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잘하는 사람 일 못하는 사람
호리바 마사오 지음, 은미경 옮김 / 오늘의책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세상에서 진정 새로운 것은 없다는 명제에 다시한번 수긍 할 수 밖에 없다.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을 새롭게 재 조명해 보는 차원에서, 소위 말하는 새로움은 탄생 된다는 한계 상황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절망 할 수 밖에 없음은 이 시대의 동일한 화두다. 물론 여기서 또 흔히 말하는, 콜롬부스의 달걀을 언급한다면 절망은 크레바스에 떨어지는 비극적 상황으로 발전 하고 있음을 지켜 보아야 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 책에 언급되어있는 대다수의 제언들은 이미 5,6년전에 익히 경험 했던 일이고 실질적으로 그러한 경우를 직접 행위하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것도 없고 앞으로도 새롭다는 인식을 갖을 수 없는 제언일 뿐이다. 다만 구슬을 꿰어야 진정한 값어치를 생산 할 수 있다면, 실천의 문제는 결국 별개의 이슈가 될 것이다. 저자도 언급하였지만 사회적 할동을 하는 데 있어서 동양적 사고를 가진 인간과 서양적 사고를 가진 인간의 행동 양태가 동양적인 것보다 서구적인 것이 훨씬 우등하다는 점은 중세 이후의 산업화 과정을 보면 일견 수긍이 간다.

결국 생산성의 문제와 합리성의 문제로 귀착 된다는 점은 부정 할 수 없을 것이다. 즉,산업화의 문명적인 부분에 국한 한다면 그렇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류 문명의 본질이 물질적 풍요를 전제하는 산업화의 고도화에 국한 한다면 이 제안은 본질적으로 동의 될 수 있지만 결코 필요 조건은 될 수 있으나 충분 조건은 될 수 없다는 딜렘마를 태생적으로 잉태하고 있다는 것을 간과 할 수 없다.왜, 적어도 서양의 산업 혁명이 있기전까지, 중세 이전은 동양의 문명이 서양의 문명을 휄씬 압도하였다는 증거를 우리는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패전 후 기업을 일으키면서 종신고용, 연공서열, 기업 내 노조라는 3대 신기를 바탕으로 가히 경이적인 경제 모델을 구가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동양적 사고 방식을 전제한 기업 경영의 모토는 급격한 지구촌화의 글로벌 경제 체제하에서 경쟁력을 상실해 가고 있고 결국 80년대 부터 90년대까지 지속적인 경기 침체를 겪고있다. 이를 극복 할 수 있는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은 지금 까지 원동력이 되어왔던 3대 신기를 부정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펼치는 것이고 여기에 도용 된 것이 서구적 합리를 바탕으로 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 패러다임의 구축이다. 이것은 전혀 새로울 것이 없다. 어쩌면 이 시점에서 이런 경험이 회자 된다는 것은 오히려 견강부회의 어설픈 슬픔을 떠올리게한다. 서구에서 이미 오래 전에 사용 된 모토의 일본적 도입에 더 나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