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고 아름다운 르누아르의 미술수업 작고 아름다운 수업
김미진 지음, 오귀스트 르누아르 그림 / 열림원어린이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르누아르 미술 수업~ 그동안 보았던 미술책과는 다르다. 한편의 동화를 만나는 듯하다. 이 책은 르누아르의 삶-어린 시절부터 미술가로서의 성장하기까지의 이야기를 한 폭에 담아내었다. 또한 군데 군데 그의 아름다운 그림을 배경 설명과 만날수 있다.

인상파~ 그 당시의 사조와 그 당시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표현해서 더 깊은 이해와 애정을 가지게 되었다.

저자가 궁금했다. 미술사에 관한 책을 보다 보면 그 그림에 대해 이해를 가지게 되고 나름의 역사를 배우게 되는 미술 인문학을 배우게 되는데 이 책은 아이들이 읽을 수 있는 수준이지만 내용이 유치하지 않으며 몰입이 되고 어른인 내가 읽어도 따뜻하고 뭉클한 화가의 삶을 만나게 되어 참 기쁜 마음이 드는 책이다.

김미진 작가는 미국에서 예술학 석사, 박사를 마치신 분으로 전시회도 여시고 제목만 봐도 그 책이 궁금해진다. 미술사를 스토리텔링으로 생생하게 그 시대로 인도하는 분이란 생각이 든다.

제목은 미술 수업인데 그냥 동화책을 읽고 있는 느낌이었다. 주인공은 르누아르 처음엔 이름이란 생각을 못 하고 르누아르는 하나의 미술 사조라고 잠시 착각을 했다.

르누아르는 재단사의 아버지와 재봉사의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다. 요즘 시대에 태어났다면 잘나가는 집 아들이 될 수도 있었겠지만 생계가 팍팍한 집안이어서 학교를 보내지 못하고 그의 그림 솜씨를 눈여겨본 아주 무섭고 괴팍한 소문난 이웃집 할아버지가 하는 도자기를 만드는 공방에서 일을 하게 된다. 행운이었을까? 올르왜라는 인물은 딱부리 영감이라 불리고 깊은 우물에 아이들을 넣는다는 무서운 소문을 가진 할아버지라는 소문은 정말 르누아르를 어린 시절일까? 아님 작가의 창조적 배치일까 궁금했다. 저자의 이력을 보았을 때 이 책은 르누아르의 어린 시절을 고증해서 이야기를 만들어 냈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처음 이야기에 쏙 빠져들게하는 작가적 배치라고 생각이 든다. 도입부가 매력적이어야 계속 이 책을 읽어나아가는 원동력이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는 성공이다.

르누아르를 통해 그 당시의 예술적이 분위기를 생생히 접할 수 있었다. 시뇰교수님과의 만남 권위적이며 커다란 영향력을 지닌 인물이다. 르누아르는 도자기 기술공에서 예술가로 가는 갈림길에서 그 당시에도 예술은 가난한 길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그 당시의 믿음을 이기고 예술적인 재능을 따라 미술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미술 물감도 넉넉하지 않아 마음껏 그림을 그릴 수 없는 그지만 지금 우리에게 너무 유명한 이물 모네를 비롯 비자유, 시슬레 친구들을 만나며 우정과 미술의 지경을 넓혀간다. 시뇰교수님을 통해 그 당시의 미술적인 분위기가 어떠했는지 작가는 너무 잘 표현하고 있다.

신화, 성경, 인물화 실내에서 정형 화적인 귀족들의 기호에 따라 그림이 가치있게 여기던 그 시절 야외로 나가 스케치를 그리며 자연이 주는 햇살, 다양한 빛깔에 매료되어 그 순간을 그려낸 그들은 현실에서 매몰차게 거부당한다.

그 당시 살롱전이라는 미술 대회에 입상을 해야 미술가로 인정을 받는 시대에 기존은 심사위원들은 그들의 그림은 도저히 받아들일수 없는 것이다.

시대를 앞서는 그들의 그림은 무명회협회라는 이름으로 전시회를 열고 한 기자에 의해 그들의 그림은 인상파라 명명되고 각자 자기의 그림으로 인정받기까지의 여정이다.

바지유라는 친구는 귀족의 집안이지만 전쟁이 발발했을 때 자신의 독립을 위해 참전했으며 시뇰 교수에게 당당히 자신들의 그림의 가치를 말했던 그는 전쟁에서 돌아오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그의 정신은 친구들을 통해 다시 살아나며 그들의 정신에 영감의 자양분이 되었던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며 당연하다 여겨지는 믿음에 대해 생각해 본다. 나이가 들수록 고집스러워지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시뇰 교수님이 내 안에 있지 않은가 돌아보게 된다.

르누아르의 그림은 살아있는 듯 아름답다. 예전에 피아노를 가르치는 선생님과 학생의 그림일까 상상력 더했던 그림이 르누아르 그림이라는 게 반갑다.

하여튼 나는 인상파 그림, 그이후의 그림들이 아주 맘에 든다. 다채로운 생각과 영감을 지닌 그들의 빛과 색감의 아름다움에 매료된다.


<피아노 치는 소녀들>제목의 유명한 그림은 새로운 생기는 미술관에서 의뢰가 들어와 그린 그림이라고 한다. 둘의 눈빛이 침 생생하고 피아노를 치는 듯한 느낌이 든다. 옆의 그림은<가브리엘과 장>이라고 하는 가브리엘은 르누아르의 부인의 사촌이라 한다. 아기는 르누아르의 아들이라고 한다. 점토놀이를 하는 중이라고 하는데 너무 사랑스럽다.


왼편 이분은 바로 그 유명한 모네~<클로드 모네의 초상> 친구가 이렇게 잘 그려주었다면 모네는 너무 이 그림을 맘에 들어 하지 않았을까~ 분위기 있고 매력적인 모네의 모습이다. 그 옆은 르누아르의 막내아들이라고 한다.<어릿광대 옷을 입은 클로드 르누아르>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스타킹에 불편한 옷을 입고 르누아르가 그림을 잘 그리도록 좋은 모델을 역할을 했다고 한다. 그 작은 눈에 비친 아버지의 모습이 자랑스럽지 않았을까?

르누아르 어려서부터 그림에 소질이 있었고 도자기공으로 섬세하게 그림을 그리는 수많은 시간이 있었고 미술학교에서도 수업이 끝나면 미술관에 가서 거장들의 그림들을 관찰하며 어떻게 하면 잘 그릴 수 있을까? 모사하며 연구했다고 한다. 또한 그림으로 그는 성공해야 한다는 압박 또한 그를 미술가로 더욱 노력하게 하지 않았을까 추측해 본다. 살아있는 듯한 그의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그의 수많은 시간,노력과 재능이 꽃피운 화가란 생각이 든다.

아들과 함께 읽어보고 청소년인 아이들에게도 건네주고 싶은 책이다. 초등학생부터~ 이전 미취학 아이 들은 엄마가 함께 읽어주기에 적당하다.작지만 깊이가 있는 책이다.미술에 대한 이해를 스토리텔링으로 살아난 책을 아이들에게 또한 미술에 관심 있는 많은 분에게 권하고 싶다~

시리즈로 나오는 책인것 같다. 지식을 잘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이 스토리텔링임을 생각하며 다른 책들도 읽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