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난 도일을 읽는 밤 - 셜록 홈즈로 보는 스토리텔링의 모든 기술
마이클 더다 지음, 김용언 옮김 / 을유문화사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나는 세계창작동화집을 읽으며 밤을 샌 적이 있다. 한 여자 아이의 일상을 따라가다 보면 그 아이의 작은 모험담이 상상의 세계처럼 펼쳐져 나의 잠을 빼앗아 갔다. 나는 밤새, 숲 속으로 모험을 떠나는 아이의 둿 모습에 매료되어 잠을 잊었다. 이 책의 저자는 추리소설을 읽기 위한 분위기를 만든다. 가족들이 없는 밤, 미리 준비한 간식과 손전등 그리고 운 좋게 만난 천둥치는 밤을 말이다. 이렇게 완벽한 밤에 홈즈라는 인물을 만나 코난도일의 책과 사랑에 빠진다.

오랜 시간 우리들의 마음을 잡아당기는 책속의 매력적인 인물이 있다. 나에게는 그리스인 조르바조르바가 그러했고 박완서의 그 남자네 집에 나오는 그 남자도 그러했고 알베르 까뮈의 이방인에 나오는 뫼르소도 그러했다. 홈즈는 그 인물들 중 단연코 1위가 아닌가 한다. 특히나 영국 BBC드라마로 재구성 된 이후로 그 인기는 더 깊어졌다. , 뒤 챙이 있는 모자를 쓴 초이성적인 홈즈, 언제나 사리분별한 왓슨 박사, 모든 악의 집결지 모리와트 박사의 인물 구조는 홈즈 시리즈를 읽는 독자들의 마음을 들었다 놨다 한다.

코난 도일은 의학을 전공했으며 20대부터 단편을 발표하고 소설에서부터 이혼법 개정, 콩고에서 학대 받는 아프리카인들의 고통 등에 관한 글까지 다양한 집필활동을 했다. 50여년에 걸친 집필 기간 동안 21권의 소설과 150편이 넘는 단편까지 상당히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는 인상적인 여러 캐릭터를 창조하였지만 단연코 돋보이는 인물은 홈즈, 왓슨 그리고 모리아티이다.

소설 속 인물은 사건을 이끌어 나가며 독자와의 공감을 주고받는다. 셜록 홈즈에는 우리 현실에서 있을 법한 혹은 현실과 괴리감이 느껴지는 사건이 펼쳐진다. 특정한 인물들을 끌어와 단서와 매치시켜 몽환적이면서도 명쾌한 추리쇼가 된다. 초이성적이고 냉정한 그리고 감정이 없는 셜록은 상황과 순간으로 판단을 내린다. 언제나 친절하고 이웃집 아저씨같이 다정한 왓슨은 셜록의 곁을 지키는 유일한 친구이다. 모리아티는 똑똑하고 지적인 존재이지만 한 순간의 증모를 품고 악의 근원이 된다. 결국, 이 세 인물은 하나이면서 하나가 아닌 코난 도일 그 자체였던 것이다.

이성적이고 감정이 배제된 코난 도일의 이상적인 모습의 셜록과 현실의 코난 도일인 존 왓슨 그리고 악한 모습(어떻게 보면 사건을 창조하는 그 자체)의 코난 도일의 모리아티는 이면서 의 인물이다. 너와 나를 떨어뜨려 놓고 보면 낯선 누군가가 있기 마련이다. 우리가 만나는 일상은, 매 순간이 지금이며 과거이고 나의 도플갱어의 연결고리인 것이다. 또 라른 나와 내가 만나 완벽한 내가 되고 독자의 평정심을 유지하기 위한 악한 나의 모습을 삽입시켜 놓는다. 그래서 코난 도일은 셜록의 죽음을 만들어 완벽한 나에 대한 경고를 스스로에게 그리고 독자들에게 경고를 하기도 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셜록이 죽었지만 죽지 않았다는 것이다. 완전한, 완벽한 이성은 죽지 않고 끊임없는 창조 안에 존재하며 삶이 계속 이어지는 동안은 우리가 추구해야 할 학문적, 문학적, 종교적 가치인 것이다. 물론 코난 도일은 사건의 창조가 글을 쓰는데 압박으로 작용하여 코난을 죽였다고 했지만 그의 내면에 내재된 세계관이 반영된 것이 아닌가 한다.

코난 도일의 셜록을 보면서 나를 거울에 비춰본다. 거울 속의 나와 거울 밖의 나 그리고 거울을 사이에 둔 나. 우리는 누구나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다. 특별하거나 특별하지 않거나는 그런 나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달린 일이다. 지금, 당신의 모습을 빛나는가. 그렇지 않은가. 스스로를 빛내기 위해서는 좀 더 자신을 사랑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스스로에 대해서 더 잘 알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코난 도일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다 이야기 을유세계문학전집 66
스노리 스툴루손 지음, 이민용 옮김 / 을유문화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다이야기가 내게 말을 걸다.

 

에다 이야기는 게르만 신화 이야기이다. 우리가 접한 그리스·로마 신화와 다르게 게르만 신화는 웅장하고 크고 박진감이 넘친다. 아마도 게르만 민족의 성향이 묻어나서 그런 게 아닌가 한다. 이 책의 오딘과 토르 이야기를 흥미진지하다. 만물의 아버지인 오딘과 모든 신과 인간 중에서 가장 강한 토르.

특히, 토르라는 인물이 영화에서 많이 등장해서 친숙하고 익숙했다. 망치를 든 토르, 그 망치를 들기 위해서는 장갑을 껴야 한다. 그리고 파워 허리띠까지 차야 비로소 토르의 힘의 근원이 생기는 것이다.

책의 도입부에 방문자가 더 현명하지 않으면 거기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란 말이 나온다. 우리는 어떤 상황이든지 그 상황만 보고는 판단하면 안 된다. 그 상활이나 일의 이면을 보고 두로 보고 넓게 볼 수 있어야 한다.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더 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는 책을 읽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책의 내용에만 집중하다 보면 그 안의 진정한 의미는 눈앞에 두고 그냥 스쳐지나갈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흥미진진한 부분은 토르가 자기 자신과 겨루는 대목이다. 힘으로도 그 어떤 것으로도 스스로를 마주한다는 것은, 스스로를 이긴다는 것은 싸움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바로 보는 것이다. 내가 나를 위기기 위해 나의 존재조차 망각하다보면 결국 싸움은 싸움으로 끝나고 만다.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다양한 사람을 만난다. 그 사람들 안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방법은 그 사람의 이면을 바로 보고 지켜봐 주고 이해해주며 공감하는 것이다. 그것은 단시간에 되는 일이 아니다. 끊임없이 공부하고 책을 보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야 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나 스스로를 이해하고 바라볼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

에다이야기에서의 게르만 신화는 영적인 지혜가 담긴 이야기라고 한다. 영적인 것이라는 것은 대지에서 불타서 재가 되어도 죽지 않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생명체는 한정된 시간 속에서 죽음을 맞게 된다. 그러나 영적인 지혜는 세대를 거듭할수록 겹겹이 쌓이는 것이다. 그것이 책일 수도 있고 업적일 수도 있고 이름일 수도 있다.

우리는 오딘과 토르 같은 존재가 아니지만 그네들과 동등한 입장에서 삶을 누린다. 이 삶은 시간도 생명의 길이도 아닌 살아 있는 존재인 것이다. 삶에서 존재한다는 것은 나를 얼마만큼 알고 나아가는 것이다. 오딘이 끊임없이 여행을 하는 것처럼 우리도 삶의 긴 여정을 따라 나아간다. 마치 우리네 삶은 순례자의 길과 같은 것이다. 황폐한 자연에 내던져져 낮과 밤의 깊이만큼 걷고 먹고 잠을 자며 스스로에게 물음을 던진다. 이 물음의 답은 이미 내 안에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끊임없이 묻고 걷는다. 그 대답이 정답이라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그저 묻고 답하며 스스로의 존재를 확인해 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순례자의 길을 포기하지 않고 묵묵히 수행하다보면 영적인 지혜가 된다.

어쩌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오딘의 여행길에 동반자로 길을 걷고 있는지도 모른다. 토르처럼 힘으로 제압을 하거나 싸우는 일도 생길 수 있다. 비다르처럼 침묵할 때도 로키처럼 중상모략을 했을 수도 있는 것이다.

결국, 에다이야기는 게르만신화이면서도 우리의 이야기가 축소되어 들어가 있는 것이 아니가 한다. 책장을 덮고 나서, 흥미진진한 영화 한편을 본 것처럼 재미있고 그 재미 뒤에 있는 그들의 이야기에 반해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 강의, 그러나 영원히 기억될 이야기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베라는 남자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최민우 옮김 / 다산책방 / 201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그를 잊지마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정래의 시선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 조정래닷!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