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한 것들의 과학 - 물건에 집착하는 한 남자의 일상 탐험 사소한 이야기
마크 미오도닉 지음, 윤신영 옮김 / Mid(엠아이디)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딱딱하고 어렵게만 생각했던 과학을 비교적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해준다.
과학이라는 범주는 상상이상으로 넓어서 모든 것을 다 담을 수 없기에 이책에서는 우리가 매일매일 보고 있지만 생각하지 않고 그냥 지나치는 재료들 철, 종이,콘크리트, 플라스틱, 유리등을 다루고 있다.
유리가 모래와 같은 구성성분으로 되어있어 모래로부터 유리를 만들 수 있고 모든여자들의 로망인 다이아몬드가 연필의 흑연과 같은 성분이라니 재료들의 세계는 신기한 마법같다.
내가 즐겨읽는 전자책은 진짜 잉크를 이용해 글자를 표시하고 잉크는 야누스입자라고 불리는 형태인데 두면은 서로 반대되는 전기전하를 띠고 있어 전자종이의 모든화소는 적절한 전기전하를 가하면 어둡거나 흰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야누스 입자는 진짜 물리적인 입자인 까닭에 글자가 바뀔때 물리적으로 회전을 해야 하므로 아이패드나 스마트폰처럼 화면이 빨리 바뀌지 않는다.
크레마카르타로 전자책을 읽을때마다 넘어가는 속도가 너무 느려 기술이 덜 발전했다느니 왜 이렇게밖에 못만들지 불평불만 했던 내가 부끄러워졌다. 과학을 몰랐던 내 무지를 지금이라도 깨닫게되서 다행이다.
재료의 구성요소, 구조, 만들어지는 원리등을 설명하고 있지만 지루하게 늘어놓는게 아니라 작가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그림과 사진으로 재미있게 풀어놓는다.
고등학교때 화학이 어렵고 지루해서 지금까지 흥미를 갖지 못했는데 이책은 나에게 화학이란 것도 재미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바꾸는 계기가되었다.
내 생각을 바꿀 수 있다니!!! 아직까진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간 부분도 있고 어렵게느껴지지만 약간의 흥미를 갖게 해준것만으로도 대단한 책이다. 작가의 이야기 방식이 내생각의 변화에 큰 영향을 준것같다. 과학자는 어렵게만 이야기하고 재미없어. 란 내 고정관념을 깨주었으니깐!

89p
하지만 사랑하는 사람이 만진 바로 그재료를 손에 들고 종이에서 나는 달콤한 숨을 마시는 것이야말로 진짜 사랑이다.

90p
종이의 어떤면 때문에 우리는 그냥 있었으면 비밀이 됐을 말을 표현하게 되는걸까 보통 혼자 있는 순간에 편지를 쓰게되고, 그때 종이는 감각적인 사랑에 스스로를 내어준다. 쓰는 행위는 근본적으로 감동적이고 흘러넘치며 번창하는 하나의 행위다. 사랑스러운 방백이나 가벼운 묘사, 그리고 키보드라는 기계의 도움을 받지 않는 개인성이 한데 모인것이다. 잉크는 정직함과 표현력을 갈망하는 일종의 피가 돼 종이에 부어지고 생각이 흘러가도록 허락한다.
편지는 찢기 어렵다. 꼭 사진처럼, 페이지에서 영원히 메아리를 울리기 때문이다.



평범하게 보이는 사진이지만 그안엔 수많은 재료들이 있다.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도 있듯이 이책을 읽고 나서 내주변의 수많은 사물들이 조금씩 다르게 보이기 시작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