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초 편지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야생초 편지 2
황대권 지음 / 도솔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책 선택 기준은 단순히 방송에서 권장한다던가, 신문 지면의 선택이라든가 또는 베스트셀러이기 때문이라던가하는 이유와는 전혀 다른 곳에서 찾는다. 그렇다고 연간 독서 계획을 수립하여 짜임새 있게 읽는 편도아니다. 다만 개인적 관심이나 호기심을 충족 시켜 준다거나 혹은 약간의 지적 허영감을 만족 시켜줄때 선뜻 책을 선정 한다. 이번에 이 책을 읽게 된것은 업무상 관련이 있는 분이 이 책을 읽고 있는 것을 우연히 보았고 이를 업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겠다는 편리에 의해서 읽게 되었다. 그리고 그리 만족할 독서를 했다고 하기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문득, 저자의 약력(물론 저자의 학창시절 전공도 포함)과 책의 주제를 파악하면서 김수영의 풀에 대한 인상을 매우 깊게 느낄수 있었다. 한마디로 민중에 대한 절절한 사랑이라고 하는 조금은 색다른 해석이다.

(전략)
날이 흐리고 풀이 눕는다
발목까지
발밑까지 눕는다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날이 흐리고 풀뿌리가 눕는다

바람부는 사소한 자연현상에서 현실의 어려움을 찾아내고, 먼저 일어나고 먼저 웃는 풀 처럼 민중은 여전히 희망을 노래하고 있음을 이 시는 말하고 있다. 풀은 가장 흔하면서 가장 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민중 또한 누대를 거쳐 가혹하지만 여전히 희망을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상관관계가 저자의 약력에서도 고스란이 용해되어 있고, 어쩌면 주워진 환경(감옥생활)속에서 너무 자연스럽게고 동화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과연 21세기의 화두인 환경 문제에 까지 발전적인 진화를 거듭하였다.

개인마다 야생초에 대한 인상은 다를 것이다. 약초를 도모하는 사람, 실내 장식으로 야생초를 기르는 사람, 저자와 같이 환경 문제로 고민하는 사람, 아니면 그저 풀로써 농사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사람 등등.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혀 다른 시각에서 조명한 야생초에 대한 깊은 단상은 미니멀리즘 시대의 또 다른 가치관을 부여하는 참 작업이었다. 책 말미에 첨부 된 녹색평론 10주년 창간 기념 기념강연은 저자의 환경에 대한 성찰을 잘 이해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