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재테크 제로금리 사용설명서
매일경제 금융부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삶의 스타일이 달라지고 있다.
최근의 코로나는 훨씬 더 그걸 빨라지게 한거 같다. 확실히 비대면 언택트의 시대가 왔다.
안그래도 새로운 세대들은 온라인을 통해 생활의 대부분의 물건을 구입하고, 즐기고
해결하는데 코로나가 그것을 더 앞당긴 꼴이다.
전염병 전문가들은  사실 코로나는 시작일뿐 주기적으로 지구에 이런 감염병 재난이
찾아들꺼란 말들을 한다.

 

확실히 이 책의 서두에서 말하듯, 새로운 삶의 패러다임에 적응하지 못하면 일자리든
가정이든, 삶의 생존이 위협받는 시대가 왔다. 어쩌면 이 시대의 변화를 먼저 알고
대응해 나가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버린 것이다.

지금 경제는 코로나 이전부터 새로운 시대를 맞아 경제불황이 찾아왔고 코로나로 인해
더 가속화되서 유래없는 불경기로 미국의 대규모쇼핑몰이 픽픽 쓰러지고 은행권도
자리를 잃어 은행점 절반이상이 문을 폐점하고 헌데 이 와중에서도  급성장하고 있는
경제의 디지털문화 온라인상점들은 활기가 돋고 온라인과 관계된 사업들이 번창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가 이렇게 불황이고 사람들의 소비심리는 얼어붙어 어려울때 사람들은 안전자산을
선호하고 무엇을 해보고자하는 의지도 없어져 결국 그것이 제로금리로 이어진다고 한다.
제로금리라는 것은 은행에 돈을 맡겨도 이자를 받거나 하지 않고 오히려 돈을 맡기는
수수료를 내야하고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면 대출받은 이자를 내는 게 아니라 대출받아
감사하다고 오히려 대출수수료를 받는 다는 것이다. 이런 제로금리정책은 사실 10년 이전
부터 스웨덴등 북유럽국가들은 이미 자리잡아왔고 거기는 그래서 재테크에 대한 인식이
없다고 한다.

 

온라인으로인한 새로운 삶의 패러다임은 결국 경제불황으로 이어지고 경제불황으로 인해
제로금리가 생겨 제로금리는 결국 은행권을 마비시키고 은행권뿐만 아니라 돈을 불려
기업의 이익을 도모하는 금융권들은 모두 즉 보험사들까지고 수익성악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한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세상을 마주하는 기분은 조금 두려운 마음이 들게
했다 하지만 미리 알고 대처한다면 그 충격과 데미지는 훨씬 덜할 것이다.


좀 바쁜 일로 정석으로 읽지 못했는데도 너무 재밌었는데 한번 더 제대로 읽어봐야하겠다.
시대를 앞서가는 사람들이라면 읽어봐야 될 책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