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 멧돼지 곳니 작은거인 50
홍종의 지음, 이은천 그림 / 국민서관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로서로 적당한 거리에서 지켜봐 주는 것도 산의 규칙이다.

내 자리로 들어왔다고 다 적은 아니다.

들어왔다면 들어오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 이유를 찾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 대장 멧돼지 곳니 중 발췌-


코로나로 인해 직접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해졌다.

아이들이 학교생활을 통해 배워야 할 것들중

관계형성과 유지등의 방법을 배워 나가는 기회이기도 하다.

아쉬움을 달랠만한 책을 발견했다.

 

《대장 멧돼지 곳니》

홍종의 글/ 이은천 그림/국민서관


사고로 무리에서 이탈한 야생의 어린 맷돼지가 곳니는 집돼지와 함께 사람 손에서

자란다. 처음 읽으면서 정글북이 생각났다.

어릴때 있던 줄무늬가 없어지고 뿔을 가진 멧돼지로 성장 할 수록

집돼지 엄마의 걱정도 커지고 친구 진돗개 꿍이와도 티격태격이다.


다름을 모르고 자라던 곳니는 점점 자신이 살아가야 할 곳으로

떠나야 한다는걸 강요 받게 된다.

친구 진돗개 꿍이도 야생의 멧돼지들이 자주 인가로 내려와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며 곳니에게 너 역시 그런 존재일거라고

한다. 집돼지의 음식을 먹고 자란 곳니는 꿍이의 그런 말들이

이해가 되지 않을뿐 아니라 같은 부류로 취급하는 것 자체를 싫어한다.


곳니의 의지와는 다르게 집돼지 우리를 떠나야 할 일이 생긴다.

결국 야생으로 돌아오게 되었으나 아무런 준비없이 돌아오게 된후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된다.

 

 

뉴스에서 가끔씩 멧돼지가 마을에 출몰하고 많은 농작물을 훼손한다는 보도와

생포를 했다거나, 사살되었다는 보도를 접할때마다

두려움을 느끼고 우리의 일상을 위협하는 멧돼지들의 개체수가 너무 많아서 일까?

라는 의문을 갖기도 한다.


그러나 뉴스의 말미에는 먹을 것이 없어 마을까지 내려오게 되었다는 보도가 전해진다.

사람들의 욕심으로 개발되어 동식물들의 터전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대장 멧돼지 곳니》는 집돼지에서 자신의 본성을 찾아가는 성장 이야기 동화이다.

어린시절 가족을 잃고, 형제들을 죽게한 다른 무리의 멧돼지 짝귀와의 승부

친구 진돗개 꿍이가 사냥개로 성장해 만나 싸우게 되는 상황들을 해결해 나가면서

무리의 대장이 된다.


무리가 커지면서 다른 멧돼지의 자리를 침범하고 내몰린 무리들은 마을로 먹이를

찾아 내려온다. 삶의 터전이 넉넉했다면 일어나지 않은 일들이지만

사람들의 무차별적 개발로 인해 삶의 터전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먹이를 구하기 위해

마을까지 내려오게 된다.


사람들의 개발로 실질적인 피해는 사람들이 받게 되는 것이다.

 

 

《대장 멧돼지 곳니》는 무리를 이끄는 우두머리로 성장해 가는 모습속에

자연의 섭리, 관계의 섭리 또한 가르쳐준다. 지나친 욕심을 부리다 보면

그 욕심으로 누군가는 그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파괴를 일삼기 때문이다.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존재라고 단정하기 전, 동물들이 가해자인지

피해자인지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고,

본문내용중에 '서로서로 적당한 거리에서 지켜봐 주는 것'이 삶의 규칙이 아닐까 한다.

내자리에 들어왔다면 들어온 이유를 생각해 봐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