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자마자 과학의 역사가 보이는 원소 어원 사전
김성수 지음 / 보누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에 대해 늘 어려운 마음을 품고 있었지만 나름 호기심과 궁금증을 불러일으킨 분야가 화학이다. 고교 시절 화학 선생님이 알려주신 화학식은 하나도 생각나지 않지만 화학에 과학자들, 원소들은 왠지 모를 생동감을 내 안에 불러일으켰다.

저자 김성수 연구원은 15살에 화학에 매료되고 화학자가 되겠다고 결심했다니 계속해서 이 분야에 대해 공부하고 연구하며 화학 연구자의 진한 삶. 화학에 대한 사랑을 담아 일반인들에게 어렵지 않은 범위 안에서 화학원소의 이름의 기원, 원소들의 일상에서 쓸모, 가치들 그에 따른 화학자들을 만나게 된다.

화학에 대한 알쓸잡학같은 느낌이다. 얇고 지대한 지식에 준하는 상식을 넘어서 화학원소의 이름의 기원부터 화학원소에 얽힌 재미난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화학을 공부하기보다는 배경지식을 쌓기에 좋은 책이다.

전혀 무관한 것 같은 서로 다른 영역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도출된다.

저자의 머리말에서


저자는 화학연구원을 넘어서 스페인어 등 새로운 언어를 배우며 화학에 대한 어원적 지식을 올리며 유튜버로써 활약하고 있다. 내 안에 있는 지식에서 머물지 않고 융합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학도의 책이지만 인문학적인 경계를 넘나드는 책이다.



원소의 이름을 어떻게 짓는 것인가?

한국의 원소 이름은 일본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다.

17세기 네덜란드 문물을 받아들인 일본~ 한국처럼 외세의 문물에 대한 거부함이 있어 지정된 섬에만

처음에 받아들였다고 한다.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기 결정한 일본은 우다가와 요안을 통해 번역이 이루어지고 한국은 일본의 명칭을 우리 한자의 이름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후대의 이름들과 개정을 통해 영어식으로 새롭게 이름이 변경되기도 했다.

지구상에 보이지 않지만 수많은 물질들이 현존하며 화학작용으로 새로운 물질들을 발견하는 과학자들의 열정과 그 과정에서 새로운 물질에 대한 이름을 짓기까지의 과정이 인상적이다. 처음에는 라틴어 그리스어 이름으로 지었지만 나중에는 후반에는 퀴륨, 노벨륨, 로렌슘 등, 화학자들의 이름들도 등장했다.

화학원소들을 들여다보며 우리에게 친숙한 금속계 원소들- 금, 은, 주석, 구리, 철, 수은이 등장한다. 가장 원시적 시대부터 사용된 물질들로 그 당시에는 화학자가 아닌 대장장이 또는 연금술사들로 더 많은 금속을 얻기 위한 노력들이 지속된다. 구리는 동전으로 통용되고 중국들이 은의 유입이 많아 동전으로 사용되었고 금은 화학반응을 잘하지 않는 금속으로 그 가치가 높고 귀하게 여겼다. 철은 산소와 잘 결합하기 때문에 철광석에서 산소를 제거하는 환원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철은 산업의 근간으로 한국에서는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매김한다. 철은 우리 몸에도 존재하는 물질이기도 하다. 주석은 귀한 존재이지만 납으로 혼동하기도 하고 잘 녹슬지 않고 인체에 해롭지 않지만 추운 날씨에 변형을 일으켜 남극 탐험을 떠난 대원들이 돌아오지 못한 가능성을 주석에 실은 음식물이라는 추측도 있다고 한다. 동서양을 거쳐 화학원소에 대한 그물망처럼 관련된 이야기들이 흥미롭다.

중간중간에 화학 발전에 중대한 발견한 과학자들을 만날 수 있다.

원소 발견에 대한 과학자들의 경쟁은 치열한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는 것으로 화학자들의 명성을 얻을 수 있는 기회이며 새로운 원소의 쓸모들로 있어 귀한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고 아쉽게도 원자 핵 폭탄의 제조로 미-소간의 첨예한 경쟁구도를 만들어 낸다.

화학물질이 이로운 부분도 있지만 인간들에 치명적인 원소들로 독약, 독가스, 핵원료가 된다는 점이 인간에게 양날의 검 같은 존재란 생각이 든다. 인간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발전되기를 계속되는 새 원소의 발견이 가능할까 궁금해진다.

결혼반지를 백금으로 했는데 백금이 금에서 나온 줄 알았는데 다른 원소이고 은은 아니지만 그 가치가 있는 원소를 알게되어 반가웠다.

항상 머리에 구겨 넣듯이 화학원소들을 외워야 하는 시절이 있었다. 그런 주입식 교육들로 화학원소들이

친숙한 면들이 있다. 그 안의 깊은 이야기를 만날 수 있어서 화학에 대한 상식과 역사를 만날 수 있는 책이다. 과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 일반인들에게 지루하지 않고 즐겁게 읽어나가며 호기심을 발동하며 지적인 상식을 넓힐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