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허한 십자가 (특별보급판)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자음과모음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아직까지 끝나지 않은 논쟁 중 하나인 사형제도.
학생때 이 주제로 찬반 레포트를 작성했던 기억이 어렴풋이 난다.
난 어느편에 서서 논쟁을 이끌었던가
아마도 찬성이었던 것 같다. 최근 몇년간 우리나라에서 사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무리 극악무도한 살인을 저질렀더라도 최고형은 무기징역이다. 살인자라 할지라도 인간이 과연 인간을 처벌하고 살인죄라는 명목하에 살인을 일말의 양심, 죄책감없이 죽일 수 있을까
만약 잘못된 판결하에 무고한 사람을 살인자로서 죽음에 몰아 넣을 가능성도 있지 않은가, 사형제도를 완벽히 인정함으로 `사형` 이라는 것 자체가 다소 가볍게 생각되진 않을까 등등 반대편의 주장들이 있다. 종종 기사에서 끔찍한 살인, 상해사건을 읽게되면 너무 화가나고 분노가 차오른다. 대부분은 도대체 왜 이런짓을 저질러야 했을까 이해가 안가는 사건들뿐이다. xx의 사건으로 사회에 엄청난 큰 충격을 준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의 범인은 벌써 몇년뒤면 출소한다. 과연 이범인은 자신이 저지른일을 그 짧은시간동안 속죄를 했을까? 난 아니라고 생각한다. 단지 그렇게 보일뿐. 난 속죄할 수 있는 죄에는 범위가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 범위안에 살인은 들어가지 않는다. 몇년뒤면 씻을 수 없는 고통을 준 범인과 같은 사회, 대한민국안에 존재하게된다. 이 사실만으로 유족들과 피해자들은 악몽에서 벗어날 수 없다. 누가 과연 이들의 고통을 보상해 줄 수 있는것인가
아무 관계없는 나도 이렇게 분노가 치미는데 피해자와 유족들의 마음은 어떠할까. 내가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다.
사요코도 이런 통한을 갖고 `사형 폐지론이라는 이름의 폭력`을 저술한다.

한 아이가 있다. 그 아이를 사형 폐지론 찬성자로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다. 사람을 죽이는 것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사형이라는 제도는 국가가 사람을 죽이는 것이다. 하지만 국가를 이끌어 가는 것은 사람이다, 즉 사형제도는 모순되어 있다 - 이런 식으로 말하면 된다. 그러면 대부분의 아이는 납득할 것이다. 나도 그것을 납득할 수 있는 아이로 있고 싶었다.

 

'사형 폐지론자의 눈에는 범죄 피해자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유족은 단순히 복수를 하기 위해 범인의 사형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 한번 상상해보기 바란다. 가족이 살해당한 사람이, 그 사실을 받아들이기까지 얼마나 큰 고통을 견뎌야 하는지...... 범인이 죽는다고 해서 피해자가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면 유족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무엇을 손에 넣으면 가슴속에 쌓인 응어리를 풀 수 있는가? 사형을 원하는 것은 그것말고는 유족의 마음을 풀 수 있는 길이 없기 때문이다. 사형을 폐지한다면, 그렇다면 그 대신 유족에게 무엇을 줄 것인지 묻고 싶다.

가령 사형 판결이 나온다고 해도 그것은 결코 유족의 승리가 아니다. 유족은 그것을 통해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 다만 필요한 순서, 당연한 절차가 끝났을 뿐이다. 사형 집행이 이루어져도 마찬가지다. 사랑하는 사람을 뺴앗겼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고 마음의 상처가 치유되는 일도 없다. 그렇다면 사형이 아니라도 상관없지 않느냐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렇지는 않다. 만약 범인이 살아 있으면 '왜 범인이 살아 있는가? 왜 범인에게 살아 있을 권리를 주는가? 라는 의문이 유족의 마음을 끊임없이 갉아먹는다. 사형을 폐지하고 종신형을 도입하라는 의견도 있지만, 유족의 감정을 털끝만큼도 이해하지 못한 말이다. 종신형에서 범인은 살아있다. 이세상 어딘가에서 매일 밥을 먹고, 누군가와 이야기하고, 어쩌면 취미도 가지고 있을지 모른다. 그렇게 상상하는 것은 유족에게 죽을 만큼 괴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몇 번씩 끈질기게 말하지만, 사형 판결을 받는다고 유족의 마음이 풀리는 것은 결코 아니다. 유족에게 범인이 죽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흔히 '죽음으로 속죄한다'는 말을 하는데, 유족의 입장에서 보면 범인의 죽음은 '속죄'도 '보상'도 아니다. 그것을 슬픔을 극복하기 위한 단순한 통과점에 불과하다. 더구나 그곳을 지났따고 해서 앞이 보이는 것도 아니다. 자신들이 무엇을 극복하고 어디로 가야 행복해질지는 여전히 모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통과점마저 빼앗기면 유족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 사형폐지란 바로 그런 것이다.

 


계속 고개를 끄덕거리며 맞아맞아 읖조리며 읽었지만 사요코의 딸을 무참히 살해한 살인자의 변호인 얘기를 들으니 내 확고한 생각에 틈이 생겼다. 조금씩 무너지려고 위태해졌다.

사형제도 자체가 형벌이라고 여기지 않고 자신에게 주어진 운명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그래서 다른사람은 어떻든 상관하지 않게 되고 진정한 반성에 이르지 못한다는 것이다.

"사형은 무력(無力) 합니다."

이 말 하나가 지금까지 수많은 문장으로 주장했던 사형제도 찬성을 무력화시키는 것 같았다.

가벼운 장르소설로 생각하고 읽었지만 사형제도란 주제에 대해 다시 심도있게 생각하게 되었다.

 

"사람을 죽인 자는 어떻게 속죄해야 하는가, 아마 이 의문에 대한 모범 답안은 없겠지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5-31 23:2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