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 박경리 시집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박경리 유고 시집

 

얼마 전에 읽은 박완서님의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라는 책에서

등장한 것이 인연이 되어 읽게 된 책이다.

박경리 작가는 대하소설 '토지'로 유명한 작가이다.

그러나 난 유감스럽게도 '토지'를 읽지 않았다.

대신 '김약국의 딸들'과 '파시'는 읽어 보았다.

오래 전에 읽었음에도 내용이 기억나는 걸로 짐작해 볼 때

무척이나 재미있게 읽었나보다.

그러나 한 작가의 작품이라는 선입견때문인지 등장 인물의 성격이 중복되는 느낌이었다.

그 이후로 생긴 편견 중 하나가 작가의 한 작품만 읽자였다. 

 

박경리 작가는 시라는 장르보다는 소설이라는 장르로 더 알려졌는데

시집은 어떨지 궁금했다.

 

시를 좋아하지만 시에 대한 알러지가 있어 시를 잘 안 읽는다.

시는 눈으로 보면 알 수 없고 이해할 때까지 되짚고 또 되 짚어야 하는 수고로움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 수고로움에 대해 야박한 내가 읽기에는 시는 어렵다.

다행이 마음속으로 이해하고 탄성을 지르면 그나마 다행인데

그 절절함을 가슴으로 받지 못하면 그 짜증스러움은 극에 달한다.

마치 하루 종일 낚시를 드리웠지만 빈 손으로 집으로 돌아가는 기분?

그 역시 시가 주는 묘미라고 하지만 얄팍한 내가 받아들이기에는 성에 안 찬다. 

 

몇 개의 시가 와 닿는다.

어쩌면 직설적이라 공감도가 높은 것 같다 나에게...

글과 부록으로 첨부해 놓은 사진이 딱 맞는 것 같다.

박완서 작가의 이야기를 빌리면

박경리 작가는 배를 땅에 깔고 고추며 배추며 밭에 나는 식물들을

손수 거두었다고 한다. 그 모습과 그녀의 철학이 있는 시 구절이다.

 

'놀고 먹는 족속들 생각하라

육신이 녹슬고 마음이 녹슬고 폐물이 되어 간다는 것을

생명은 오로지 능동성의 활동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일은 보배다.'

-------------------------'밤' 44P

 

 - 사람의 됨됨이 -

 

가난하다고 다 인색한 것은 아니다

부자라고 모두가 후한 것은 아니다

그것은 사람의 됨됨이에 따라 다르다

 

후함으로 하여 삶이 풍성해지고

인색함으로 하여 삶이 궁색해 보이기도 하는데

생명들은 어쨌거나 서로 나누며 소통하게 돼 있다

그렇게 아니하는 존재는 길가에 굴러 있는

한낱 동멩이와 다를 바 없다

 

나는 인색함으로 하여 메마르고 보잘 것 없는 인생을 더러 보아 왔다

심성이 후하여 넉넉하고 생기에 찬 인생도 더러 보아 왔다

 

인색함은 검약이 아니다 후함은 낭비가 아니다

인색한 사람은 자지 자신을 위해 낭비하지만

후한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 준열하게 검약한다

 

사람 됨됨이에 따라 사는 세상도 달라진다

후한 사람은 늘 성취감을 맛보지만

인색한 사람은 먹어도 늘 배가 고프다

천국과 지옥의 차이다.

 

---------------- 88P

그 강함이 가슴을 관통하고 말았다.

총 맞은 것처럼 띵하다.

마음에 새겨 놓고 살아야 할 시다.

달달 외우고 다녀야 겠다.

 

손가락 사이에 매달려 있는 담배와 관조적 시선 박경리 작가

그냥 감동 그 자체다.

 

(이 사진으로 인해 금연의 의지가 꺽이지 않기 바라고

여성부 십장생이 시비 걸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글을 쓰는 사람에게 있어 글의 길이는 중요하지 않나보다.

또박 또박 그 느낌이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보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