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뇌과학 - 똑같이 공부해도 성적이 2배로 오르는 아이들의 비밀
양은우 지음 / 카시오페아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에 관한 책에 관심이 많다. 뇌라는 기관을 잘 아는 것이 삶에 효율성을 가져다준다는 생각이 들고 뇌에 대해 이해와 더불어 적용하는 삶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 책은 공부라는 관점에서 뇌에 대한 특성과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방법들을 제시한 책이다.

인생은 공부이다. 특히 학습의 정점을 맞아하는 중고등학생들에게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이다.

뇌 박사님이 아닐까! 엄청 공부로 단련되는 분이시고 프롤로그를 통해 학교에서 놀고 다 놀고도 상위권을 유지하는 친구와 정말 열심히 하는데 성적이 잘 나오지 않는 친구 사이의 어디쯤이었다고 소개하는 저자는 과연 공부히는 머리는 있는 것일까? 이런 의문으로 뇌를 연구하고 실험하며 세상에 나온 책이다.

나는 어떤 학생이었니? 돌아본다면 여기서 이렇게 공부하지 말라는 방법으로 공부했던 학생이었다.벼락치기, 몰아서 공부, 시험 때 밤새워 공부하기 등등 생각보다 시험을 잘 본다고 여겼는데 시험 성적이 생각보다 안 나온 적도 있다. 다시 메타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한다.


이 책의 목차를 소개하자면 이러하다.

1> 뇌과학이 밝혀낸 성적 향상의 핵심

1장 작업기억이 성적을 죄우한다.

2장 메타인지가 뛰어난 아이가 공부를 잘한다.

2>공부에 최적화된 뇌를 만드는 5가지 비결

3장 수면 -양질의 춫분한 잠이 성적을 올려준다

4장 운동-몸을 움직여야 뇌가 활성화 된다.

5장-뇌가 기억을 잘하는 방법은 따로 있다.

6장 두뇌특성-두뇌 특성을 이해하면

공부가 쉬워진다.

7징-아웃풋이 200% 올라가는 환경을 만들어라.

1,2부로 나누고 관련 장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은 공부를 좌우하는 것이 아이큐가 아니라 저자는 작업 기억대(Working Memory)가 공부를 잘하는 기본 토대라고 말한다. 내가 이해하기로는 머릿속에 배우는 내용을 사진처럼 떠올릴 수 있는 능력인 거 같다. 아는 머리 좋은 지인들은 책을 보면 사진을 찍듯이 기억할 수 있다고 했는데 그런 능력이 좋은 사람들이 아닐까 싶다.

이 능력은 후천적인 연습으로 좋아질 수 있고 30대까 그 용량을 충분히 키워갈 수 있다. 공부를 하면 할수록 는다는 생각이 든다. 간단히 방법을 말하자면 단어를 거꾸로 말하기; 삼국지==> ‘지국삼’으로 거꾸로 단어를 말해보는 방법, 숫자와 단어를 번갈아 말해보는 방법 등으로 머릿속에 단어들이 분명히 그려져야 가능한 훈련들이 소개되어 있다.

이는 문해력과도 연관되어 있다. 문장이 길고 어려워지는 지문 가운데 그 내용을 이해하고 기억해서 메모리에서 꺼내와서 문제를 풀어야 한다.

독서는 작업 기억을 높여주는 최고의 방법이다.

저자는 <공부머리 독서법>권하며 자세히 언급하지 않고 이유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그는 수동적 읽기보다는 나누어 읽으며 출력해 보기, 소리 내서 읽기의 효과를 언급하고 있다.

흥미로운 지점이 많았는데~ 메타인지도 공부를 잘하는 비결이라는 많이 알려져 있다. 단순히 반복 연습보다 틀린 것에 집중하며 수정함을 통한 공부의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대부분은 틀린 것을 부정하거나 대강 넘어가고 싶은 마음이 들 때가 많다. 삶에서도 실수나 좌절의 순간을 배움의 과정을 여기고 마주해야 한다. 나는 가르치는 입장에서 피드백 받는 것이 힘든 것이 떠오른다. 나의 수업을 녹화해서 다시 보는 것 또한 힘든데 이 책을 통해 이 부분에 대해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수면의 이슈는 명백하다. 잠을 줄여서 공부하는 것은 무익하고 장기적으로는 엄청난 손해이다. 이 또한 공부를 잘 안 하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보면 공부 습관이 들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을 무기로 벼락치기 공부를 하게 된다는 점이다. 적어도 6시간 이상은 자야지~ 뇌는 그동안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고 저장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잠을 덜 자게 되면 머리가 돌지 않는다고 느낄 때가 있다. 충분히 잘 자야 자기 실력을 잘 발휘할 수 있다.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는 미리미리 조금씩 공부를 해놓는 습관이 정말 중요한 것 같다.

운동과 공부의 상관관계~ 몸은 움직일수록 활성화된다. 적당한 운동을 통해 정서적, 끈기의 힘의 원동력을 마련할 수 있다.

뇌는 휴식이 필요하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그냥 무장적 습관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컨디션 생체리듬을 고려해 보고 집중이 잘 되는 시간에 어려운 공부를 하고 집중력이 떨어질 때는 단순 암기 과목 조금 쉬운 것은 선택해서 집중과 이완을 반복하라고 한다.

우리의 뇌는 입력의 한계가 있다. 뇌는 그것을 처리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 부분이 휴식이고 수면의 영역인 거 같다.

이 책을 한창 공부해야 하는 시기의 딸들에게 권하고 있다. 나의 요약을 들으며 공감을 하기도 또는 언제 이렇게 여유 부릴 수 없다고 하소연한다. 공부의 범위 입력의 범위가 엄청난 것 같다. 하지만 이렇게 반박하고 싶다. 배워가는 기쁨을 누리며, 머릿속에 남는 공부를 하라고~ 그러려면 좀 더 뇌를 알고 새롭게 공부법을 수립해야 하는데 말처럼 쉬워 보이지 않는다.

그럼에도 수험생. 진짜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하는지 감이 안 오는 학생들, 진정한 공부를 하고 싶은 이들에게 권한다. 뭐든지 새롭게 정비되기 위해서는 진통이 필요하다. 잠도 충분히 자야하고, 입력보다는 출력에 힘써야 한다. 그동안의 공부습관의 총체적 변화가 필요하다. 머리가 잘 기억하고 제대로 공부를 하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