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경영 - 지속성장을 위한 강력한 경쟁력
박희준 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직원들의 독서 권장을 회사 발전으로 연계,

독서의 동기부여 필요성을 역설한 책(현재 단종)

 

<독서경영>

오래 전부터 읽고 싶었던 책이다. 그런데 단종이 되어 시중에서는 구입할 수 없는 책이다.

우연한 기회에 <알라딘 중고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었다. 책을 손에 넣고 어찌나 좋아했던지....

내가 CEO가 되면 직원들과 공유하고 싶은 내용이다.

 

1부. 지속성장을 이루고 있는 독서경영의 현장

이 장에서는 우림건설, 안철수연구소, 메타브랜딩 등 3개의 회사에서 독서경영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구체적인 내용 설명을 해 주고 있다.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처음의 인재가

지속적으로 인재가 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도 회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는 것이다.

그들이 꾸준히 자기계발을 하고 그 능력을 십분 발휘하여 회사 발전에 일조한다면 회사는

성장할 수 밖에 없다.

도태되지 않기 위해서 스스로 자기계발에 정진하라는 것. 그러나 그것이 회사 발전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을 지는 의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개별적인 공부외에 자기 업무와 관련된 독서와 추출한 정보를

독서 토론회나 독후감 제출 등의 방법으로 서로 공유하여 회사 발전에 일조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2부. 독서경영이 나아가야 할 방향

이 장에서 과연 독서경영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 기업들의 예를 들며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독서를 통해서 기업 문화를 바꾼다는 것으로 경영주의 지원하에 직원들의 도서 구입비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독서 토론회 구성의 외곽 지원 그리고 전담 관리 등으로 독서경영이 일회성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발전,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구성원들이 독서를 통해 쌓은 지식을 현장에서

활용하고 직원들간의 공유를 통해서 회사의 발전을 꾀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독서가 강요된 업무의 연장이 되지 않도록 방법적인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말도 잊지 않았다.

 

3부. 성공적인 독서경영을 위한 25가지 조건

성공적인 독서 경영을 위한 25가지 조건의 주요 골자는 CEO의 솔선수범 그리고 관심과 지원이다.

독서경영이라는 게 오늘 실시한다고 내일 바로 그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길게 보고 투자해야 하는 부분이다. 때로는 당근과 채찍을 통해 독서를 적당한 선에서 강제적이어야 하고

독서가 개인의 것이 아니라 회사의 공유 자산이 될 수 있도록 그 에너지를 끌어낼 때 성공적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부록 1. 효과적인 독서경영을 위한 관련 정보

유용한 독서법과 방법론에 대해서 제안하고 있다. 내용이 평이해서 생략한다.

 

부록 2. 효과적인 독서경영을 위한 추천도서 목록

안철수 연구소의 기본적인 필독서, 안철수 연구소가 뽑은 실무에 도움이 되는 필독서,

삼성 SDS 전략마케팅연구회 추천도서,

YES24 추천 도서 목록-새내기 직장인을 위한 도서 50선,

YES24 추천 도서 목록 - CEO가 추천하는 도서 50선

YES24 추천 도서 목록 - 직장인이 즐겨 찾는 도서 50선

 

책을 많이 읽는 것은 아니지만 책을 손에서 떼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혹자는 내 뒤에서 '책을 읽는다는 놈이 이 따위밖에 못 사냐'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만약 내가 책을 읽지 않고 살았다면 지금의 정도보다 더 못한 삶을 살았을지도 모른다고

답할 것이다. 그나마 이 정도 살 수 있는 것도 책을 계속 읽었기 때문이다.

나는 발전을 위해서 독서하는 것이 아니다. 도태되고 뒤로 밀리는 것을 최대한 막아보려 책을 읽는 것이다.

 

남극지대 탐험가의 말을 빌면 남극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유빙때문에 하루 종일 열심히 걸어도겨우 100m정도 앞으로 전진한다고 한다. 우리 삶도 유빙위를 걷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앞으로 가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점점 뒤로 떠내려가게 되는....

무서운 사실이다. 100m 전진을 목표로 하지는 않지만 최소한 내가 출발한 곳보다는 앞에서

삶을 마감하고 싶다. 그래서 책을 읽는다.

 

책은 나보다 앞 선 사람들이 사고한 것을 활자한 것이다.

생각을 정리하고 고민한 결과물이다. 내가 막연하게 생각한 것보다 훨씬 논리적이고 구체적이다.

그 생각을 내 사고와 버무려 뭔가를 생산해 낼 수 있다면 그 얼마나 쉬운 것인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 위대하다. 그러나 있는 것을 활용하지 못하고 외로이 고민한다는 것은

다소 무모해 보일 수 있다. 혹여 내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었다고 하는데 이미 다른 사람이

먼저 만들어 놓은 것으로 판명된다면....

 

사람은 경험적인 지혜가 있다. 그러나 경험하지 못했지만 스스로도 지혜를 발휘할 때가 있다.

그것은 아마도 독서를 통해 잠재되어 있던 지혜가 순간 발현된 것인지도...

독서의 중요성은 이미 나보다 몇 백년을 앞선 사람들이 목에서 피를 토하며 한 얘기라

내가 더 이상 할 말은 없지만 독서는 좋은 것이다. 그것은 분명하다.

이것은 '동쪽에서 해가 뜬다'라는 과학적 진리에 버금가는 진리이고 사실이다..

 

독서경영은 10년을 훨씬 뛰어넘어 기업이 생존하는 한 영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경영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6p

 

독서경영의 진정한 의미는 독서, 즉 책을 읽는데 그치지 않고 읽은 책의 내용, 그 내용에 대한 나의 느낌과주장,

나아가 그런 주장의 핵심을 경영현장에 접목하여 깨달은 교훈을 공유하는 경영에 두어야 한다.--------------7p

 

"학습조직은 지식을 창조, 획득 및 전파하고 새로운 지식 및 통찰을 반영해 행동을 수정하는 데 능숙한 조직이다."---20p

독서경영의 가장 큰 힘은 구성원 개객인이 갖고 있는 지식과 정보, 기술,노하우, 아이디어,영감 등이

다른 구성원과 조직에 공유된다는 점이다. ---------------------------------------------------103p

 

독서경영은 독서활동을 경영과 연결시키는 것인 만큼 독서모임에 CEO가 기업조직 차원의 개입이 이뤄지지 않고서는

한계를 지닐 수 밖에 없다. --------------------------------------------------------------122p

 

'변화 과정에서 리더가 저지르기 쉬운 가장 흔한 실수 중 하나가

최전선에서 진두지휘하기보다 신뢰하는 몇몇 부하직원에게 맡겨버리는 것' - 데이비드 내들러 ---------------218p

 

"하루에 한 시간 읽으면 한 주에 대략 1권, 1년이면 대략 50권을 읽는다.

그러면 3년 안에는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될 것이고, 5년 안에는 전국적 전문가, 7년 안에는 세계적 전문가가 될 것이다.

이러한 독서 습관이 수입에 미칠 영향을 생각해보라. 답은 명약관화하다."-브라이언 트레이시 --------------285p 

 

http://blog.naver.com/happy_0801/1201743538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