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로 산다는 것 - 가문과 왕실의 권력 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야 했던 운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로맨스 책을 참 좋아합니다.

로맨스 책에선 왕비가 되는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그런지 내가 만약.. 왕비가 되면 어떤 삶을 살까 하고 혼자 상상합니다.

그래서 이 책이 나왔을 때 ... 내가 꿈꾸는 왕비 상이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 속에서 책을 신청을 했습니다.

아니면 혹시나 역사인물로 빙의된다면 나는 어떤 왕비나 세자비가 될까 하는 마음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조선조 왕 27명 중에 적자 출신은 7명이고, 세자빈으로 간택이 되고, 남편이 왕이 되고 그리고 왕비가 되어서, 아들을 낳고 그 아들이 왕이 된 왕비는 조선 역사상 명성왕후 1명뿐이 없습니다.

이 위의 글을 읽는 순간 조선왕조의 왕비들도 치열한 삶을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쯤에서 한국의 왕비의 삶에 대한 꿈은 버렸습니다.

그리고 읽으면서도 느낀 건 왕비라는 이름의 왕과 신하 사이에 정략적인 하나의 바둑판의 돌과 같은 인생을 살았구나 싶네요.

간혹 여걸 같은 왕비님도 있지만 대부분 다 안타깝습니다.

그중에 세조의 3명의 며느리를 이야기 살짝 정리해 보았습니다.

세종의 첫 번째 며느리 희빈 김 씨

세자에게 사랑을 받기 위해 압승술(주술을 쓰거나 주물은 외워 요사스럽고 나쁜 기운을 눌러 없애는 방술) 하는데.

"남자가 좋아하는 부인의 신을 잘라서 불에 태워 가루를 만들어 가지고 술에 타서 남자에게 마시면,

내가 사랑을 받게 되고 저쪽 여자는 멀어져 배척을 당한다."

"암수의 뱀이 교접을 할 때 흘린 정기를 수건으로 닦아서 차고 있으면, 반드시 남자의 사랑을 받을 수 있다."

호조는 기생 하봉래의 말 전한다.

이런 압승술을 하다가 결국엔 들켜서 세자빈의 자리에 내치게 되는데,

세자빈 이전에 남편에게 사랑받고 싶은 한 여자구나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세종의 두 번째 며느리 순빈 봉 씨

가문과 부덕은 기본, 용모를 보고 선택한 세자빈. 세종은 첫 번째 며느리 희빈 김 씨가 생각나 <열녀전>을 가르치게 했지만,

며칠 만에 책을 뜰에 던바 버렸고, 술을 마시며 자유분방하게 살았다.

하지만 순빈 역시 세자와 잘 지내지 못하고, 외로움에 동성애에 빠지는데, 그로 인해서 파출 당하고 맙니다.

세종의 세 번째 며느리 권 씨 (현덕왕후)

세자의 후궁 중에 검증을 받은 이로 들였지만, 단종을 낳고 출산 후유증으로 이틀 만에 승하하고 말았다.

문종은 왕이 되자마자 권 씨를 현덕왕후라고 올리고 그 후에 왕비를 들이지 않았습니다.

단종을 위해서라도 현덕왕후는 살았다면 좋을 텐데 하고 조심스레 생각했습니다.

그 밖에도..

연산군을 끝까지 사랑하는 폐비 신씨

인조반정의 적극적으로 한 내조의 여왕 인열왕후 한 씨

역대급 품성의 효의 황후 김 씨 그녀는 비운의 사도세자의 아내

7번의 수렴 청전 왕비님

등등... 알지 못하는 조신시대의 궁궐의 대조전의 그 살얼음판 같은 왕비님의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이 책의 도입부에서 나온 '주부여 왕비가 되자'라는 필자의 말씀에 저는 왕비 안 하렵니다.

자신도 없고 너무 안타까워요.

하지만 조선왕조 500년의 궁궐을 지켜온 왕비님들의 이야기는 할아버지의 옛날이야기만큼 재미있습니다.

같은 역사라도 누군가의 시점인지에 따라 달리보이는 것도 정말 재미었습니다.

왕과 참모의 이야기도 찾아 봐야 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