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 개정증보판 한 권으로 읽는 실록 시리즈 8
박영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조선 왕조 5백년 27명의 왕이 지배하던 시대.

실록을 바탕으로 그들의 업적을 낱낱이 파 헤쳐주는 해설집.

 

소망이가 역사와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이런 저런 질문을 쏟아 내고 있다.

오래 전에 배운 내용들을 묻는데 쩔쩔 매게 된다.

대충 상식 수준의 답을 해 주면서 내 말이 맞는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내 답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함 그리고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호기심이 발동하여

우선은 가까운 시대인 조선왕조부터 공부하기로 했다.

 

<간략 요약>

조선 왕조 5백년 동안 조선을 다스렸던 1대 태조부터 27대 순종까지,

27명 왕의 치적을 기록한 실록을 바탕으로 그들의 정치,사회,문화,경제,군사,외교 등

다양한 분야를 총망라하여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치우쳐진 사관이 아니라 기록을 중심으로 내용을 해석하며 왕 주변의 세력에 따라 펼쳐지는

시대 상황을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특히 야사가 아니라 정사 위주의 해석이며

간혹 자료가 부족한 부분은 야사라는 전제로 부연 설명을 첨부하고 있다.

또한 왕 중심의 글이 아니라 왕과 그 주변의 인물들의 특성과 치적을 적절하게 설명함으로써

왕을 보좌하거나 왕의 판단을 흐렸던 시대의 주요 인물들을 다시 바라보게 된다.

왕의 치적을 설명함에 있어 저자의 주관에 따라 가중을 두지 않고 오랜 시간 지배했던 왕과

대표적인 사건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460여 페이지의 분량이 적지는 않다.

그러나 이 책을 모두 읽는 순간 한 눈에 조선 왕조를 파악한 듯한 착각에 빠졌다.

각 왕조마다의 특성에 대해서 그리고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호기심이 발동하기 시작했다.

고조선, 삼국 그리고 통일신라, 고려 역사도 궁금하지만 기록에 있어서

그 나마 최근의(?) 사건들로 풍부한 기록들이 남아 있기에 좀 더 깊이 있게 찾아 보고 싶다.

 

역사라는 것이 내 뿌리를 뒤돌아 보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역사를 통해서 교훈을 얻고 그 지혜를 바탕으로 현재의 삶을 올바르게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임금이 어떤 치적이 있고 또 어떤 임금의 과오로 시대적 비극이 있었다는 것을 아는 것.

그것은 정치이고 커다란 조직을 다스리고 경영하는 것이다.

내가 왕이 되어 조직을 어떻게 꾸려갈 것인가의 고민 그리고 내가 어떤 판단으로 살아갈 것인가의 고뇌.

많은 숙제와 생각할 꺼리를 던져 준다.

 

오늘날 대통령으로 출마하는 사람들을 바라보면서 백성된 입장에서 과연 어떤 인물이

나라와 민족 그리고 백성들을 위한 정책을 펼 것인가? 그의 심성은 어떠한가?

그는 어떤 환경에서 성장했는가 등등을 살피게 된다.

과연 연산군이 갑자기 그런 정치를 했을까? 그의 성장 과정이 답일 것이다.

순조,헌종,철종에 걸친 60년간의 세도 정치, 이 시대에 민란이 많았다.

정치적 이해에 의해서 백성들은 핍박 받고 생활은 벌레보다 못한 삶이었다.

그 어디에도 백성은 없었다. 오로지 지배 세력의 이익만이 추구되던 시대.

 

먼 옛날의 이야기이지만 불과 몇 년 전, 몇 십년 전에 우리 시대에 벌어졌던 일이다.

그들이 과연 국민들을 위한 정치를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서 그들의 정책에 반대했을까? 국민들의 귀와 입을 막는 것이 바른 정치일까?

역사는 우리에게 많은 이야기를 던진다. 그 속에 현대를 사는 시민의 답이 있다.

그러나 그 답을 보지 못하고 살고 있다. 왜냐하면 역사를 모르기 때문이다.

아픈 역사는 우리 선조로 끝났어야 했는데 우리 세대는 몇 번을 겪었다.

그리고 냉철하게 판단하지 못하면 우리 아들, 딸들에게 불행한 미래를 유산으로 줄 수 있다.

 

역사는 곧 정치이다. 역사는 비즈니스이기도 하다.

역사를 배움으로써 지혜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많다.

 

문득 생각나는 연설문이 있다.

 

조선건국 이래로 600년동안 우리는,
권력에 맞서서 권력을 한번도 바꿔보지 못했습니다.

비록 그것이 정의라 할지라도,
비록 그것이 진리라 할지라도,
권력이 싫어하는 말을 했던 사람들은
또는 진리를 내세워서 권력에 저항했던 사람들은 전부 죽임을 당했고,
그 자손들까지 멸문지화를 당하고 패가망신 했다 이겁니다.

600년동안 한국에서 부귀영화를 누리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권력에 줄을 서서 손바닥을 비비고 허리를 조아려야 했다는 겁니다..

그저 밥이나 먹고 살고 싶으면
세상에서 어떤 부정이 저질러져도, 어떤 불의가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어도,
강자가 부당하게 약자를 짓밟고 있어도, 모른 척 하고 고개 숙이고 외면했어요.
눈 감고 귀를 막고,
비굴한 삶을 사는 사람만이 목숨을 부지하면서
밥이나 먹고 살 수 있던 우리 600년 역사!

제 어머니가 제게 주었던 가훈은,
"야 이놈아 모난돌이 정 맞는다.,, 계란으로 바위치기다. 바람부는 대로 물결치는대로 눈치 보며 살아라"

80년대 시위하다가 감옥간 우리의 정의롭고 혈기 넘치는
우리 젊은 아이들에게 그 어머니들이 간곡히 타일렀던 그들의 가훈 역시,

"야 이놈아 계란으로 바위치기다, 그만 둬라! 너는 뒤로 빠져라!"
이 비겁한 교훈을 가르쳐야 했던 우리의 600년의 역사,
이 역사를 청산해야 합니다!

권력에 맞서서 당당하게,
권력을 한번 당당하게 쟁취하는 우리의 역사가 이루어져야만이
이제 비로소 우리의 젊은이들이 떳떳하게 정의를 얘기할 수 있고
떳떳하게 불의에 맞서 싸울 수 있는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겁니다!

 

이제 어려운 역사 책은 덮고 읽기 쉬운 역사 책을 통해 과거를 살피고 희망 찬 미래를 계획하면 어떨지?

성인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에게 강력 추천한다.

 

http://blog.naver.com/happy_0801/1201744703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