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아에 대해 말하자면 - 김현진 연작소설
김현진 지음 / 다산책방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내게 책은 자기개발서나 경영서적이나 또는 건강에 관한 책이 주류를 이루는데
소설이라는 장르라는데 "정아에 대해 말하자면"이라고? ,
왠지  책 제목을 들으며 마음편하게 앉아서 쉬어가는 기분으로 읽어야지 하고 
가볍게 시작했다. 그러나 결코 가볍지 않았다. 


모두 읽고 난후 묵직한 생각 한 덩어리가 답을 찾아 머리를 뱅뱅 굴리게 했으니 말이다.
물론 베테랑소설가가 엮어내는 이야기들에 푹 빠져 시간가는 줄 모르게 재밌게 읽었다.

 

정아는 이 책에 등장하는 8편의 ̧막한 이야기중의 한 인물이긴 하나 동시에 이 여덟편의
주인공들의 또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이 여덟편의 이야기들은 똑같은 주제아래 묶인
옴니버스형식의 소설로 주인공들은 모두 결혼적령기 젊은 여성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모두가 불행하다.

 

무관심한 부모밑에서 불행한 인생을 탈피하고자 일찍 집을 떠나왔지만 역시나 만만찮은
인생에 만난 성실하지만 가난한 남자친구와 함께하며 누구아이인줄도 모르고 아이를
낙태하는 정아, 유부남인줄도 모르고 수많은 세월을 함께 하며 결혼을 꿈꾸었떤 영진
고시준비 남친을 위해 물심양면 뒷바라지하여 합격하게 해 놓고 보기좋게 버림받는
정은 , 모두가 어쩌면 아직도 가부장적인 남성중심사회에서 맥없이 삶을 유린당했다
할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작가는 페미스트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건지.. 작가는 책의 맨 끄트머리 에필로그에서 우리가 태어나기 이전
천상에서 남성으로 태어날지 여성으로 태어날지를 결정할 수 있다면 아마도 누구도
여성으로 태어나기를 택하지는 않을꺼라는 짧막한 에피소드를 곁들였다. 

 

이 책을 모두 읽고 물론 소설이긴 하지만, 그리고도 여성을 옹호하는 페미니즘에 관한 별다른
이견이 있을 필요없는 여자의 권리를 찾고 싶은 1인이지만, 우리 한국사회가 오랜역사
속 농경사회로 인해 가부장적인 문화로 여성으로서의 지위와 권리들이 무참히 무시당하며
살아왔지만 지금 우리 사회는 급격히 변화하는 중에 있으며 21세기에 여성이든 남성이든
누구도 그에게 책임이나 의무같은걸 들이대며 강요하지 않는 세상에 되어버려서 결국
여성을 가두는건 여성 스스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남성도 여성들도 다만, 가부장적인 문화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있을 뿐이고, 스스로 그 권리를
찾아 목소리를 내는 자는 자기 인생을 자기선택에 의해 당당히 행복하게 살아갈수 있을 꺼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