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과 연계 초등 영재 사고력 수학 지니 1 - 융합 사고력 강화를 위한 단계별 수학 영재 교육 ㅣ 교과 연계 초등 영재 사고력 수학 지니 1
유진.나한울 지음 / 넥서스에듀 / 2023년 1월
평점 :

수학은 왜 하는 것인가? 학창 시절을 떠올리면 그냥 해야 하니까? 하지만 하다 보면 은근히 중독성이 있는 부분들이 있던 것으로 기억한다. 수학적인 머리는 아니지만 그래도 연산이나 방정식이나 수열 부분이 꽤나 재밌었는데 공간감 제로인 내게 도형은 참 어려웠던 기억이다.
초등 3학년에 된 아들은 <핀란드 수학>을 집에서 워크북으로 진행했다. 나름 한국 수학 문제집의 빡빡함에 질리지 않을까 싶어 선택한 문제집이었고 다양한 지문에서 문해력을 키워줄 수 있는 좋은 문제집이란 생각이 들어 집에서 계속 활용하고 있다. 한국의 수학은 학년이 갈수록 난이도가 어려워지고 많은 문제를 풀고 씨름할수록 잘 할 수 있지만 또한 그 한계도 분명 있는 것 같다. 수학적 사고력 나는 한편에서 수학은 생각하기, 골똘히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기에 좋은 학습이 수학이라고 생각한다. 제목부터 나름은 부담스럽기는 하다. <초등 영재 사고력 지니> 우리 아이에게 괜찮은 문제집이 되지 않을까라는 마음으로 살펴보았다. 일부는 아이와 직접 해보며 문제의 난이도를 살펴보았다.


많은 수학 문제집을 살펴보지 않았지만 이 책의 강점이 되고 제일 맘에 들었던 부분이다~. 수학의 인문학의 접목 - 융합형 사고력을 키워줄 수 있는 구성이었다. <읽어 보기> 수학에 대한 흥미로운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뒤에 풀어볼 문제의 역사적 기원들이 주로 소개되는데 초등 3~4학년 아이들 읽기에 무난하다고 생각한다. 수학은 오래전부터 인류가 시작하고 문자가 생기기 이전부터 수학의 시작이 되었다. 그런 수학이 이제는 인간의 뇌의 범주를 넘어 슈퍼컴퓨터가 계산을 하며 우주까지 나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아라비아 글자가 만들어지기 전에 어떻게 수 세기를 했을까? 아마 손으로, 발로 시작하다 그림을 발전했을 것이다. 이집트의 숫자는 정말 흥미로웠다. 아들에게 이 문제를 같이 보면 너라면 어떻게 숫자를 셌을 거 같니?라는 질문을 해 보았다~~ 나무 막대기, 레고 모양으로~? 레고 좋아하는 아들다운 답이다.



막대기가 1의 자릿수, 발뒤꿈치 뼈가 10의 단위, 감긴 밧줄은 100의 자리 등 흔한 물건부터 진기한 물건으로 갈수록 숫자가 커진다. 그리고 그에 관련해서 문제가 나오고 쉬운 문제부터 조금씩 난이도가 올라간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1. 수와 연산
2. 도형과 측정
3. 규칙과 추론
4. 자료와 가능성
수와 연산의 문제는 일명 스도쿠라고 불리는 임의로 숫자를 넣어보며 맞는 수를 찾아가는 류의 문제들이었다. 마방진은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삼국지의 제갈공명도 군사의 배열을 마방진을 이용했다고 하고 단원 김홍도 <씨름>의 그림에도 마방진의 구도로 그림을 그려서 전체 구도의 안정성과 집중력을 더하였다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수를 임의로 대입해 보고 계산해 가며 수를 찾는 부분이 재밌었는데 아들은 무슨 수를 넣어야 할지 막막해서 조금은 힘들어 보였다. 빡빡한 계산문제보다 약간은 게임같이 흥미를 주어서 이런 식을 문제를 접하면 계산력 문제들을 푸는 연습하기엔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들은 실은 제목에 약간은 겁먹은 듯하다. 엄청 어려운 거네 하면서 잘 하려고 들지 않았다. 그래서 내가 문제를 풀면서 흥미로운 부분을 알려주고 조금씩 시도해 보도록 했다. 또한 아빠랑 하기도 했는데 처음부터 하지 않고 흥미로워하는 부분만 하도록 했다.


테트리미노&팬토미노와 돼지우리 암호에 대한 문제였는데 체스도 해본 적이 있고 기존에 풀었던 문제집에 본 적이 있어서 그런지 잘 풀어나갔고 암호를 해독한다는 흥미로운 주제였는지 열심히 하려고 했던 것 같다.
많은 수학 문제집으로 보지 못했지만 수학 문제들만 빡빡한 문제집들과는 차별성을 보여 주었다. 수학 문제에 대한 연관된 읽을거리로 시작하며 아이들에게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해당하는 문제집에 대한 집중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사고력 문제일수록 시간의 여유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열린 마음 시도하는 마음이 창의력을 열쇠를 풀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빈 공간의 여백이 충분한 문제집이라 더욱 맘에 든다. 물론 가성비를 생각하면 아까울 수도 있지만 빈 여백이 주는 편한 마음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아들과 같이 풀며 아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혼자 끙끙 풀어가며 든 생각은 못 풀어도 괜찮다. 하다 정 안되면 답을 보자 여유로운 마음을 풀아 가야겠다 맘먹었다.아들과 속도보다 조금은 같이 머리를 맞대고 풀어야 할거 같다. 물론 아이들마다 다르겠지만 이런 문제를 처음 접근해 보는 아이들은 충분히 당황스러울 거 같다. 여유를 가지고 여러모로 생각해 보자라고 말해 주고 싶다.
수학계의 노벨상이라는 불리는 <필즈 상>을 수상한 허준이 수학자에 관련 기사도 실려있다. 그분에 대한 기사 중 기억하는 것은 그분은 글쓰기를 좋아했다는 점이다. 그는 수학을 이렇게 정의했다. “ 수학은 보이지 않는 것을 다루는 학문이다.” “수학도 또 다른 언어이다.”
수학이 대학 가기에 중요한 과목이지만 초등수학에서는 생각하는 힘을 기르고 , 문제를 풀고 해결하는 작은 성취를 맛보는 학습으로 생각한다. 이 책은 융합적인 사고형 문제집이라는 설명에 잘 부합하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생각하기를 좋아하고 새로운 스타일의 문제집을 풀어보고 싶다면 추천하고 싶다. 수학을 좋아하는 아이들에게 좋은 문제집이 될 거 같다.
~> 이 책은 미자모 서평단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기증을 받아 솔직한 리뷰를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