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우주 - 우주는 무엇으로 가득 차 있을까? 꿈꾸는 시리즈
사토 가쓰히코 지음, 최지영 옮김, 지웅배 감수 / 멀리깊이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하늘 아름다운 별들을 바라보며 우주의 신비에 대해서 한번쯤을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을 막연히 하고 있었다. 우리 아이들에게도 미지의 우주에 대해서 재밌고 친절하게 설명해 주는 책 <꿈꾸는 우주> 라는 책을 만났다. 저자 사토 가쓰히코 박사님은 국제 천문연맹 우주론 위원회 위원장, 도쿄대학의 명예교수님으로 우주 물리학자이시다. 우주를 연구하는 박사님이 어린이들과 함께 멀리(강아지 이름)을 타고 우주 여행을 떠나는 설정은 친근하다.

이책이 저자가 일본분이시기에 번역과 함께 지웅배 연구원님의 꼼꼼한 감수와 한국에 관련된 부분을 보충 설명으로 한국의 천문학을 보충했다.


“안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요?”

by지웅배

감수자의 추천사글이 마음에 와닿았다. 이과로 진로를 선택하고 안다는 우월감의 학생에서 천문학을 연구하고 논문을 쓰는 삶을 통해 배울수록 더 지식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모르는 것에 대한 깨달음’이 생겼다고 한다.


우주란 그런 것이란 생각이 든다. 이책을 통해 우주 여행을 떠나면서 사토 가쓰히코 박사님이 친절하게 설명해 주시며 재밌는 일화까지 곁들어 주시고 훌륭한 삽화까지 이해를 돕지만 우주란 정말 광대하고 그것을 연구하는 분들이 더 위대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사토 가쓰히코 박사님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가능한 쉽게 아이들에게 알려 주고자 하는 마음이 느껴지는 책이었다.


천문학에 대한 관심이 지대한 아이들에게는 질문으로 된 장구성과 그에 관련된 이야기가 마구마구 그들의 뇌속에서 퍼져 갈거 같다. 과학에 대해 어느 정도 개념이 필요한 학생들에게도 좋은 개념서가 될거 같다. 이책을 읽는 천문학의 문외한인 성인에게는 나름 도전이 되었다. 하지만 나름 학생으로 공부하며, 이리저리 주워 들었던 우주의 용어들이 정리되고 배우게 되었다. 시간이 된다면 칼세이건 <코스모스>를 읽어 가는 모험을 떠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1장 우주를 바라보자

밤하늘을 떠올려 보자!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태양과 달, 일슥과 월식, 태양계의 행성들 그리고 계절마다 육안으로 볼수 있는 별자리들로 시작한다. 태양은 항성이다. 수소와 헬륨 가스로 이루어져 계속해서 열을 내뿜고 있다 그래서 지구에게 살아가는 에너지를 공급한다. 달은 위성이라고 한다. 왜냐면 지구 주변을 돌고 있어서. 그리고 달의 모습이 변하는 것은 자전과 공전이 계속 일어 나기 때문이다.


2장 태양과 달과 행성의 불가사리

태양과 달 그리고 태양계의 행성에 대해서 배울수 있다.


3장 항성과 은하의 불가사의에 대해서 별의 색깔에 따라 거리와 밝기를 알수 있다. 우주는 얼마나 큰 것일까? 우주의 기원등 우주에 대한 넓은 신비들을 맛볼수 있다.


우주의 개념은 창 광대하다. 태양도 언젠가는 죽을수 있다라는 것 모든 별들은 탄생과 죽음이 있고 그것이 우주에 영향을 서로 미치고 있다. 우리 은하안에서도 공전과 자전으로 중력으로 서로에게 불가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외계인이 사는 행성이 있을까? 언젠가 다른 행성으로 이주해야하는 상황이 올까? 아름답기만 밤하늘, 북극과 남극에서 관찰되는 오로라는 태양의 흑점이 많아져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포착 된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지면에서 다 담기가 우주는 너무나 무궁하다. 잠시나마 지구안에서 여름의 치열함과 좁디 좁은 공간에 사는 나에서 먼 광대한 우주로 질문과 함께 떠난 우주 여행이었다. 나의 소원 리스트에 망원경을 하나 더해야겠다. 목성, 금성, 시리우스, 계절별 별자리들을 망원경을 통해 하나 하나 발견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