 사랑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가 생각나는 건 안 비밀에요 :)

호텔맨의 규칙은 어떤 말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서비스를 많이 요구하는 요즘 시대에 딱맞는 직종아닐까? <우리 호텔에서는 웃거나 상냥하지 않으니 그에 대해 불만을 갖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주 좋은 문구 아니려나?
기분전환으로 맛집을 찾아 가려고 검색을 한다. 리뷰를 읽다보면 맛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주인이나 종업원에 대한 평가를 한 경우가 많다. 맛집이면 줄이 길테고, 줄이 길면 사람이 많다는 이야기고, 사장님이고 종업원이고 쉴새없이 일한다는 이야기인데 그 속에서 상냥하고 나만바라보는 서비스까지 원하는 건 과다한 요구 아닐까? 그리고 그런 평이 써진 가게에 가 보아도 그저 묵묵히 자신의 할 일을 할 뿐, 불친절하다 느껴본적이 없다는 것도 아이러니다. 물론 맛은 훌륭했다.
과다한 업무를 요구하는 것이 아닌, 정말 딱 해야할 직무만을 맡기는 호텔맨의 일 정말 좋지 아니한가?
갑질에 대한 고소가 이어지는 요즘 시대 갑질하는 이들에게 1인1권씩 배부해야하는 책 아닌가 싶어졌다.

하고싶은 것을 한다는 것, 나만의 정체성을 찾는다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호텔맨이 자신의 본캐로 돌아와 일을 할때면 호텔맨 빨간 복장을 벗고 노란옷으로 갈아입는다. 그리고 나만을 위한 시간을 갖으러 야외로 나간다. 일터엔 실내 속 엘레베이터가 아닌 밖으로.

샤를페로의 빨간 모자 이야기의 패러디가 나오기도한다. 아는 이야기라며 재미있어할 아이의 모습이 그려진다. 엄마 흉내를 내려고 처럼 꾸미고 나타나는 악어.
울프레드는 호텔에서 쫓겨났지만 사장님의 바지빛깔이 보자기 속에 드러난 것을 보고 단번에 알아채고 사장님을 구해낸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아이들과 이야기 하면 재미있을 것 같다.

돼지 사장님의 화려함에 주목해 본다. 자기애가 넘치는 사장은 벽 한면 가득한 크기의 자신 독사진을 걸어뒀다. 그 사진에서도 보이는데 반지만 세개에 커프스(와이셔츠 단추를 잠구는 )까지 삐까뻔쩍하다. 바지도 가까이서 보면 금빛으로 반짝일 수도 있겠다 싶다. 구두 또한 엄청 화려하다. 금박이가 들어간 뾰족 부츠 스타일. 엄청 패션에 신경쓰는 스타일리쉬한 사장님 또한 이 책의 볼거리다.

’호텔맨으로 일하는 울프레드의 감정은 무엇이었을까?‘ 에 대해 이야기 나눠봐도 좋을 것 같다. 손님이 탈 때마다 말을 못한 울프레드에게 말풍선 모양 포스트잇을 붙여놓고 어떤 말을 하고 싶은지 써 보게 하는 작업도 재미있겠다.

책에서 나오는 대조도 재미있다. 한면은 꽉차 있으면 한면은 아예 없음을 의미하는 것들이 그려져 있기도 하다. 하나는 느리면, 하나는 엄청 빠른 동물이 나오기도 한다.
지구밖을 나가 우주로 올라가는가 하면, 바다 속 깊이 내려가기도 한다.

용이 불을 내고 가버린 장면에서는 어떤 영화가 떠오르기도 한다. 명확히 생각은 안 나지만.
그림책이지만 동적으로 느껴지고 영화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역동이 느껴져 활기찬 책으로 느껴졌다.

읽을 수록 재미지고 찾아내는 재미가 쏠쏠한 그림책 추천 꾸욱.
길벗어린이 책을 선물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