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 만드는 아이 그린이네 문학책장
이규희 지음, 토끼도둑 그림 / 그린북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무기 만드는 아이 >는 역사적인 사실을 배경으로 하면서 허구적인 인물들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역사적인 사건이 주 배경이면서 무기 만드는 일을 하는 군기시가 등장하고요.

인물을 통해서 시대적인 생활 모습과 무기의 종류, 무기만드는 일, 관련 계급 등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책이에요.

아무래도 역사적인 사건을 배경으로 하는 만큼 전쟁이 어떤 결과로 끝나는지 임금이 아무런 힘 없이 남한산성으로 들어가고 그 후에는 오랑캐에게 머리를 숙인다는 역사적인 사실을 이미 알고 있는데요.

그 과정에서 일반 백성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일을 당하고, 어떤 모습으로 살았는지를 생생하게 접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겨울이면 압록강이 꽁꽁 얼고 아이들은 그 곳에서 노는데요.

어느 겨울 꽁꽁언 압록강을 건너 오랑캐들이 쳐들어와요.

성을 지키는 일을 하는 아버지와 오랑캐에 맞서 싸우겠다며 집을 나선 할아버지는 아무런 힘도 없이 죽게 되고요.

어머니와 함께 아버지를 찾으러 나간 무걸은 여기저기 죽어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게 된답니다.

한편 할머니는 어머니와 무걸이를 집안에 숨도록 해요.

자신과 어린 손녀는 괜찮을거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마을로 쳐들어 온 오랑캐는 할머니와 어린 여동생을 죽이고 집에 불을 지른답니다.

그 불로 어머니 마저 죽게 되자 고아간 무걸이는 마을에 가족을 잃고 혼자 남은 할머니의 보살핌을 받게 돼요.

 

 

 

무걸이를 돌봐주던 할머니는 근처를 지나는 상인에게 무걸이를 부탁하게 되는데요.

무걸이는 양아버지를 따라서 한양에 오게 되고 그 곳에서 공부를 하며 지내요.

그러던 어느날 우연히 대장간을 보게 되고 어린 나이지만 대장간에서 일을 하면서 쇠를 다루고 칼을 만드는 일을 배우게 된답니다.

힘들지만 열심히 일을 배운 덕에 곧 무걸이는 칼을 잘 만드는 아이라고 소문이 나게 돼요.

그러다 우연히 어려움에 처한 소녀를 도와주게 되는데요.

길거리에서 무기 사용을 금한다는 걸 몰랐던 무걸이는 그 장면을 목격한 벼슬아치에게 잡혀가요.

사정을 들은 벼슬아치는 병조판서 김품 대감이었는데요.

무걸이를 무기 만드는 군기시에서 일하도록 한답니다.

 

 

 

군기시에 들어간 무걸이는 처음다시 일을 배워야 했어요.

일년이 넘도록 쇠는 만져 보지도 못하고 온갖 힘든 잡일만 해야 했지만 무걸이는 포기하지 않고 더욱더 열심히 일을 하면서 기술자들 어깨 넘어로 쇠를 다루는 기술을 배워요.

그렇게 몇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무걸이는 우연히 군기시 제조에게 무기 만드는 모습을 들키게되고 무걸이의 기술을 알아본 제조가 무걸이에게 직접 무기를 만들도록 한답니다.

한편 시간이 흘러 다시 오랑캐들이 쳐들어와요.

많은 수의 오랑캐들이 임금이 있는 한양을 목표로 빠른 속도로 내려오는데요.

그 과정에서 길목을 지키던 군사들이 무기가 부족해서 오랑캐들을 막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져요.

 

 

 

정묘호란으로 가족을 모두 잃고 고아가 된 무걸이가 군기시에서 힘들게 일을 하는 과정을 통해서 무기의 종류와 무기 만드는 과정을 알 수 있었는데요.

또 다시 쳐들오온 오랑캐들로 백성들이 겪어야 했던 힘든 생활들, 힘없이 도망가는 임금의 모습도 볼 수 있었어요.

역사적인 사실을 배경으로 하면서 어린 소년의 성장과정을 통해 시대적인 생활 모습, 다른 곳에서는 들어 볼 수 없는 조선의 무기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는데요.

이야기 자체가 제법 탄탄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고, 책 뒤에는 역사적인 사실에 대한 설명과 조선의 무기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어서 조금더 배울 수 있다라는 점도 좋았어요.

나라를 위해 위험한 일도 마다하지 않고 하는 인물들, 그리고 주인공에 닥친 힘든 일들이 제법 흥미롭게 전개 된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역사적인 사실도 배울 수 있어서 좋았어요.

[본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