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 정리의 마법 - 저절로 돈이 모이는 초간단 재테크 습관
이치이 아이 지음, 홍성민 옮김, 이병수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돈 정리의 마법》에서 발췌하여 필사한 내용입니다.
저자는 실상은 돈이 '없는'것이 아니라 사방으로 '흩어져'있어 보이지 않는 것이라고 말한다. 돈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잔고만을 의식할 게 아니라 돈이 오가는 '통로'를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원래 평범한 가정주부였던 저자는 남편의 회사가 부도가 나서 하루아침에 직장을 잃고 실의에 빠졌던 경험을 계기로 '돈의 통로'를 정리하기 시작했다.
저자에 따르면 우리 주변에는 분명 돈이 지나다니는통로가 있다. '지갑'과 '통장'은 현금이 지나다니는 재정의 통로, '냉장고'는 식재료가 오고가는 식비의 통로, '수첩'은 앞으로 예상 지출을 알 수 있는 소비의 통로이다. 방이 어질러지면 정신이 산만해지듯이, 돈의 통로가 어수선하면 돈이 어디로 나가는지 모르게 사방으로 흩어져버린다. 그러므로 돈이 오가는 길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을 간단하게 정리하기만 해도, 돈의 흐름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새나가는 돈을 막아 낭비 없는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단순히 참고 인내하며 노력해야 하는 절약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돈이 모이지 않고 나가기만 하는 원인을 찾아서 미처 깨닫지 못했던 잘못된 생활 습관이나 소비 패턴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짚어준다. 이로써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는 것이 돈을 모으는 지름길임을 강조한다.
돈이 드나드는 '통로'가 있다. 설레는 마음으로 실천하자. 지갑을 정리하라. 지갑은 마음의 거울이다. '오늘'의 지갑이 '미래'의 저금을 만든다. 카드는 5종류로 분류해 5장만 지갑에 넣는다. 신용카드는 1장만 사용한다. 포인트카드는 3장으로 줄인다. 할인권은 챙기지 않는다. 체크카드도 필요 없다. 증명서는 1장만 갖고 다닌다.
돈이 모이는 통장 관리 7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주거래은행'을 정한다.
2. 통장은 '하나'로 압축한다.
3. 통장은 '종합계좌'로 만든다.
4. 정기예금을 담보로 '예금담보대출'을 받는다.
5. '휴면계좌'는 전부 해지한다.
6. 돈 인출은 '한 달에 2회'로 정한다.
7. 쓰고 남은 금액을 표시한다.
식비가 줄어드는 냉장고 관리 5단계는 다음과 같다.
1. 불필요한 것을 버린다.
2. '일주일 치 장보기 리스트'를 만든다.
3. 장보기는 '일주일에 2회'로 요일을 정한다.
4. 칸별로 용도를 나누고 식재료의 위치를 정한다.
5. 부족한 영양 코너를 만든다.
수첩 정리의 '3가지 메모' 노하우는 다음과 같다.
1. 예정과 '금액'을 함께 적는다.
2. 일요일에 지갑 속 '잔금'을 확인해서 적는다.
3. 지갑을 '열지 않는 날'을 표시한다.
돈을 '인출하는 날'을 적는다. 월별 '특별 지출 예산'을 적는다. "우리 집은 빚이 없어요." 그렇게 말하는 사람도 눈에 띄지 않는 빚을 얕잡아봐서는 안 된다. 주택담보대출은 물론, 카드비, 필요 이상으로 지출하는 휴대전화비, 보상 내용이 중복된 생명보험, 자주 시청하지 않는 케이블TV 가입 요금 등이 그것이다. "그게 빚인가?" 고개를 갸웃거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동이체로 빠져나가는 돈은 5년 뒤, 10년 뒤의 돈을 강탈하는 존재가 될 수 있다. 이것은 곧 빚이다. 20년 뒤, 30년 뒤의 노후도 생각해야 하지만 지금 빚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이 '빚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자각하는 것만으로 극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이것이 빚을 정리하는 첫걸음이다. 그러나 6년이 지난 지금, 내게 돈에 대해 불안은 전혀 없다. 돈이 없는 진짜 이유는 '돈의 통로가 어질러져 있기 때문'임을 알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질러진 통로를 정히하면 돈이 모인다'는 것도 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