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필독 신문 3 - 고등학생이 되기 전에 읽어야 할 비문학 독해 이야기 중등 필독 신문 3
이현옥.이현주 지음 / 체인지업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 문핵력에 도움이 되는 중등 필독서 중등 필독신문 3가 나왔다. 나는 프리랜서 기자이자 프리랜서 강사이다. 기사를 소재로 청소년들에게 비문학 독해 강의를 하려고 하다가 교안으로 삼을 책으로 중들 필독신문3을 선택하게 되었다. 각 분야별로 분석하는 법이 상세히 나와 있는 것이 이 책의 특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ndure - 지우지 않은 사람들
백인희 지음 / 지식과감성#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 김세현은 감정보건법에 의거 기억삭제를 하지 않고 인간 답게 사는 것을 택한다. 과연 나라면 기억소거를 하엿을까. 스타크래프트의 유령 요원들처럼 말이다. 과거는 잊는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 그래서 주인공은 기억소거를 즉 삭제를 택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아 가스산업기사 필기 (이론 + 과년도) - 2025년 가스산업기사 시험 대비, 개정2판 모아 가스산업기사
오민정 지음 / (주)모아교육그룹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아 필기 가스산업기사는 가스 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책이다. 나의 경우 앞서 모아바 소방 산업기사를 가지고 공부를 한 적이 있다. 시설관리에서 가스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데 가스밀도부터 화제까지 상세히 이 책에 정리되어 있다. 그리고 각종 가스 설비등도 정리가 잘 되어 있다. 일단은 가스 종류부터 가스 설비까지 나는 정리하여 공부를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나머지를 하나씩 정복해 나갈 예정이다. 여기에는전기방식 시설도 나오는데 유지를 위해 전용 터미널로 시공을 한다고 나와 있다. 그리고 냉매로 사용하는 가스의 종류도 프레온 가스 농도부터 이소부탄까지 나와 있다. 그리고 가스가 연소느는 3요소인 가연성물질, 산소 공급원, 점화원이 적혀 있다. 즉 불이 어떻게 잘 붙는지에 대해 잘 나와 있다. 가스는 그 자체로 생활에 유용하지만 불이 잘 붙는 물질이다. 그러다보니 결국 전문적인 자격증을 지닌 사람이 필요하고 그러다 보니 가스산업기사라는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필요한 것이다. 뒤에는 24년부터 과년도 문제 각각 80문제씩 정리되어 있다. 과연 나라면 이 문제를 풀 수 있을까? 정답은 해봐야 안다이다.물론 모아바의 잘 정리된 앞의 이론들을 숙지한 수 차근차근 풀어나가면 문제는 잘 풀리게 되어 있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이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구독해줘 폴앤니나 소설 시리즈 7
김하율 지음 / 폴앤니나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동 코스메로드에서 일하는 소민 그리고 강하오 , 유화라는 젋은 청춘들의 성장과 자립을 그린 소설입니다. 소민은 공시생을 하다가 화장품 매장 직원으로 일하다가 강하오와 유화와 함께 뷰티 유튜버로 새롭게 도전하면서 현실적인 전쟁 즉 희망과 고민을 보여줍니다. 일종의 프리랜서 직종들의 고민들을 담은 소설로 판매량에 따라 성과급을 받는 화장품 매장 직원의 애환 그리고 광고수당이 붙어야 돈을 버는 뷰티 유튜버의 현실을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항
조갑상 지음 / 산지니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항은 부산과 역사를 소설로 엮는 소설가라는 평을 받은 조갑상의 8번째 소설집이다. 나는 부산을 각별하게 생각한다. 이책은 역사 사건 7가지를 배경으로 엮는 단편소설집이다. 부산을 배경으로 말이다.우키시마호 침몰 사건을 각색한 도항 ,  유신헌법 국민투표를 둘러싼 단편소설 '1972년의 교육'  말도 말고 탈도 많았던 형제복지원 사건을 배경으로 한 '이름 석 자로 불리던 날' 등을 다루었다. 역사속 상처를 감추는 게 아닌 세상에 알리는 게 이 직가의 모습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