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어휘 저수지를 가득 채워 줘야 한다.

어휘 저수지가 가득 차면 차고 흘러나와 자연스럽게 말로 나오고 책 읽기를 잘 할 수 있습니초등 시절 빨리 읽기 독립을 시키려는 마음이 굴뚝이었지만 우리 아들은 생각보다 듣는 것을 좋아해서 나름 잠자리 독서 시간을 이용해서 많이 책을 읽어주었던 편이다. 아주 빠르지는 않지만 점차적으로 읽기의 독서로 나아가고 있다. 본인이 원한다면 계속해서 책을 읽어 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는 어휘의 저장고를 늘이는 일이다. 책을 읽어주며 깨달은 것은 아이의 수준보다 책 읽어주는 수준을 높여주고 관심 있는 책들을 읽어 주는 것이다. 그리고 조금씩 나이가 들어가면서 함께 읽기도 늘여가봐야겠다. 이것이 또한 대화의 재료가 될 수 있다. 같이 책을 읽으니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저자의 책을 읽으며 또한 공감 가는 부분이 ‘마음가짐’이다. 엄마가 책을 읽어주는 것은 ‘밥맛’에 비유한다. 한때 너무 책을 읽어 주는 것이 무미건조한게 아닌가? 더 재밌게 실감 나게 읽어주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마음이 들었다.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조용하고 덤덤하며 밝은 목소리로 좋은 책을 골라 읽어 주는 일은 꾸준히 하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아이가 똑똑해지기 바라는 마음이 앞서서 양적인 면에 치우치지 않도록 노력하라는 조언 또한 마음에 남는다. 아이에게 책을 읽어 주면서 왜 이 정도 읽어 주면 이런 변화가 나와야지 안 나올까 마음이 안달이 났던 적이 있다. 이 책을 읽으며 아이와 즐기며 아이가 원할 때까지 즐거운 마음을 책 읽기를 해주어야겠다. 마음을 먹게 된다.
이 책은 책 읽은 방법에 대한 효율성과 노하우를 전수하기보다는 왜 책을 읽혀야 하는지, 왜 읽어줘야 하는지? 근본적인 질문들이 나의 마음을 불러 일으켰다.
아이들에게 책과 친해지도록 좋은 책을 쥐여주고 책 읽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 그리고 책을 읽어 주는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 계속 지속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
묵독, 속독 또한 아이 스스로 결정할 부분이다. 아이가 읽는 책이 넘치면 자연스럽게 나아가는 부분이지 부모나, 교사가 가르치는 부분이 아니다. 나의 영역에서 책 읽는 부모가 되는 것, 즐겁게 책 읽어주기. 자연스럽게 책 대화를 이끄는 것 이 책을 통해 내가 마음에 꼭 새기고 싶은 부분이다.
* 이 책은 미자모 서평단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기증받아 솔직하게 리뷰를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