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해 개의 별, 단 하나의 나
세스 피시만 지음, 이저벨 그린버그 그림, 최순희 옮김 / 다섯수레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에는 나무가 몇 그루나 있을까?

우주의 별을 다 셀 수 있을까?

어디까지 상상할 수 있을까?



초등 4학년 1학기에 숫자읽기를 본격 시작한다. 나도 잘 기억 나지 않는

해, 경, 조까지를 읽고, 쓰고를 한다.

그 단위들은 물론 기억하고 있지만 동그라미가 몇개 붙는지 

바로 답할 수 없을 만큼 낯설고 당황스러워진다.

아이의 공부를 봐주면서 나도 가끔 이런걸 왜? 이렇게 배우는걸까?

의문이 든다. 스토리텔링수업이라고 알고 있는 내용들도

이렇게 하는 이유라든가, 교육의 목적이 다소 의심스럽기까지 하다

책의 교재는 여전히 암기식으로 편집과 인쇄만 달라진것 같아서 서운하다.

2학년이 되는 둘째 아이에게도 5학년이 되는 아이에게도

상상할 수 있는 수 개념이 필요할 것 같았다.

그림책 형식이라면 눈으로 수를 본다는 점에서 좋은 장점이 될 것 같다.



<<천해 개의 별, 단 하나의 나>>

                       세스 피시만 글

                  이저벨 그린버그 그림으로 

                  다섯수레에서 출판 되었다.


그림책 형식을 갖춘 지식책이다. 책은 우주의 별로 이야기는 시작한다.

우리와 별자리와의 거리를 숫자로 알려준다.

지구가 푸른빛인건 바다를 가득 메운 

14,0000,0000,0000,0000,0000리터의 물 때문이란다.

지구가 초록빛인 건 땅 위를 가득 채운 

3,0000,0000,0000그루의 나무들 때이라고 한다.

아이들이 작가가 어떻게 이런걸 알아냈는지 궁금해 했다.


작가의 말을 빌자면 본인의 관심과 그동안의 정보축적을 기반으로

어림으로 생각해 냈으며, 숫자는 늘 변동되기 때문에

책에 나온 숫자에 이르렀거나, 지났을 거라는 것이다.


표준체취를 통해 측정한 것도 있어서 어느정도 정확성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고 한다.


세상의 모든것을 수치화로 가늠하게 해준다.



지구로 부터 달은 38,4000킬로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지구 주위를 맴돈다.

지구가 끌어당기는 힘을 중력이라고 한다. 그 중력은 아무리 팔짝

뛰어오르려고 해도 중력은 지구에 붙잡아 두려하는 성질이라는 것



세상에서 가장 높은 건물의 높이, 세상에는 토끼가 수치를 예상해보고

우리는 평생 16만 킬로미터를 걸어나니는데 지구를 

다섯 바퀴는 도는 셈이라고한다.

요즘처럼 걸을 일이 없는 현실에서도 지구를 다섯바퀴가 가능 할까?

의문이 든다.



우리가 책을 읽는 중에도 숫자는 끝임없이 변하고 있고

계속해서 더 커지거나 더 작아지고 있는 변화의 순간을 

우리를 살고 있다. 우주의 별의 개수도 마찬가지다. 

책 속에서 큰 수 읽는 규칙을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아이들마다 다르겠지만 눈으로 보고 이해하는 아이들에게는

장점을 가진 책이다. 

이 책으로 수를 공부하는 책은 아니지만 수를 공부가 아닌 일상에서

수수께끼처럼 궁금증을 풀어가는 경험으로 책을 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