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ㅣ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박석무 엮음 / 창비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발자취를 남긴다는 것.....
다산 선생님의 삶과 철학에 끌려 이 책을 펼치게 되었다.
한가로이 책을 읽고 집필할 만큼 여유롭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의연한 삶을 살아 온 모습에 경의를 표하게 된다.
얼마나 억울하고 답답했을까. 참담하기 이를 데 없는 심정이었을 것이다.
본인은 물론이거니와 형제들까지 죄인으로 몰려 뿔뿔이 헤어지게 되었으니 말이다.
그러나 그는 굴하지 않고 학자로서 정치가로서 자기의 생각을 글로 펼쳤다.
저서가 600권이 넘는다고 하니 유유자적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에게
의미하는 바가 많다.
이 책은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는 두 아들 학연,학유에게 보내는 편지로 귀양길에 오르는 마음과 홀로 계시는 어머님을
잘 보필할 것과 폐족인 어려운 상황에서도 굴하지 말고 공부에 전념할 것을 당부하는 내용이다.
과거를 볼 수도 없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을 멀리하지 말고 독서에 힘써 성인(聖人)이
될 수 있도록 정진해야 한다고 몇 번을 강조하고 있다.
공부하고 독서하는 것이 출세를 위한 목적이 아니라 사람됨을 위한 것임을 의미하고 있다.
아들이고 제자이고 그리고 자기 학문과 저서의 독자이길 바라고 있다.
2부에서는 두 아들에게 주는 가훈이다.
비록 멀리 떨어져 있는 형편이지만 가장으로서 아들들의 성장과 사람됨에 관해 당부의 말을 하고 있다.
다산의 국가관, 학문관, 인생관, 가치관이 전달되는 내용이다.
3부는 둘째 형님께 보낸 편지로 흑산도로 귀향 살던 정약전과 서신을 통해 학문을 논하는 내용이다.
서로 억울하게 유배당한 상황에서 학문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다.
모르는 사람이 보면 한가로이 학문을 이야기하는 정겨운 모습으로 볼 수 있겠으나
귀향살이의 답답하고 적막한 상황을 학문으로 승화시킨 성현의 자아에 놀라게 된다.
그 학문의 깊이를 감히 헤아릴 수는 없으나 그들의 의지에 대해서는 감동이다.
마지막 4부에서는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로 그의 애제자들을 아끼는
스승의 정이 고스란히 베어 있는 글이다.
학문에 대한 얘기, 몸가짐에 대한 당부 그리고 재물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사람의 도리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몸을 움직이는 것, 말을 하는 것, 얼굴빛을 바르게 하는 것, 이 세가지(動容貌, 出辭氣, 正顔色)가
학문하는데 있어 우선적으로 마음을 기울여야 할 일이다. -------71p
글하는 일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할 수 있을지 몰라도 배우지 않고 예절을 모른다면 새나 짐승과
하등 다를 바 있겠느냐? --------118p
임금을 섬기는 데는 임금의 존경을 받아야지 임금의 총애를 받는 사람이 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또 임금의 신뢰를 받아야지 임금을 기쁜게 해주는 사람이 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145p
형태가 있는 것은 없어지기 쉽지만 형태가 없는 것은 없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스스로 자기 재물을 사용해버리는 것은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고,
재물을 남에게 나누어주는 것은 정신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물질로써 물질적인 향락을 누린다면 닳아 없어질 수밖에 없지만,
형태 없는 것으로 정신적인 향락을 누린다면 변하거나 없어질 이유가 없다.
무릇 재화를 비밀리에 숨겨두는 방법으로 남에게 시혜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게 없다.
시혜해버리면 도적에게 빼앗길 걱정이 없고 불이 나서 타버릴 걱정이 없고 소나 말로 운반하는 수고도 없다.
또한 자기가 죽은 후 꽃다운 이름을 천년 뒤까지 남길 수 있다. ---167p
지금이 계절적으로 무더운 여름이라서 그의 비참한 생활들이 피부로 와 닿지는 않는다.
만약에 이 책을 매서운 칼바람이 한겨울에 읽었다면 그 느낌이 좀 더 가깝게 와 닿지 않았을까 싶다.
귀양살이의 어려움과 함께 하지 못하는 가족애가 글 속에 겹겹이 베어 있다.
스스로 가장으로서 가족들의 안위를 다시 한번 더 돌아보게 되고
내가 살아가는 지금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보내고 있는 지 반성하게 되는 시간이다.
다산 정약용. 역시 멋진 남자이다.
비록 세상을 잘 못 만나 비참한 삶을 보냈지만 그의 열정과 노력은 몇 백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빛을 발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의 삶이 헛되지 않았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학자로서, 정치가로서 그리고 아비로서의 모범적인 삶을 살다간 풍운아 정약용.
그의 유배길을 따라 남도 강진에 가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