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을 이해하기 위한 마중물.

 고전을 다시 읽고 싶었다.

청년 시절 한 번은 고전을 읽어야 했다.

그래서 고전을 읽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읽었던 고전의 구절들이 가물가물해졌다. ​

논어에서 맹자에서 대학에서 무슨 구절이 있으며

그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한다는 말을 들을 때마다

눈을 멀뚱멀뚱 뜨고 그런 구절이 있었나 회상하게 된다. ​

그러면서 다시 고전을 읽어야겠다고 다짐해 보지만​ 어떻게 읽어야 할지 늘 고민이었다.

 고전을 그대로 읽자니 내게 부족한 것이 너무 많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지 의문이었다.

읽고는 싶은데 선뜻 용기를 내어서 읽기가 어려웠다.

그러던 차에 신영복 선생님의 고전 해설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고전이라는 것이 현대인이 읽어야 할 필수 인문서임에도 불구하고 접근하는 것이 녹록하지 않아

주위를 맴돌게 된다. 

전체적인 것을 이해할 수는 없더라도 문맥만이라도 알자는 생각에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서론

나의 동양고전에 대한 관심은 이처럼 감옥에서

나 지신을 반성하는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또 교도소의 현실적 제약 때문이기도 했습니다.​

나의 동양고전 공부에 빼놓을 수 없는 분이 계십니다.

바로 감옥에서 함께 고생하셨던 노촌(老村)이구영 선생님입니다.

노촌 선생님의 삶은 어느 것 하나 당대의 절절한 애환이 깃들어 있지 않은 것이 없지만

그중의 한 가지를 예로 들자면 노촌 선생님을 검거한 형사가

일제 때 노촌 선생님을 검거했던 바로 그 형사였다는 사실이지요. ---------------------- 18,19p

동양 사상의 특징으로서 인간주의라고 하는 경우

그것은 그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가 인문적 가치라는 사실을 의미합니다. ----------------- 40p

오래된 시와 언

미래는 과거로부터 오는 것입니다.

미래는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내부로부터 오는 것입니다.

변화와 미래가 외부로부터 온다는 의식이 바로 식민지 의식의 전형입니다.

권력이 외부에 있기 때문입니다. ---------------------------------------------- 77p​

'주역'의 관계론 - 주역

'논어', 인간관계론의 보고 - 논어

효율과 경쟁을 강조하는 자본가는 전문성을 추구하지 않습니다.

전문화를 거부하는 것이야말로 성공한 자본가들의 공통적인 특징이라는 것이지요.

자본가는 어느 한 분야에 스스로 옥죄이기를 거부해왔던 것이지요. -------------------- 151p​

덕(德)으로 이끌고 예로 질서를 세우면 부끄러움도 알고 질서도 바로 서게 되지만,

정형(政刑)으로 다스리면 형벌을 면하려고만 할 뿐이며

설사 법을 어기더라도 부끄러움이 없게 된다는 것입니다. ​ ---------------------------- 155p

맹자의 의 - 맹자

노자의 도와 자연 - 노자

장자의 소요 - 장자

묵자의 겸애와 반전 평화 - 묵자

순자, 유가와 법가 사이 - 순자

법가와 천하 통일 - 한비자

강의를 마치며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내가 이미 알고 있었던 몸에 익숙한 도덕성들 그리고 새롭게 깨닫게 되는 사실들.

 지금 글을 쓰면서 몇 번씩 글을 썼다가 지우기를 반복하고 있다.

단어의 첨삭이 아니라 문장을 송두리째 지우고 다시 쓴다.

어떻게 써야 할까의 문제가 아니다 과연 써야 하는지에 대한 원론적인 의문이다.

내가 뭘 보았고 읽었다고 책의 내용을 쓸 수 있는가? ​

쓴다면 무슨 말을 해야 할지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동반한다.

그저 표피만을 보고 마치 전체를 보고 커다란 감명을 받은 척한다는 게

너무 위선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서평 대신 책 속에 쓰여있는 좋은 글들을 옮기는 것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결론이다.

 다른 책과 달리 이 책에 대한 글을 여기서 멈추게 되는 것이 유감이지만

여기서 멈추는 것이 스스로에게 덜 부끄러울 것이라는 판단에 여기까지 쓴다. ​

 중요한 것 하나는 이 책이 고전의 끝이 아니라 고전의 시작이라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하여 고전의 중요성과 재미를 알게 되었다.

많은 느낌들을 몇 줄의 글로 몇 개의 단어로 나열할 수는 없지만

이 책으로 말미암아 고전에 대한 호기심, 더 알고 싶다는 마음,

더 읽고 싶다는 마음을 갖게 되었다.

어찌 보면 고전의 마중물이라고 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